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와 정부의 협상이 진통을 겪고 있다.
의약분업 파행 해결을 위한 정부와 의료계간 협상이 지난 26일부터 본격 시작됐다.
26일 서울팔레스 호텔에서 1차협상을 시작한 복지부와 의협 비상공동대책위원회
10인소위원회 간 협상은 의협 10인 소위가 “첫 의정간 대화자리에서 지난달 8월 12일
연세대 집회 과잉진압에 대해 서울경찰청장이 직접 사과키로 한 양측의 합의를 정부측에서
어겼다”면서 “공식사과 없이는 협상을 진행할 수 없다”며 대화를 거부, 결국 중단 됐다.
이날 협상장에는 張錫準(장석준) 복지부 차관을 비롯, 정부관계자 6명과 10인 소위 10명이
참석했다. 협상장에는 崔善政(최선정) 장관이 직접 방문했으나 일부 10인 소위 의원들은
崔장관과의 악수조차 하지 않는 냉랭한 분위기를 보였으며 2차 협상때도 경찰청장
직접사과를 요구하는 10인소위의 주장이 계속돼 결렬됐다.
28일엔 3차협상이 이뤄졌다. 10인소위측은 경찰청장의 기자회견을 사과로 받아들이겠다고
협상전제조건을 받아들이는 듯했으나 복지부 의약분업 관련자 의 처벌을 요구, 결국 3차
협상도 결렬됐다.
한편, 尹응섭 서울경찰청장은 지난 26일 서울경찰청 기자실에서 회견을 갖고 “지난달
의사결의대회 제지과정에서 일부의사와 전경사이에 부상자가 생긴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면서 “연세대 측의 시설보호 요청이 있었고 집회자체가 신고 돼 있지 않아
부득이 법 집행차원에서 제지 한 것”이라고 해명했었다.
<박동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