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연대, 의원149곳 대상조사
의료기관 10곳 중 2곳 미만이 처방전 2매를 발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연대는 지난달 30일 오전 복지부에서 간담회를 열고 지난 7월 26일부터 8월 7일 까지 `의약분업이후 의원 및 약국 행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건강연대의 조사는 서울시 소재 의원 149곳과 약국 100곳을 대상으로 한것이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의료기관 처방전 발급과 관련, 자발적으로 처방전 2매를 발급해주는 의원은 17.6%로 나타났으며, 환자가 요구해 2매를 발급한 의원은 45.3% 였다.
또 영수증 발급의 경우 2.7%에 불과 했으며, 환자가 요구했을 때 발급의원은 85.1% 였다.
이와 함께 의원이 처방하고 있는 처방 의약품 수는 평균 5.22개로 조사됐으며 처방의약품 6개 처방의원이 27%, 7개를 처방한 의원은 9.5%로 나타났다.
처방전에 기록된 약품을 성분별 분석결과, 소화제가 91.9%, 호흡기관용약이 89.9%, 해열, 진통, 소염제가 85.8%, 항생제는 64.9% 였다.
건강연대 관계자는 약품 성분분석결과 “경미한 감기증상에도 필요 없는 항생제를 처방한 의원의 비율이 64.9%로 여전히 높았으며, 91.9%의 의원이 감기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에게도 소화제를 투여했다”고 지적했다.
약국의 경우 환자가 처방전 없이 전문의약품을 요구했을 때 담당약사가 처방을 받아야 하는 약이라고 설명하고 병의원 방문을 권유한 곳은 53% 였다.
특히 환자의 요구대로 항생제를 판매한약국도 5%로 나타나 약국의 임의조제가 근절 되지않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박동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