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웰컴 투 ‘WEOC 2001’
세계 유수 치과교정학 연자 초청

관리자 기자  2001.04.07 00:00:00

기사프린트

사단법인 한국치과교정연구회(회장 李善國)는 오는 10월 20∼22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제1회 세계 Edgewise 교정학대회(WEOC 2001)’ 준비에 만전을 기해 나가고 있다. 지난 3일에 열린 제25차 정기총회에서는 WEOC 2001 대회 예산 1억7천7백38여만원을 확정하고 막바지 준비작업에 들어갔다. ‘새 천년, 새로운 미소’ (New Millennium, New Smile)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대회의 초청연자 25명은 미국을 비롯 캐나다, 독일, 덴마크,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호주 등에서 온 저명한 치과교정 전문의들이다. 지난호에 이어 2명의 연자를 소개한다. <편집자 주> 환자의 요구에 맞는 Techology 강조를 통한 환자중심 치료논의 Carl F. Gugino ▶경 력 - University of Buffalo 치대 졸업 - Univer-sity of Buffalo 교정과 수련 - The ZeroBase Philosophy Club 설립 - The Foundation for Orthodontic Research의 명예회전 Howard University 외래교수연제원, 이사 및 연구감독 ▶연 제 Tommorrow’s Technology Today ▶초 록 환자의 특정한 요구에 맞도록 치료 방법과 역학을 개별화하는 Technology를 강조함으로써 환자 중심의 치료를 논하고자 한다. 사용되는 Technology로는 1. 진단, Digital imaging, 가시적 치료 계획 및 morphing(장기 성장 예측 포함), 가시적 치료 chart와 환자와의 대화 및 교육 등을 연계하는 computer program 2. airflow obstruction의 진단과 정도 측정을 위한 rhinomanometry 사용 3. 기존의 방법으로 수정 가능한 잠재적인 기능 장애 진단을 위한 EMG 사용 등이 있다. 치과영상을 위해 특수 고안되었으며 용적 측정이 가능한 새로운 CT sca-nner를 소개하고자 한다. 지난 10여년간 3D CT sca-nner가 사용 가능했으나, 비용 및 효용성, 방사선 노출로 인해 교정 분야에서는 이용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panorex와 동량의 방사선으로 진정한 3D model을 얻을 수 있는 혁신적인 CT scanner로 새 시대를 열게 되었다. 함께 사용되는 software는 하나의 3D model에서 방향과 두께와 관계없이 재구성하는 능력이 있으며, 교정 분야에서 사용된 실례를 통해, TMJ, transverse expansion 잠재력 및 치조골의 올바른 형태를 정확하게 진단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과거에 불분명했던 진단 및 치교시의 맣은 문제점에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양한 부정교합의 치료에 있어 MEAW의 다양성과 효율성 살펴 Young H. Kim ▶경 력 - 한국 서울치대 졸업 - 전 Harvard-Forsyth Dental Center 교정과 전임강사 - 전 Boston University 교정과 부교수 - 전 Tufts University 교정과 부교수 - 현 Multiloop Edgewise Arch-Wire Technic & Research Foundarion 회장 ▶연 제 다양한 부정교합의 치료에 있어서 MEAW(Multiloop Edgewise Arch Wire)의 다양성과 효율성 ▶초 록 Multiloop Edgewise ArchWire(MEAW)가 1967년 저명한 전치부 개교치료를 위해 개발되었고 그런 부정교합 교정에 아주 효율적임 드러났다. 그 후 그것이 어떤 부정교합 치료에도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치료 마지막 단계에서 유용함이 밝혀졌다. 이 MEAW개념은 세계로 퍼져나갔고 많은 Colleagne들은 치료의 성공적인 결과에 즐거워했다. 여기에서는 개교치료에 있어서 MEAW 치료의 임상적 검사를 발표하고 생화학적 연구결과를 입증하기 위한 노력이 있을 것이다. 심각한 부정교합 치료에 있어서 MEAW의 다양성과 효율성을 설립하기 위해 M-EAW 치료 양식이 묘사될 것이다. ●생활학적 관찰 : 1. Whole a-rch of the ME-AW의 Load Deflection에 관한 연구 2. Requonal arch of the MEAW의 Load Deflection에 관한 연구 3. Photoelasticity 연구 4. Computer Aided Enquineering Design system(CAEDS) 5. Rhesus Monkey의 치주조직과 치조골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임상적 연구 결과 : 1. 정상교합 그룹 1, 2와 비교한 개교치료 2. 개교치료후의 안정성 ●다양한 부정교합에 있어서의 MEAW 치료 : 1. Openbite Malocclusion 2. Class Ⅱ Malocclusion 3. Class Ⅲ Malocclusion 4. 정중선 devitation의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