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한국치과교정연구회(회장 李善國)는 오는 10월 20∼22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제1회 세계 Edgewise 교정학대회(WEOC 2001)’ 준비에 만전을 기해 나가고 있다. 지난 3일에 열린 제25차 정기총회에서는 WEOC 2001 대회 예산 1억7천7백38여만원을 확정하고 막바지 준비작업에 들어갔다. ‘새 천년, 새로운 미소’ (New Millennium, New Smile)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대회의 초청연자 25명은 미국을 비롯 캐나다, 독일, 덴마크,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호주 등에서 온 저명한 치과교정 전문의들이다.
본지는 이번 호부터 6회에 걸쳐 이번 대회의 연자들을 소개한다.
<편집자 주>
성공적인 치료 위한
부정교합 실례소개
Herbert A. Klontz
▶경 력
- Iowa 치과대학 졸업
- 현 Charles H. Tweed Foundation의 Course Director Louis 대학 임상교수요원
- 전 Baylor대학 외래강사
▶연 제
Faces First with Facial Balance & Harmony
▶초 록
안모의 균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감별진단 과 치료계획 수립에 관하여 소개하며, 다음과 같은 의문점을 함께 생각해봄으로써 균형 잡힌 안모를 얻기 위해 요구되는 치료 목표를 다루어 본다.
1. 안모의 균형과 조화의 요구조건은 무엇인가?
2. 환자의 안모가 균형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필수적인 경조직, 연조직의 선제조건은 무엇인가?
3. 안모 균형을 위한 진단은 무엇인가?
4. 안모 균형을 보장할 수 있는 치료 목표는?
위와 같은 의문점들은 진단, 치료계획, 연속적 치료목표와 치료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해결될 것이며,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 안면과 치성 변화가 요구되는 다양한 부정교합 실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Mandibular Response
개념과 중요성 소개
James L. Vaden
▶경 력
- 현 Tennesee대학 교정과 교수 및 과장
- 현 Michigan대학 교정과 교수 (Adjunct Prof.)
- 현 Charles H. Tweed International Foundation for Orthodontic Research의 교수요원 및 Assistant Course Director
- 현 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 편집이사
- 전 American Board of Orthodontics 회장
▶연 제
Mandibular Response
▶초 록
Mandibular Response란 상악골에 대한 하악골 위치의 변화를 의미하는 용어로써, 이 변화는 성장과 치료 모두를 포함한다. 각각이 전체 변화에 기여하는 정도는 유전과 치료술식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임상가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하악골이 상악골에 대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하도록 수직 고경을 조절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만약 수평 방향으로 변화량이 크다면, 제 2급 부정교합은 보다 쉽게 치료될 것이나 변화량이 수직방향으로 크다면 제 2급 부정교합의 치료는 힘들어질 것이다. 치험례를 통해 mandibular response 개념과 임상교정에 있어서의 중요성을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