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의약분업 치협 주체성 갖고 추진”
李起澤 협회장 전문지 회견

관리자 기자  2000.10.07 00:00:00

기사프린트

최근 치과계에서는 일부 회원들이 치협 홈페이지 등을 통해 의사들의 폐업에 치과도 동조해야 한다고 주장하는가 하면 일부 지부나 분회 등에서도 이같은 주장을 하고 있는 사례가 빈번해지고 있다. 이에 李起澤(이기택) 협회장은 의약분업 사태 속에서 치협의 입장과 정서를 회원들에게 제대로 정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 지난 5일 치의신보 및 치학신문 등 치과계 유력 전문지 기자회견을 통해 치협 집행부의 입장을 밝혔다. 폐업동참 안해 이날 李起澤(이기택) 협회장은 “최근들어 과거 어느 때보다 치과계의 위치가 재조명되고 있다”고 서두를 꺼내며 “의약분업이라는 난국을 어떻게 헤쳐나갈지 협회가 중심을 가지고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李 협회장은 “의약분업은 치협이 주체성을 갖고 냉정히 분석해 본 결과 치과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했다”며 일부 회원들의 요구대로 폐업에 동참하지 않을 뜻을 명확히 밝혔다. 李 협회장은 “물론 폐업에 동참하지 않는 것은 시도 지부장회의의 결과를 충실히 따르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며 “폐업만이 능사가 아니라 이성을 갖고 치과계의 권익에 부합되게 행동해 나가는 것이 더 강한 것”이라고 소신있게 말했다. 그러나 치과전공의협의회의 파업사태와 관련해서는 “전적으로 전공의들이 결정할 문제”라고 밝히며 “파업을 하되 치과의사로서의 주체성을 가지고 해야지 의사들의 파업에 동조하는 파업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의견을 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회원들과 일부 지부가 인터넷 등을 통해 치협이 미온적이지 않냐고 지적해 오는 것에 대해 李 협회장은 “치협이 용기없어 동참 안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힘주어 말하며 “시도지부장회의에서 결정된대로 치협이 주관을 갖고 밀고 나가고 있는데 미온 운운하며 힘 빼는 일은 삼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치 관심 없다 그러나 이를 두고 李 협회장이 정치에 뜻이 있어 미온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더우기 국시원 이사장을 맡은 것이나 이번에 요양급여비용협의회(이하 협의회) 위원장을 맡은 것도 이같은 맥락으로 이해하려는 가시돋힌 지적이 인터넷 상에 계속 떠오르고 있다. 이에 대해 李 협회장은 민주당 탈당계를 낸 것을 밝히면서 “절대 정치에 관심없다”고 단호하게 말하며 “국시원 이사장이 된 것은 예비시험제 도입을 추진하기 위한 것이었고 협의회 위원장은 의료개혁이라는 큰 줄기속에서 자칫 치과계의 이득부분이 흔적없이 사라질 가능성이 있어 각 단체의 이익과 조율하며 지켜나가기 위함이었다”고 설명했다. 李 협회장은 “사실 협회와 협회사이에는 자신의 이권에 따라 냉정하게 움직이고 있다며 우리는 더러 의사에 대해 동료의식을 갖고 있으나 이는 개인적인 감정일 뿐, 직업 대 직업으로 가면 서로 철저하게 분석해서 소속단체의 이권에 따라 움직이기 마련”이라고 말했다. 李 협회장은 임기 내에 이뤄왔던 치과계 성과와 관련, “그동안 동료라고 생각해 온 의사들이 더욱 반대해 온 경우가 더 많았다”며 보건소장에 치과의사가 포함되도록 법 개정할 때나 구강보건전담부서 부활 때나 국시원 이사장 선출 때나 그리고 이번에 협의회 위원장 선출 때에도 의사들이 반대해 왔다고 밝혔다. 그러나 李 협회장은 “의사들이 폐업을 통해 많은 이익을 얻기를 바란다”고 말하며, “하지만 다른 단체를 밟고 올라서려거나 상대적인 불이익을 주어서는 안된다”고 강조하면서 “다른 단체와 균형있게 발전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보철 보험 안돼 한편 현재 통신상에 치과보철보험이 곧 실시될 것이라는 소문이 자자하면서 치과계가 술렁이고 있다. 이에 대해 李 협회장은 “절대 그런 일이 없을 것이라고 하는데도 스스로 루머를 퍼뜨리며 불안해 하고 있다”고 안타까워하며 “현재 정부의 의보재정이 어려운 상태라 보철보험을 할 수 없을 것”이라고 확고히 말했다. 또 상대가치개발에 따른 수가계약제도 “현재 치협은 준비가 잘 돼 있는 반면 의협이 준비가 덜 돼 늦어지고 있다"고 지적하며 “그러나 법에 따라 내년 1월부터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의협에서는 아직도 의사가 협의회 위원장을 맡아야 한다고 정부에 계속 요구하고 있다며 “위원장은 협의회에서 자율적으로 선출하는 것이므로 차라리 위원들에게 설득해야 했고 그보다 우선적으로 의사가 선출돼야 할 타당성을 제시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李 협회장은 “앞으로 의과를 비롯 다른 보건의료단체들이 손해보는 일이 없도록 조율해 나갈 것”이라며 “특히 치과계가 소외되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