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사와 금속판 기존제품보다 탁월
턱의 골절 또는 교정수술 등 때 사용되는 악골의 고정용 나사(bone screw)와 금속판(bone
plate)이 새롭게 개선, 제작되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서울중앙병원 金在昇(김재승·울산의대) 교수가 최근 기존에 사용되던 고정 볼트와 금속판
보다 훨씬 더 효과적이면서 실용적인 제품을 개발, 인체에 가장 적합한 티타늄으로 제작했다.
金 교수는 “종전에 사용되던 악골 고정용 나사 및 금속판은 물성(phyical proprty)과
생물학적(biocompatability) 관점에서 안전하지만 형태가 악간고정(intermaxillary
fixation)이나 치열교정 고정원으로 사용하는데 불편했다"며 “이에 착안하여 임상적으로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치과용 볼트와 금속판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金 교수가 개발한 이 제품은 쌍둥이 머리 부근에 고무줄이나 강선, 치열교정장치, 임시틀니가
쉽게 연결될 수 있는 관통공(hole)과 홈통(slot)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金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고정볼트와 금속판은 기본적인 적용만 할 수 있으나 앞으로 많은
치과의사에 의해 각 분야의 치료에 적합하고 개선된 제품이 한층 더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로인해 치과진료의 효율성이 향상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金 교수는 “악골골절 수술 때 상하악을 고정하기 위해 기존에는 치아에 arch bar를 강선을
사용하여 고정했으나 이는 치은이 손상되기 쉬우며 무치악에서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며 “이러한 경우에 상악과 하악에 고정원으로 볼트를 매식하고 고무줄이나 강선으로
악간고정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설측으로 치열교정한 턱변형 환자에 대한 턱교정 수술을 할 때 고정볼트를 사용하면
악간고정을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구강내 하악 상행지 골절단술 후 골편조절을 하는데
편리하다고 밝혔다.<그림1>
 |
|
또 사용하는 치과분야에 따라 고정볼트와 금속판을 치열교정을 위한 skeletal anchorage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그림 2> 치아를 발치하거나 임프란트 치아를 매식한 후 사용하는
임시의치를 고정하는데도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