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사설>
치협 고민 덜어준
인정의제 포기

관리자 기자  2000.07.15 00:00:00

기사프린트

드디어 인정의제도에 대한 해법을 찾은 듯 하다. 그동안 일부 학회와 치협간의 풀릴 것 같지 않던 인정의제도라는 엉킨 실타래가 매듭을 풀고 순조롭게 나가고 있는 것 같다. 최근 인정의제도에 관해 가장 강력하게 치협의 정책에 반기를 들어 온 대한소아치과학회에서 치협의 정책에 따르겠다는 뜻을 비쳐옴에 따라 조만간 이 학회에 내려졌던 치협의 징계가 풀릴 전망이다.  이와 더불어 치과보철학회도 빠른 시일내에 치협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뜻을 보였으며 치과교정학회는 이미 지난 4월에 인정의제도 문제로 전문치과의제 추진에 누를 끼치지 않겠다는 공문을 보내온 적이 있다. 그리고 전문치과의제도와 관련 있는 과는 아니지만 대한악기능교합학회에서도 『이사회를 거쳐 인정의 시행을 잠정 유보하고자 하는 타 학회의 결정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기로 하고 향후 잠정 연기키로 의결했다』고 알려옴에 따라 인정의를 시행하거나 시행준비 중인 4개 학회 모두 치협 정책에 협조할 의사를 보인 것이다.  인정의제도는 사실 치과계가 안고 있는 문제를 가장 적절하게 함축하고 있는 사안이었다. 전문치과의제도가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수십년간 표류해 오면서 학술발전 등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판단 아래 그 대안을 찾기 시작했던 것이었다. 그 결과 여러 학회에서 일본의 인정의제도를 모방 도입, 학회가 인정하는 전문가를 배출하기 시작했다. 전문의와 관련없는 악성재건학회가 인정의를 처음 시작한다고 했을 때는 별로 대수롭지 않게 승낙했지만 전문과목과 직·간접 영향이 있는 교정·보철·소아치과 등의 학회가 인정의제도를 시행하려 하고 있고 일부는 이미 시행하고 있는 상황에 이르러서는 사태가 예사롭지 않게 흐르기 시작했다.  드디어 개원가에서 인정의제도는 전문치과의제도를 전제로 하는 제도라며 제재할 것을 요청해 왔고 치협도 전문치과의제도와 관련하여 어떠한 유사제도도 운영할 수 없다는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결국 치협은 이들 4개 학회가 끝내 치협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자 강경하게 대처해 나갔다. 이 과정에서 일부 학회는 유연성을 갖추고 치협의 노력에 협조할 뜻을 보였으나 소아치과학회는 초지일관 진행함으로써 부득이 치협으로부터 징계를 받았던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전혀 다른 양상이 치과계에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어서 인정의제도가 사실 필요없게 됐다. 전문치과의제도를 시행하지 않으면 안되는 시점에 와 있기 때문에 인정의제도가 필요없게 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인정의제도를 고집할 이유는 없다고 본다.  어찌되었건 이제 치협은 또 하나의 문제를 해결했다. 이러한 결단을 내려 준 학회 당사자에게는 진정으로 감사의 뜻을 전하고자 한다. 더욱이 의약분업으로 의료계가 들끓고 있는 시점에서 이같은 결단을 내려줌으로 인해 치과계가 매우 축복받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2000년도 치과계는 아직까지는 매우 순조로운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