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조영식 기획이사 북한방문기(2)
북한의 구강학과 구강진료

관리자 기자  2001.12.01 00:00:00

기사프린트

北 치과, 7개 전문과목으로 구성 성형외과와 구강외과 영역 포괄 미용외과 생겨 침술로 국소마취… 한방처방 치의학에 두루 사용
북한의 구강학과 구강진료 구강학 모델, 전통 의학, 예방 의학은 북한의 치의학을 읽기 위한 세 개의 코드이다. 의사학의 시선속에서 구강학의 형성과 얼개가 드러난다. 전통 의학의 수용은 가능성과 함께 고단한 현실을 암시한다. 무상치료와 예방의 강조는 이념이 어떻게 의학적 담론과 실천에 투영되는가를 보여준다. 조선말 사전은 구강과를 `의학의 한 분과"로 적고 있다. 동구권에서 발달한 구강학 모델은 `의학대학 구강학부", `의학협회 구강학 분과" 등의 계보에 흔적을 남기고 있다. 북한의 구강학은 7 개의 전문 과목이 있다. 구강외과, 보철과, 치주과, 교정과, 소아과는 우리의 임상과목과 명칭이 일치하나, 구강내과는 보존과에 해당한다. 최근 `미용외과"가 구강외과에서 분리된 전문과목이 되었다. 미용외과는 남한의 구강외과와 성형외과의 진료 영역을 포괄하고 있다. 구강의사들이 귀 성형, 코 성형, 쌍거플 수술과 주름살 제거 수술 등 명실공히 `악안면 성형외과" 진료를 하고 있다고 한다. `고려 의학"은 전통의학의 새로운 이름이다. 얼마전까지 `동의학"이라고 불렀으나, 전통의학의 뿌리인 `고려"를 되찾았다는 것이다. 서양의학을 `신의학", 의사를 `신의사", 양약을 `신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고려의학의 기본 방침은 `진단은 신의학으로, 치료는 고려의학"으로 이다. 금년초 완공된 고려의학 종합병원은 네 개의 연구소가 있다고 한다. 구강학부 학생들은 70시간 정도의 고려의학 강의와 실습을 받는다. 평양의대의 경우 고려의학 교수들이 교육을 맡고 있다. 침구와 고려의학 처방이 구강 진료에 적용되고 있다. 침술은 국소마취와 통증 완화, 삼차신경통, 안면 마비의 치료 등에 이용된다. 귀와 코밑의 특정 부위에 대한 간단한 지압으로 국소마취를 대신하기도 한다. 침술 마취는 단근치 발치 등 경증의 적응증에 적용된다. 침을 맞을 때 아프기 때문에 환자들이 선호하지는 않는다고 한다. 때문에, 침술과 지압법은 의약품 공급이 원할하지 않은 하급 병원에서 주로 사용된다. `의료 일군"이 아닌 일반 주민을 위한 `건강 토막 상식" 책자에는 지압에 의한 급성 통증 완화법이 그림과 함께 자세히 씌여 있다. `이발이 쏠 때에"는 `미지근한 물 한 고뿌에 소금"을 타서 양치하거나, `약솜 뭉치에 아스피린 가루를 묻혀 아픈 이발 구멍에 넣고 아스피린 두 알"을 먹는다. 또는, `환자 자신이 지압치료"를 하는데, `빰뼈 아래", `코아래와 입술 아래", `귀 뒤쪽"을 지압하거나, `비비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고려의학 통한 이색 치과처방> ·치은염일땐 구운백반, 말벌집, 도라지를 이용 ·치조농루증엔 생당쑥 처방과 발뒤축 뜸 치료 ·구내염은 족두리 풀 뿌리 가루내 3일간 붙여 고려의학 처방은 주로 치주과에서 이루어 진다. `누구나 할 수 있는 고려 치료"에는 `입안병"의 처방이 나와 있다. `입안염(구내염)"은 `족두리 풀뿌리"를 가루 내어 3 일간 붙이고, 손가락의 `구내점"을 `머리빈침 끝"으로 누른다. `치은염"에는 `구운 백반", `말법집", `도라지" 등을 이용한 처방이 있다. `너리증(치조농루증)"에는 `생당쑥" 등의 처방과 `이몸"과 볼을 문지르는 `수법 치료", `귀방울 뒤"와 `발 뒤축"의 `뜸 치료"가 있다. 평양은 동상과 표어의 도시이다. 무채색의 거리에서 유일한 색은 각종 표어 글자의 적색이다. 웬만한 건물의 현관과 거리마다 표어가 붙어 있다. `우리는 행복합니다" 같은 다소 의외의 표현도 있다. 경제난으로 `고난의 행군"을 하고 있다고 말하는 `의료 일군" 들의 명찰에도 정성을 다하여 환자를 돌보자고 `정성"이라고 새겨져 있다. 병원 복도에는 병풍 형태의 보건 계몽 포스터가 곳곳에 세워져 있다. `사회주의 의학은 예방 의학이다"라는 표어를 흔히 볼 수 있다. 20년전부터 간장에 불소를 첨가함으로써 불소를 복용시키고 있다고 한다. 현재, `콩우유"에 불소를 첨가하는 연구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군과 구역(구)의 구강분원에 설치된 `검진과"의 구강의사가 연 2회 정도 탁아소,인민학교(초등학교), 중학교(중고등학교)를 방문하여 구강검진을 실시한다. 각급 학교에는 교의가 배치되지만, 구강의사는 배치되지 않고 있다. 검진 결과 구강 건강 상태가 나쁜 아동은 종합진료소로 의뢰된다.이들에게는 불소입가심,불소알약, 불소라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