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억 드는 임상비용도 한 몫
국내 소규모 제약회사들이 신약을 개발해도 신약수출 기반조성에 수수방관하는 정부의
태도로 결국 외국에 헐값으로 양도되고 있는 것으로 국감결과 드러났다.
지난 23일 심재철(한나라당) 의원은 보건산업진흥원 국감에서 이 같이 밝히고 정부의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문제는 제약업계가 기술수출방식으로 선택하는 "드롭아웃과 라이센스 아웃"에서 시작된다.
"드롭아웃"이나 "라이센스 아웃"은 임상과 마케팅 능력이 떨어지는 국내 제약업체들이
기술이전료와 상품화시 일정의 로열티를 받는다는 조건으로 국내판권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술을 외국제약사에 이양하는 방식이다.
심 의원에 의하면 제약회사들이 이러한 방식을 사용할 경우 수출당시 기술수출료는 받을 수
있으나 상품화시의 로열티에 대한 담보는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진국이 인정하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외국임상실험을 실시해야 하나 국내
소규모 제약회사의 규모로는 수천억이 필요한 임상비용을 마련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난점도 있다.
이에 심 의원은 「신약수출의 기반조성을 위한 노력과 함께 신약개발 지원예산으로
외국으로의 신약수출의 가능성이 있는 제품에 대한 외국임상실험의 지원방안을 검토할
것」을 요구했다.
<김상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