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플랫폼이 보건 의료 영역에서도 무서운 성장세를 보이면서 불법 의료 광고, 환자 유인, 약물 오남용 등 여러 문제를 낳고 있는 가운데 치과의사 10명 중 8명꼴로 ‘과도한 홍보 비용 지출, 가격 비교’를 플랫폼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았다.
경기지부 소속 회원 362명이 참여한 설문 조사 결과, 이 같은 응답이 나왔다.
설문 조사는 지난해 8월, 2주간 진행됐다. 설문 문항은 플랫폼 관련 최근 이슈, 플랫폼의 필요성, 공공플랫폼에 들어갈 필수 콘텐츠 등에 대한 인식을 묻는 총 9문항으로 구성됐다.
우선 응답자의 77.9%는 “치과계에 공공플랫폼 개발 연구가 현실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고, “치과의사와 일반 국민이 모두 공공플랫폼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응답도 67.7%로 많았다.
나아가 74.9%는 “치과의사로서 공공플랫폼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민간 플랫폼에 대항하기 위한 사회적 책무에 동참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공공플랫폼에 필수로 들어갈 기능으로는 ‘학생 구강검진’이 56.6%로 가장 많았고, ‘치과 찾기’(37.3%), ‘응급 치료 치과 찾기’(32.9%), ‘환자 맞춤형 콘텐츠’(17.1%), ‘치과의사 맞춤 정보’(16.3%), ‘회원 커뮤니티’(10.2%) 등이 있었다. ‘가격 비교’ 기능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2.2%에 그쳤다.
또 응답자의 84.3%는 이러한 기능을 모두 포함한 구강보건 플랫폼이 제작될 시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아울러 응답자의 81.2%는 학생 구강 검진 시스템이 서류 없이 온라인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제작된다면 사용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병의원 회원으로서 민간 플랫폼을 이용해 본 적이 있는 응답자의 80%는 플랫폼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과도한 홍보 비용 지출’(43.3%)과 ‘가격 비교’(36.7%)을 지적하기도 했다. 또 ‘후기 작성’(16.7%) 문제도 꼽았다.
이번 조사 결과는 협회지 최근호에 실렸으며, 경기지부(최유성·양동효·전성원·김민희·이순임·이응주·김영관·민봉기),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예방치학교실(권혜진·정미리·조현재), 카이아이컴퍼니(정호정) 등이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