2024.04.24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커뮤니티 케어 사업 추진시 지역주민참여의 중요성

특별기고 | 대한노년치의학회 커뮤니티케어

정부는 한국형 지역사회 통합돌봄 시스템인 커뮤니티 케어를 작년, 2018년부터 강하게 추진하고 있고, 올해 하반기부터 전국 8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시범사업이 시작됩니다. 치과계가 공공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선점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수도 있는 상황에서, 커뮤니티케어에 대해 좀 더 깊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연재를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

1. 백세시대의 치과,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_커뮤니티 케어 연재를 시작하며
2. 고령화의 오래된 미래, 일본형 커뮤니티 케어인 지역포괄케어 소개
3.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역사와 의의
4. 커뮤니티 케어 사업추진시 지역주민참여의 중요성
5. 커뮤니티케어에서 구강케어의 중요성
6. 부천시 커뮤니티케어에서 구강케어 사업계획
7. 공중구강보건에서 치과계의 미래를 본다_ 커뮤니티케어 촉탁의제도의 의미
 

 

최근 커뮤니티 케어란 용어가 자주 언급되고 있다. 커뮤니티 케어란 것이 없다가 최근에 새로 생겨난 개념이 아니라 오래된 공중보건학책에서도 설명하고 있던 개념이다. 커뮤니티는 한글로 지역사회이고 케어는 돌봄이란 뜻이다. 결국 지역사회를 잘 돌봐야 하는 것이고 지역사회를 잘 알아야 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보건사업기획 책들을 살펴보면 대체로 책 첫 부분에 현황분석을 강조한다. 두번째로 나오는 내용은 지역사회 참여의 중요성이다. 여기서 지역사회라는 용어를 정의하게 된다.

지역사회의 정의는 “다양한 특성을 가진 인구들의 집단으로 사회적 연대를 지니고, 공통적인 인식을 공유하며, 동일한 지리적 단위나 삶의 터 내에서 공동 활동에 종사한다”라고 기술하며 핵심요소로 “위치, 공유, 활동, 연대, 다양성”을 꼽는다. 또한 단순히 전체 지역사회를 보건기획의 참여 주체라고 간주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지역사회 내에서도 커뮤니티 케어 사업을 할 때 1차 타깃으로 하는 대상자를 중심으로 지역사회를 정의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참여 대상자가 고령자인 경우 지역사회는 경로당과 같은 모임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를 지역사회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며, 사회생활을 하는 청장년층의 경우 일터가 지역사회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정의된 지역사회에서 지역주민의 참여는 매우 중요하다. 지역주민의 참여나 동의가 없이 위에서 하달식으로 내려오는 보건사업은 지속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이하 수불사업)을 예로 들어보자.

올해 강원도 영월군에서 수돗물불소농도조정 사업이 잠정 중단됨에 따라 이제는 전국에서 수불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지역은 없어지게 되었다. 사실 수불사업은 치아우식을 예방하며 특히 소득에 따른 구강건강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보건사업이나 지역주민의 활발한 참여나 동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지속가능하게 확대되지 않았다. 특히 모바일 시대가 되면서 여론을 모을 수 있는 SNS의 발달로 보건사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대될 경우 진실성과 상관없이 참여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보건사업이 실패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치과에 대한 커뮤니티 케어 사업에서 필수적으로 구강질환 예방을 위해 구강위생교육과 같은 보건사업이 들어갈 가능성이 높으며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 문제는 이에 대해 지역주민이 활발한 참여와 동의를 기대할 수 있는가이다. 그 지역의 건강 문제에 있어서 치과가 중요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이러한 자세한 설명을 지역주민에게 설명하지 않은 채 진행하게 되면 그 사업의 참여도는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

필자의 경우 경로당이나 요양병원에서 구강건강증진교육을 하고나서 난감하면서 자주 받은 질문 중 하나가 ‘어느 치과를 가야 싸게 임플란트를 잘해주는지’이다. 이러한 질문은 치과는 아플 때 치료를 하면 그만이며 이를 잘 닦는 방법은 중요하지 않다라는 인식이 기저에 깔려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커뮤니티 케어 추진 시 지역주민을 세밀하게 대상을 누구로 할지 선정하였으면, 사업 시행 전 그들을 만나서 무엇을, 왜 하는게 중요한지 설명과 설득의 시기를 반드시 거쳐야 할 것이다.

 


※ 이 글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조현재
 대한노년치의학회 연구이사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예방치과학교실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