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가난한 장애인 치과 진료비 부담 커
보험제도 개선·정부지원 절실

관리자 기자  2001.02.24 00:00:00

기사프린트

구보연 연구의뢰 장애인 진료망 보고서 나와 장애인들의 치과진료비 부담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험제도 개선과 정부지원이 가장 시급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또 장애인 치과진료를 하고 있는 치과의사들 가운데 상당수가 장애인 치료관련 교육을 받은 적이 없어 교육을 희망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바람직한 교육형태로는 학부강의라는 응답이 가장 많아 장애인 진료를 위한 치과대학 과정의 신설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주장됐다. 치협이 지난해 6월부터 전국 장애인 치과진료망 구축을 위해 2차례에 걸쳐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하고, 한국구강보건의료연구원(원장 李在賢)의 연구 의뢰로 최길라 21세기 치과병원 특수진료과장이 우리나라 치과의료기관의 장애인 진료실태 및 문제점을 중심으로 연구 발표한 ‘전국 장애인 치과진료망 구축사업 조사보고서"가 발간됐다. 이 보고서에서 최 과장은 “장애인 치과진료를 하는 치과의사들이 교육과 정보교환의 기회가 제한되어 있고, 제도적 지원이 미미해 만족스러운 진료와 지속적인 관리가 어려운 것"으로 분석했다. 또 “향후 구강보건 복지제도의 정착을 위해 전문인 교육과 정보의 공유를 통한 전문성 향상이 우선돼야 하며 장애인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인식개선과 함께 정부의 보험제도 개선 등의 제도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보고서는 진정요법이나 전신마취 시행비율이 1차 의료기관이나 비의료기관(복지관 등)에서 낮은 것은 장애인들의 경제적 어려움과 연관된 것으로 보고 있고, 이들 기관에서는 하층과 극빈층 환자가 많은 반면 2, 3차 의료기관에서는 중층과 하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특히 극빈층의 장애인들이 2, 3차 의료기관을 찾기는 쉽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장애인 치과진료의 교육 필요성과 관련해서 보고서는 장애인 치과진료시 교육경험이 있거나 임상경력이 10년 이상인 경우에는 ‘어느 정도 자신이 있다"고 응답하고, 교육경험이 없거나 임상경력이 적은 경우에는 ‘자신없으나 노력한다"고 답한 경우가 많아 장애인 진료에 있어서는 교육과 경험이 모두 중요한 것으로 밝히고 있다. <김상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