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 만족도·기능적 만족도 순
가철성 의치 사용에 대한 만족도 조사분석 결과 심미적인 만족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치대 예방치과학 宋根培(송근배) 교수 외 4명은 공동으로 연구 발표한 논문을 게재한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4권 2호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 발표에 따르면 연구대상자들의 의치 사용에 대한 만족도 점수는 대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세부 요인별 만족도에서 심미적인 만족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일반적인
만족도와 기능적인 만족도가 다음 순이었다.
연구대상자들의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 비교에서는 고학력, 고소득 그리고
특진을 신청한 群에서 만족도가 다른 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 국소의치
群과 상악 총의치 群이 다른 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치료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구 통계적 특성들 중 치료 만족도에 영향을 많이 주는 요인은 의치종류, 소득 및
특진신청 여부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宋 교수는 연구의 목적에 대해 “의치장착 환자들에게 적합한 의치사용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설문문항을 자체 개발하여 가철성의치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만족도를
측정하고 환자들의 개인적인 특성과 치료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 보다 나은 진료환경과
진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본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조사를 위해 지난 97년 8월부터 98년말까지 17개월동안 경북대학교 병원
치과진료처 보철과에서 상악과 하악의 총의치 또는 국소의치 치료를 받은 환자 2백명 중
조사에 동의한 70명을 지난해 5월부터 6월의 2개월동안 보철과로 내원시켰다. 이어 연구팀은
이들의 구강상태와 보철물 상태를 점검하고 자체 개발한 설문지를 통해 직접면담법을 이용,
인구 통계적 특성과 가철성 의치 사용에 관한 만족도를 설문조사했다.
<김상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