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풍부한 학술강연, 다양한 증례보고
구강내과학회, 23·24일 학술강연회 등

관리자 기자  2001.06.30 00:00:00

기사프린트

풍부한 학술강연, 다양한 증례보고 구강진단에서 법치학까지 구강내과학회, 23·24일 학술강연회 대한구강내과학회(회장 高明演) 주최로 2001년도 학술강연회 및 전공의 학술대회가 지난 23, 24일 이틀동안 조선치대 1층 강당에서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열렸다. 학술대회 첫날인 23일에는 구강진단학 및 구강내과학 분야에 권병기(연세대) 전공의의 ‘Pemphigus Vulgaris 환자의 전신 및 구강증상에 대한 증례보고’, 김대중(서울대) 전공의의 ‘구취 환자의 설태분포와 구취심도에 관한 임상적 연구’ 등 10명의 증례 발표가 있었다. 이어 측두하악장애학 및 구강안면 통증 분야에는 김미혜(원광대) 전공의의 ‘변형된 전방재위치 교합장치의 임상적 적용’, 김성훈(경희대) 전공의의 ‘구강안면 통증의 중추흥분효과에 대한 원리적 고찰’ 등 9명의 증례 발표가 진행됐다. 법치의학 분야에는 이윤회(조선대) 전공의의 ‘Dermirjian Method를 이용한 소아의 연령감정’이 발표됐다. 이튿날인 24일에는 李勝雨(이승우) 서울치대 교수의 ‘노화와 교합’, 徐奉稷(서봉직) 전북치대 교수의 ‘치과에서의 류마티스 질환자 관리’ 등 4명의 구강진단 및 구강내과학 분야에 대한 강연이 있었다. 법치의학 분야에는 성별판정을 중심으로 金鐘悅(김종열) 연세치대 교수의 ‘경조직에 의한 성별판정’, 尹昌陸(윤창륙) 조선치대 교수의 ‘의학적 관점에서의 성별감정’ 등 3명이 강연했다. 측두하악장애 및 구강안면동통 분야는 특히 근육성 통증장애를 중심으로 洪政杓(홍정표) 경희치대 교수의 ‘Muscle, Tendon and Ligament’, 韓敬洙(한경수) 원광치대 교수의 ‘근육성 통증장애의 감별진단’ 등 4명의 강연이 이어졌다. 李勝雨(이승우) 교수는 강연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각 구성 요소들이 어떻게 변하고 상호 영향을 미치는가는 노인 교합에서 중요한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신경철 기자>
다양한 임프란트 강연 마련 (가칭)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 100여명 참석, 성황 (가칭)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회장 이종진) 광주지부 창립총회 및 학술대회가 지난 23일 조선치대 2층 교실에서 개최됐다. 이날 학술대회에서는 吳喜均(오희균) 전남치대 교수의 ‘퇴축이 심한 하악골에서의 임프란트 매식술’, 鄭在憲(정재헌) 조선치대 교수의 ‘임프란트 나사의 안전성에 관한 고찰’, 임창준(바이오탑 연구소) 소장의 ‘Innovated graft technique for Implant surgery’ 등에 관해 강연이 진행됐다. 광주지부 창립총회에서 金秀官(김수관) 조선치대 교수가 광주지부 회장에 선임됐다. 이날 참석자는 100여명에 달했다. <신경철 기자>
치/과/대/학/2/제 임상병리학 문제 ‘OK’ 연세치대 임상연수원 구강병리학교실 연세치대 임상연수원 및 구강병리학교실 주최로 ‘임상에서 만나는 병리학 문제’에 대한 특강 및 증례발표가 지난 23일 연세치대병원 6층 제2세미나실에서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날 특강에는 金眞(김진) 치협 문화복지이사 겸 연세치대 교수의 ‘구강점막의 색소침착성 병소’에 대한 강연이 펼쳐졌다. 이후 증례발표에는 全勇燦(전용찬·수색연세치과) 원장의 ‘입천장의 갈색 변색을 동반한 연조직 증식’, 吳永鶴(오영학·세브란스치과) 원장의 ‘하악 잇몸의 착색 병소’, 김종우(하나치과) 원장의 ‘상악견치부 잇몸의 착색병소’, 黃鎭夏(황진하·황진하치과) 원장의 ‘입천장과 잇몸의 거대한 갈색 종물’ 등에 대해 발표됐다. 이밖에 특히 지난해 구강병리학교실에 생검의뢰를 한 자에게는 슬라이드를 직접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시간도 마련돼 참석자들의 많은 호응을 받았다. <신경철 기자> 설측브라켓 교정치료 경북치대 평생교육위원회 경북치대 평생교육위원회는 설측브라켓을 이용한 교정치료의 이론과 실습을 지난 23, 24일 이틀동안 경북치대에서 열었다. 이번 교육과정은 景熙文(경희문) 경북치대 학장이 책임연자로 참석, 최근 증가하고 있는 성인교정환자의 심미적 치료장치인 설측브라켓 교정장치의 이론적 배경과 실습을 통하여 설측 교정치료를 행할 수 있는 능력 배양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景 학장은 ‘심미 교정장치의 역사 및 설측브라켓의 종류’, ‘설측브라켓의 간접접착술 및 Mushroom Bracket Positioner 사용법’, ‘설측에서의 마이크로임프란트 Anchorage’, ‘각종 치료 증례’ 등에 관해 강연했다. 강의와 함께 진행된 실습은 Step by Step 실리콘 타이포돈트를 이용한 Wire Bending 실습을 바탕으로 진행됐다. <신경철 기자>
교합문제 원리부터 해결 임상 포인트 강의, 실습도 겸해 악기능교합학회 교합연수회 개최 대한악기능교합학회는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