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가 또 한차례 뒤숭숭하다. 우선 의료개방화로 인해 최근 중국정부와 폴란드가 우리나라 정부에 양허요구를 요구해 왔다. 중국은 한방분야를 앞장세우고 한국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폴란드도 마찬가지로 의료분야에 대해 문을 개방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최근 정부는 이러한 국제 정세에 발맞추어 점차 의료법을 개정하고 있다. 종전에는 허용할 수 없었던 영리목적의 의료기관을 앞으로는 설립할 수 있도록 허용할 방침이라고 한다. 아직은 의료계가 반대하고 있지만 정부로서는 개방에 앞서 국내 의료계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라도 이를 허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국제 정세속에 우리 정부는 최근 이태복 보건복지부 장관을 6개월만에 전격 경질하고 신임에 김성호 장관을 임명했다. 정권 말기에 마지막 경질교체가 될는지 모르지만 의약분업, 약가파문, 건강보험 수가 인하 파문 등에 대한 의료계 반발이 아직 정돈되지 못한 상황에서 과연 이번에는 제대로 개선해 나갈지 의문이다. 장관이 바뀔 때마다 정책의 변화는 오게 마련이고 또 한차례 의료계는 장관과의 만남을 통해 자신들의 주장을 되풀이 해야 한다. 여기서 걱정스러운 것은 신임 김장관이 지난 11일 취임사에서 “정책수행과정에서 관계부처와 국회, 언론, 사회단체(NGO)를 우리편으로 해 우군을 만들어야 한다”는 말을 했다는 점이다. 김장관이 보건복지 분야의 비전문가라 가뜩이나 의약계가 우려하고 있는데 취임 첫성이 예사롭지 않다. 무엇을 의미하는 말인가.
이제 정부도 일방적인 논리로 밀어붙여서는 안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할 때인 것이다. 국내 여러 의료 문제가 빠른 시일내 합리적인 방식으로 안정이 안된다면 국내 의료계의 앞날은 어두워 질 수 밖에 없다. 글로벌리즘이 세계 경제를 뒤흔들고 있는 이때에 의료계가 국내적으로 안정되고 진정으로 경쟁력을 갖춰 나가기 위해서는 어떠한 수순이 필요한지 정부는 의료계의 입장과 의견을 경청하여 참고해 나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립구도가 아닌 협력구도로 현 의료환경을 풀어가야 한다.
그러면 치협은 이러한 국내외 의료환경 속에서 어떻게 살아나가야 하는가. 먼저 회원들이 이번 제25대 집행부의 큰 회무에 적극 동참해야 하는 것이다. 급속히 변화해 가는 의료환경 속을 헤쳐 나가기 위해서는 치협이 힘이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우선 치협이 움직일 수 있는 자금이 필요하다. 그러나 불행히도 매년 치협은 회비 마감일인 7월 15일에 협회비 납부율이 4~5%대를 넘어가 본 적이 별로 없다. 올해에도 6월말 현재 4.4%이다. 더욱이 이번 집행부는 무려 77%의 지지를 얻고 탄생한 집행부이다. 이렇게 큰 지지를 해 주었으면 이 집행부가 `강한 치협"으로 거듭나게 해 주기 위해 회원의 의무를 다해 주어야 한다.
`강한 치협"은 치협 집행부만의 힘으로는 어림도 없다. 회원 각자가 `큰 회무"에 동참하여 이뤄내야 하는 것이다. 향후 3년간은 아마도 의료변화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회원들의 지지도만큼 회비납부에 대한 지지도 그만하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회원들의 참여만이 위기속에 번영을 구가할 수 있는 `강한 치협"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