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웰컴 투 ‘WEOC 2001’
세계 유수 치과교정학 연자 초청

관리자 기자  2001.03.24 00:00:00

기사프린트

사단법인 한국치과교정연구회(회장 李善國)는 오는 10월 20∼22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제1회 세계 Edgewise 교정학대회(WEOC 2001)’ 준비에 만전을 기해 나가고 있다. 지난 3일에 열린 제25차 정기총회에서는 WEOC 2001 대회 예산 1억7천7백38여만원을 확정하고 막바지 준비작업에 들어갔다. ‘새 천년, 새로운 미소’ (New Millennium, New Smile)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대회의 초청연자 25명은 미국을 비롯 캐나다, 독일, 덴마크,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호주 등에서 온 저명한 치과교정 전문의들이다. 지난호에 이어 2명의 연자를 소개한다. <편집자 주>
20세기 교정장치 발달사 William H. Dekock ▶경 력 - 미국 Iowa 치대 졸업, 미국 치과교정전문의 - 전 University of Iowa 교정과 외래 부교수 - 전 American Association of Orthodontists 회장 - 전 World Federation of Orthodontists 회장 - 현 World Federation of Orthodontists의 Secretary-General ▶연 제 Orthodontic Appliance Development in the 20th Century ▶초 록 20세기 교정장치 발달사를 주제로, 가철성과 고정성 장치의 발달 및 이유, 장·단점,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장치가 가진 장점 등을 살펴본다. 이와 같은 장점들은 오늘날 교정치료의 효용성, 편이성,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여러 치료 술식의 혼합 사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ClassIII 부정교합, 가족병력으로 연구 James Mah. ▶경 력 - University of Alberta 졸업 - 전 보스톤 Children`s Hospital 교정과 full-time faculty member - 현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교정과 부교수 - 현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의 Center for Craniofacial Biology 부교수 ▶연 제 Class Ⅲ 부정교합의 유전 ▶초 록 ClassⅢ부정교합은 하악 전돌로 인하여 발생되며 이것은 어느 지역보다 아시아에서 발생률이 높아 아시아 지역에서 그 관심도가 높다. 인간과 동물 실험에서 보여준 증거에 의하면 이 부정교합은 분명히 유전적 특색을 띄고 있다. 그러나 그 유전방법은 아직도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것은 Autosomal dominant trait(Mckusick, 1972) 그리고 simple recessive trait(Iwagake, 1938)이라고 보도되었다. 하악 전돌의 유전은 다른 종류의 ClassⅢ환자들을 이해하고, 기계적 치료에 따른 발전, 발달 그리고 반응에 기초를 만들어 주므로, ClassⅢ부정교합 환자들의 임상치료에 중요하다. 그러므로 우리의 목표는 하악 전돌의 유전인자를 positional cloning 으로 확인하는 것에 있다. 우리는 하악 전돌의 병력이 있는 가족들의 데이터를 모아 chromosomal 위치관계 파악하는 linkage analysis를 시도하였다. 우리의 Preliminary 데이터에서 하악 전돌은 autosomal dominant trait을 보이며 대략 70%의 penetrance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