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弗사업 유해논란 아쉬워”
지난 5월 필자는 나흘간의 메디칼 특강을 했다(교육방송:EBS).
첫날은 상당시간 수불(水弗)사업에 할애했는데, 편집과정에서 담당 PD가 양해를 구한다. 화면 밑에 자막(字幕)을 깔아야 하겠단다.
바로 “현재 우리나라에는 일부 반대하는 의견도 있음”이다. 이처럼 소수의견을 밝혀두지 않으면 방영된 다음 전화통에 불이 나고, 항의 시위에 아무 일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필자는 매일 아침을 중앙일보와 함께 시작한다. 경제섹션도 좋지만, 필자의 기억으로는 과학부에 가장 먼저 의료인 기자를 뽑을 정도로 경영에 앞서 질을 중요시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지난 7월 20일자에는 `수돗물 불소화 유해 논란 가열"이라는 제목의 청주 발(發) 기사가 실렸다. 보도를 가지고 문제를 삼는 것은 자칫 역의 효과를 가져온다.
첫째, 그 내용이 일단 기자의 눈을 통하여 여과된 간접적인 의견이요.
둘째 `전문인들이 결정한 사업"은 되도록 시비(是非)를 피하는 것이 좋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논란이 가열"될수록 시민들에게 쓸데없는 의혹을 제공할 우려가 있으며, 따라서 `비 전문인 반대론자"들에게는 그런 결과 자체가 성공하기 때문이다. 건축에는 십년의 공이 들어도 부수는 데에는 단 하루로 족하다고 하지 않던가?
어쨌건 기사는 검토해 보아야 한다. 우선 별표로 정리된 쟁점중 반대론을 보자. 첫째 “13세 이상에는 효과 없고 오히려 반상치 발생률 높다”인데, 이 부분이야말로 전문인(치과의사)이 판정할 몫이다.
둘째 “불소는 미량이라도 해롭다”는 안전성 문제로서, 시민들이 까다롭기로 유명한 소송(訴訟)의 천국 LA에서조차 3년 전부터 실시하고 있다는 것만 상기 해 두자.
셋째 “불특정다수를 잠재적 환자로 간주한 비민주적 사업”은 너무도 재미있는 개그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지 않는 `예방사업"도 있는가?
본문에 나오는 문제점 몇가지. 서유럽과 일본이 실시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제는 여행을 통하여 국민 대부분이 아시는 바와 같이 이들은 어차피 수돗물을 그냥 마시지 못하니까 무의미한 얘기다.
대한의사회에서 유보적 입장으로 바꿨다는 것은, 의료인단체간에 풀어야 할 또 다른 숙제이지 문제의 본질과는 무관하다.
“비료공장 굴뚝 등에서 포집한 불소를 먹는 물에 넣는다는 것” 운운은 우리말의 모호성을 이용한 악의적인 발언이다.
십여 년 전 모 단체장이 “양잿물에 염산을 섞어서 간장을 만든다지 뭡니까?”해서 장유(醬油)업계를 쑥밭으로 만들었던 발언을 연상케 한다.
훌륭한 일 일수록 시련이 따른단다. 충북도의 불소화사업 확대실시가 성공적으로 시행되도록 회원 모두가 기원하고 도와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