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TMD 유병률, 기온·계절 따라 ‘오르락 내리락’

7월·12월 환자 발생 집중, 기온 차 클수록 영향
정진우·이연희 교수, ‘TMD-기상 조건’ 관계 분석 

최상관 기자 기자  2024.06.05 21:24:39

기사프린트

턱관절 장애(TMD) 유병률이 기온과 계절의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기온 차가 크면 클수록 TMD 환자 수도 늘어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정진우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교수, 이연희 경희치대 교수 연구팀이 2010~2022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세트를 바탕으로 기온과 계절에 따른 TMD 유병률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밝혔다. 이번 연구 논문은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IF 4.6)’ 최근호에 발표됐다.


TMD는 지역, 인종, 성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유병률이 다르다는 결과가 지속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TMD와 기상 조건 간의 구체적인 관계는 여전히 모호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심평원에 등록된 전국 인구 기반 데이터를 활용해 TMD 환자 분포와 기온, 계절 간 연관성을 분석했다. 아울러 매월 최고기온에서 최저기온을 뺀 절대값으로 기온 차를 계산, 이에 따른 환자 수의 변화도 관찰했다.


분석 결과, 우선 TMD 환자 수는 7월과 12월에 집중돼 있었다. TMD 환자 수는 3~6월에 4만3000명에서 4만6000명 선을 유지하다가 여름인 7월(5만266명)에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8~10월에는 하락세를 타며 4만6000명 선으로 떨어지다가 12월 다시 급증해 4만8718명을 기록했다.


특히 TMD 환자 수는 단순한 기온과 계절뿐 아니라, 기온 차에 따른 유의한 상관관계도 확인됐다. 이 같은 상관관계는 특히 겨울(12~2월)과 여름(7~8월)에 두드러졌다. 가령 겨울철 기온 차가 섭씨 약 10도일 때 TMD 환자 수는 6만 명가량이었으나, 기온 차가 약 7도일 때는 4만 명가량으로 나타났다. 또 여름철 기온 차가 12도일 때 약 5만5000명이던 TMD 환자 수는, 기온 차가 8도일 때 약 4만 명을 기록하며 역시 눈에 띄는 차이를 보였다.

그 밖에 이번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22년까지 13년간 TMD 환자 수가 약 22만 명에서 약 48만 명으로 98% 증가했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가 국내 TMD 유병률 계절적 추세를 조사할 때 주요 고려사항이 돼야한다”며 “또 전 세계 임상의와 환자에게 온도 차이가 TMD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