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항생물질 처방시 유의해야 할 요점)
1) 아스피린이나 시메티딘 등의 위산분비 억제제는 페니실린계 약물 또는 에리스로마이신의
약효를 상승시킴.
2) 클로람페니콜이나 테트라사이클린계, 린코마이신, 제산제 등은 페니실린계 약물의 약효를
저하시킴.
3) 스피라마이신(로도질, 오라덴의 성분)이나 에리스로마이신 등 Macrolide계 항생제와
항히스타민제 또는 위장관운동 항진제를 병용하면 심계질환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금기.
4) 테트라사이클린계의 약물은 혈당강하제(Sulfonyl-Urea계; 다오닐)의 약효를 상승시켜
저혈당 초래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
5) 유효기간이 지난 테트라사이클린계의 약물은 치명적인 신장애나 다발성 기형을 유발할 수
있음.
6) Tetracycline계 약물은 임신부나 8세 이하의 아동에게 투약하는 것은 금기.
7) Doxycycline 투여시 위장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다량의 물과 함께 복용하고 복용후
30분간은 눕지 않도록 한다.
8) 퀴놀론계 항생제와 Phenyl acetic acid류(디클로페낙 등)의 소염진통제를 병용하면 발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금기.
9) 퀴놀론계 항생제 사용중 환자의 인대나 건에 통증 또는 염증이나 파열을 일으키는 경우는
즉시 사용 중지.
10) 린코마이신은 마취제와 반응하여 호흡억제 효과를 유발하므로 국소마취시에도 주의해야
됨.
11) 클로람페니콜은 부작용이 많으므로 단순감염질환에 사용하는 것은 가급적 피해야 됨.
12) 로도질이나 콤비팜,오라덴의 성분인 메트로니다졸은 알콜과 반응, 금단증상을 보이므로
음주는 절대 금기.
2. 비 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Non-Steroid Anti-Inflammatory Agents.(NSAIDs))
※ 치과에서의 사용빈도에 따른 순서.
1. Mefenamic acid. 2. Naproxen sodium. 3. Fenoprofen calcium. 4. Ketoprofen. 5. Clonixin
lysinate. 6. Ibuprofen. 7. Amfenac sodium. 8. Flubiprofen. 9. Diclofenac sodium. 10.
Acetaminophen.(encapsulated) 11. Acemetacin. 12. Aspirin.(+encapsulated) 13.
Proxicam.(+확산형.) 14. Nimesulid. 15. Emorfazone. 16. Pranoprofen. 17. Tenoxicam. 18.
Salsalate. 19. Ketorolac tromethamine. 20. Talnifulmate.
※ 비 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공통된 부작용.
1. 과민증(발진, 두드러기, 가려움증, 스티븐스-존스 증후군, 리엘증후군)
2. 소화기장애(위궤양, 위출혈, 위천공, 위부불쾌감, 메스꺼움, 구토, 식욕부진)
3. 혈액장애(용혈성 빈혈,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과립구감소증, 골수형성장애)
4. 중추신경계(졸음, 어지러움, 두통)
5.호흡기장애(천식)
6.감각기장애(시야혼탁. 시각의 가역적 상실. fenamic acid의 경우, 과용량 투여후 이명 등)
7. 간장(황달)신장(핍뇨, 부종 등)
8. 쇼크(식은땀, 안면창백, 호흡곤란, 혈압저하, 발진) Sulpirin 등은 경구용 혈당강하제의
효과상승, 저혈당 야기.
9. 고혈압을 악화시킴. 이뇨제(Thiazid) 효과를 감소시킴.
10. 원인요법이 아닌 대증요법제이므로 감염성 질환에 투여시 본 질환의 악화를 은폐시킬 수
있다.
※ 비 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의 복약지도 요점.
1. 음식이나 제산제와 함께 복용 해야하는 약물이 있다(예;Indomethacin,Mefenamic acid,
Piroxicam.)
2. 위장장애가 적은 약물은 식전 30분 또는 식후 2시간에 복용.
3. 복용기간중 술 또는 알콜함유 음료금지.
4. 복용기간중 다른 소염진통제와의 중복투약 금지.
5. 광과민 반응; 피부가 직사광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
6. 아세트아미노펜은 장기복용시 신독성 증가, 메페나믹산 복용후 설사가 나면 내과의와
상의.
7. 진통소염제의 과민증여부를 확인할것(ID카드 발부필요)
8. 치과치료를 받기전 이의 복용여부와 복용약물의 종류를 꼭 확인할 것.
※ 비 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의 중요한 약물 상호작용.
1. 시메티딘(위산분비억제제)은 피록시캄의 작용을 증가시킴.
2. β-blocker의 항 고혈압 효과감소. 이뇨제의 항 고혈압 효과감소.
3. 아스피린과 probenecid의 병용은 요산배설을 저하시킴.
4. Methotrexate(면역억제제), Lithium(항조증제), Phenytoin(항전간제)의 배설을 저하시키고
혈중농도를 높임.
5. 이부프로펜,인도메타신은 Digoxin(강심제)의 혈중농도를 상승시킴.
※ 비 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작용기전.
동통의 원인인자가 세포막 인지질을 자극하면 Phospholipase A2의 작용에 의해 Arachidonic
acid가 유리되는데, 이것은 다시 Cyclooxygenase(COX)에 의해 Prostaglandin(PG)을
생성함으로써 동통을 유발. NSAIDs는 이 과정에서 Cyclooxygenase(COX)의 작용을
억제하여 소염진통작용을 나타냄. 비 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COX-1(일상형; 위장관
보호 기능을 하는 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