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조영식 기획이사 북한 방문기 ①
북한의 구강보건의료제도

관리자 기자  2001.11.24 00:00:00

기사프린트

“구강의사 정규수련과정 없어” 교정과 진료는 보철과서 실시 평양은 가깝다. 서울과 대전만큼 떨어져 있다. 평양은 멀다. 보건의료대표단은 인천 공항을 떠난 지 28시간만에 북경을 거쳐 순안 공항에 내렸다. 그리고, 그보다 더 긴 분단의 반세기가 낯선 풍경과 언어로 다가왔다. 마치, 소더버그 감독이 만든 `플레전트 빌"의 흑백 화면 속으로 들어가듯 무채색의 도시에서 걷고, 보고, 들었다. 구강학에 대한 치과의사의 호기심, 구강보건의료체계에 대한 보건학적 관심, 남북교류의 전망에 대한 탐색이었다. 제한된 조건에서 얻은 지식은 부정확하고, 거칠다. 이것조차 소식이 되는 현실이 교류의 당위성을 역설한다. 양의학대학 구강학부는 옛 평양의전 자리에 있다. 오른쪽에 평양의학대학 병원이 있다. 북한은 치과대학이 없다. 평양과 각 도의 의학대학에 의학부, 구강의학부, 고려의학부(한의학부)가 있다. 평양의대에서 100명, 9개도 의대에서 40~50명 정도가 졸업한다고 한다. `교원"은 `교수"와 `부교수"가 있으며, 현재 평양의학대학 구강학부 `교수"는 8명이다. 졸업 후 학사 학위를 받는다. 석사 제도는 없으며, 박사, 후보 원사, 원사가 있다. 박사 학위 취득 경로는 세 가지이다. `박사원"에서 전공을 하거나, 통신 학습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연구 사업 실적 논문 제출과 시험으로 취득할 수 있다. 현재, 최고의 학술 명예인 원사는 6∼7명 정도이며, 구강의사와 고려의사는 없다. 구강의사 가운데 3 명 정도의 후보 원사가 있다. 구강의사의 2 % 정도가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있다. 학생들의 임상 실습을 `생산 학습"이라고 부른다. 구강의사가 되면 출신지역, 지망 등을 고려하여 각 급 병원에 배치된다. 정규 수련 과정은 없다. 예를 들어, 고향의 종합진료소에 배치된 구강의사는 임상 경험이 없으므로 상급 병원에 수련을 신청한다. 상급 병원은 자리가 남을 경우, 서너달에서 길게는 일 년 정도 수련을 시킨후 근무지로 돌려 보낸다. 전문과의 경우 주로 결원을 보충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자리가 빈 상급 병원의 구강외과에 배치 받으면 구강외과 진료실의 의사가 되는 것이다. 평양에는 평양 의학대학 병원, 김만유 병원, 적십자 병원 등 3개의 `중앙 병원"과 구강종합병원, 고려의학종합병원, 평양 산원 등 3개의 전문 중앙 병원이 있다. 평양의대 구강학부의 부속병원에 해당하는 평양 의학대학병원 구강과에는 구강외과, 구강내과,보철과 진료실이 있다. 현재, 15명 정도의 구강의사가 근무하며, 12∼15평 규모의 진료실 마다 4대 정도의 종합치료기(치과유니트체어)가 설치되어 있다. 지난 9 월 남북 치교협이 지원한 한림덴텍의 유니트체어 두 대는 현재 구강외과 진료실에 설치되어 있다. 설립을 도운 재일교포의 이름을 붙인 김만유 병원은 1400 병상 규모로 구강과에는 4대의 체코제 종합치료기가 있다. 부설 `보건경영연구소" 가 특이하다. 평양 구강종합병원에는 교정과, 소아과, 미용외과 등 8개 과 정도가 있다. 현재, 대동강 기슭에서 새로운 구강종합병원 건축이 진행되고 있으나 , 난항을 겪고 있다. 각도에는 구강병 예방원이 있다. 교정과, 미용외과, 치주과, 소아과, 보철과, 구강외과, 구강내과, 구강위생과 등 모든 과가 설치되어 있다. 구강위생과에서 치석제거 등의 시술을 한다.평양과 도청 소재지에 구강병원과 구강예방원이 있다고 보고되었으나, 예방사업을 하는 구강예방원의 존재는 확인되지 않았다. 군과 구역(구)에는 구강분원이 있는데, 구강외과, 구강내과, 보철과, 소아과, 검진과 등이 있다. 구강내과에서 치주과 진료를 맡으며, 교정과 진료는 보철과에서 한다. 리와 동의 종합진료소에는 1∼2 대의 종합치료기가 설치된 구강과가 있다. 구강의사의 단체는 조선의학협회 산하에 `구강의학 분과(협회)"가 있으며, 각 시도에 지부에 해당하는 `부분 협회"가 있다. 또한, 남한의 구에 해당하는 구역과 군 단위로 "부분 협회 분과"가 있다. 의사들은 졸업직후 받는 `무급"을 포함하여, 5급에서 1 급의 직급이 있다. 5급에서 4급으로 진급하는데 평균 3년 정도가 소요된다. 진급은 치료 실적, 연구 실적과 연간 두 편의 위생 선전 제강 ( 구강보건홍보물 ) 작성 실적 등의 지표를 평가하여 이루어 진다. 직급에 따라 "경제적 보상"이 달라진다. 구강보건행정을 위하여 보건성의 치료예방국에 구강의학 담당 부국장과 책임 부원, 부원 등 3∼4명 정도의 구강의사가 근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과학기술국에 구강의학연구를 담당하는 책임부원급 구강의사가 있다고 한다. 보철사(치과기공사) 는 3년제 학교에서 배출되며, 구강위생사 제도는 없다. 3 년제 간호 학교에서 양성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