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칭)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는 지난 18일 학술대회를 열고 ‘국내에 도입된 각종 임프란트 시스템의 소개’라는 주제로 국내에 들어와 있는 각종 임프란트를 한자리에서 설명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현재 임프란트를 하고 있거나 하려고 준비중인 개원의에게 매우 유용했다는 평가를 받은 이번 대회에는 무려 7백여명이 참석, 성황을 이뤘다. 이에 본지는 이 자리에 참석하지 못한 개원의들을 위해 지상으로 다양한 임프란트의 세계를 소개한다.
<편집자 주>
Endopore Implant System
1. Sintered Porous Surface
Endopore implant는 sintering이란 열처리를 이용하여 형성된 sintered porous surface라는 표면을 가지는 임플란트(그림1)로서 기존의 machined smooth 임플란트보다 표면적이 3배이상 증가되었을 뿐만 아니라 3차원적으로 연결된 pore 속으로 골의 3차원적 ingrowth가 형성되어 골과 임플란트 계면에 강한 골유착을 얻을 수 있어 짧은 길이의 임플란트에서도 높은 임상적 성공률을 보인다.(그림2)
sintered porous surface는 1970년대 정형외과용으로 개발된 후 80년대 초에 치과 임플란트용으로 캐나다 토론토대학의 Deporter, Pilliar교수 등에 의해 개발되어 10년 이상 임상에 이용되어 왔다.
 |
|
2. Design & Size
직경 3.5mm (mini),4.1-mm (regular), 및 5.0mm (wide)가 시판중이고 길이는 mini implant는 9mm, regular implant는 7mm, 9mm, 12mm, wide implant는 5,7,9,12mm 길이의 임플란트가 판매되지만 토론토대학에서는 12mm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5mm, 7mm와 9mm를 임상에 주로 이용하고 있다. 보철물과의 연결은 0.7mm 혹은 0.9mm external hex가 이용되고 내년에는 internal hex가 판매될 예정이다(그림3).
root form의 형태로 인해 치조골의 협설측골의 천공 가능성이 적다. 또한 Dr.Deporter등의 보고에 의하면 crestal bone level이 10년 추적에서 crestal bone remodeling이 smooth collar와 porous surface의 경계부위에서 안정적으로 관찰되어 porous surface의 노출을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사료된다.
3. 임상적 장점
치조골의 위축으로 기존의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운 상하악 구치부에서 치조골의 높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상악동 골이식 혹은 block bone graft 등의 부가적인 수술이 일반적으로 요구되지 않아 환자나 술자에게 모두 만족스러운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그림 5). 이러한 porous surface는 osteoconductive하여 type IV bone quality에서도 골유착의 성공률에 영향을 받지 않아 상악 구치부에서도 높은 성공율이 보고되고있다.
임플란트와 치조골의 골유착이 3차원적으로 강하게 형성되어 불량한 치관/치근 비율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이고 bicortical stability가 요구되지 않는다. 임플란트의 동요도를 측정하는 Perio-test 측정에서도 길이가 긴 machined implant보다 더 큰 negative 값이 보고되었다. 보철적으로 splinting이 일반적으로 요구되지 않아 상부보철물 제작시 복잡한 기공적 기술이 요구되지 않아 비용이 절약되고 임상에서 chair time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과적으로 수술과정이 매우 간단하고 cover screw가 장착되어 있어 수술시간이 screw 임플란트에 비해 매우 절약된다. Healing abutment를 연결하여 2차 수술이 필요없는 1 stage procedure가 가능하다. 수입 임플란트 중 구입단가가 저렴하여 경제적 부담이 작다는 것이 또한 장점이다.
4. 임상적 성공?
토론토대학은 3개의 Endopore implant를 이용한 하악 완전무치악환자의 overdenture의 10년 추적 성공률을 92.7%를 보고하였고 이 결과는 길이가 긴 screw implant를 이용한 하악의 overdenture 성공률보다 뛰어나다. 또한 상악 부분무치악에서 평균 8.7mm 길이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어 40개월 추적한 결과 97.2%의 성공률, 하악 부분무치악에서는 평균 7.7mm 길이의 임플란트를 대부분 non-splinted prosthesis로 제작 후 2년 간 추적 한 결과 100%의 성공률을 보고하였고 일본 Nihon 대학에서는 94.6%의 성공률을 보고하였다. USA Study group에서도 8년 추적에서 상악에서 96.2%. 하악에서 95.8%의 성공률을 보고하였다. 또한 Deporter등은 상악동 골이식의 delayed procedure가 요구되는 잔존골의 높이가 3-4mm인 상악구치부에서 osteotome을 이용하여 상악동저를 올린후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100%의 성공률을 보고하였다. 본 교실에서는 97.2%의 Endopore implant의 성공률을 보였다.
5. 결론
위축된 치조골의 높이를 회복하기 위한 부가적인 수술 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