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사설>
의약분업 사태 해법찾기
최우선은 회원권익

관리자 기자  2000.07.01 00:00:00

기사프린트

의약분업 사태가 일단락됐다. 그러나 사실상의 1개월 연기일 뿐인 의약분업은 아직도 제2의 파업사태로 튈지 모르는 불씨를 안고 있다. 지역별 의약분업협력회의가 아직도 가동되지 않고 있고 의사들은 여전히 필요한 의약품 목록을 내놓지 않고 있는 상태다. 이러한 의약분업 사태를 겪으면서 일부 치과계에서는 우리도 의사들 파업에 동참해야 하지 않는가라는 비판어린 목소리가 나왔던 것이 사실이다. 일부는 의사와의 동종 직업의식의 발로에서, 일부에서는 훗날 정부가 의사들에게 줄 수 있는 정책적 배려에서 치과계가 배제될까봐, 일부에서는 훗날 치과계도 이같은 상황을 만났을 때 의사들이 외면하지 않고 도와주도록 하는 차원에서 등등 이유도 갖가지였다. 그러나 이는 치협 집행부가 이번 사태를 얼마나 예리하게 분석하고 있는지를 간파하지 못해서 나온 우려라고 본다. 치협은 이번 사태와 관련, 최우선적으로 치과계의 미래와 권익에 초점을 두었다. 또한 치협은 의약분업의 본질에 대해서도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다. 의약분업 자체는 치과계에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솔직한 분석은 치과계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그렇기 때문에 치협은 적절한 행보를 그리며 상황을 조절해 나갔던 것이다. 물론 분명 이번 사태를 보면서 치과계가 같은 의료단체인 의사들의 고통을 강 건너 불구경 하듯이 바라만 볼 수는 없었던 일이었다. 따라서 치협도 데모나 파업 등과 같이 외형적으로 보여줄 수는 없어도 의사협회의 주장에 동조해 왔다. 그러나 이 때도 역시 치과계의 권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했다. 치협이 의사단체의 산하단체가 아닌 이상 이같은 대원칙은 불변이다. 다만 치협은 의사단체에서 원했듯이 파업이라는 극단적인 행동까지는 가지 않았다. 그것은 주장하는 바는 동조하지만 국민들의 건강을 담보로 하는 극단적인 행동을 취하는 것은 정서상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치협은 아주 적절한 시기에 모 언론지 사회면에 성명서를 발표함으로써 직접 파업에 동참한 것만큼의 효과를 얻었다. 절제된 감정으로 사태를 예의주시하며 국민과 의료계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바를 찾았던 것이다. 이제 치과계는 냉정한 이성으로 사태를 지켜 봐야 한다. 치과계 전체와 더 나아가 국민 전체를 위한 일이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한다. 7월은 의료대변혁이 일어나고 있는 달이다. 아무리 완벽한 제도라고 해도 변하는 곳에는 갈등이 있게 마련이다. 이제 치과계는 좀더 시야를 넓혀 의료보험 통합이라는 대변혁과 의약분업이라는 대 변화의 파도를 잘 타고 넘어가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치협 집행부의 분석과 행동방향을 믿고 다함께 호흡을 같이 하도록 각자가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