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의신보 1043호 시론에서도 지적했듯이 약화사고를 방지하고 환자나 약사와의 분쟁소지를
최소화하기 위하여서는 치과진료시 사용되는 약물의 특성과 부작용, 약물상호작용 및
복약방법 등을 숙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작년 후반기 전국의 치과의원에서 의료보험에
청구한 약물은 국소마취제와 주사제를 포함, 2억4천7백4십8만단위에 이르렀으며 이를
성분명으로 분류하면 1백60종이 됩니다. 필자는 이와 같이 치과에서 사용된 약물들을 다시
① 항생제와 화학요법제 ②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 ③ 항염증효소제 ④ 소화제 ⑤
제산제 ⑥ 기타약물및 처방전 발행요령 등으로 나누어 그 성분과 상품명, 사용량과 적응증,
부작용과 전신작용, 약물간의 상호작용, 기본적인 복약상식 및 전반적인 사용상의 주의사항
등을 논하고 이를 향후 수회에 걸쳐 연재하고자 합니다. 따라서 본 특집에서 논의되는
약물은 예외없이 지난해 하반기에 단 한번이라도 치과에서 사용된 적이 있는 약품들이며,
약물 종류의 글머리엔 사용빈도 및 전반적 주의사항을 제시한 후 해당약물의 계열별로
설명이 이루어 졌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난호에 계속>
5. Tetracycline계 항생물질.
※ 작용기전은 단백합성을 저해시키는 정균제(Bacteriostatic). 합성중인 펩타이드 사슬에
새로운 아미노산이 추가되는것을 막음으로써 세균의 단백 생합성을 방해. 광범위 항생제로써
그람양성, 그람음성, 혐기성균외에도 미코프라즈마, 리켓챠, 클라미디아, 아메바에 주효.
※ 테트라사이클린 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부작용.
1. 발진, 위장관계 부작용 2. 신장애 유발 3. 임부나 8세 이하의 아동에게는 투여금기(태아의
뼈에 위해. 치아변색. 에나멜 형성부전) 4. 혈액응고성 저하. 5. 광과민증 6. 간장애. 7.
비타민B 결핍초래. 8. 양성 두개내 고혈압(두통, 시각장애, 시신경원판의 울혈, 유두부종
야기)
※ 테트라사이클린 계의 사용시 주의점.
1. Sulfonyl-Urea 계의 혈당강하제의 작용을 증가시켜 저혈당 초래가능.
2. 금속이온(Ca, Mg, Fe)과 킬레이트 형성. 그러므로 제산제나 철분제제는 이 약과 최소한
2시간의 간격을 두고 복용해야됨. 육류나 우유같은 유제품역시 식전 1시간 또는 식후
2시간에 약물복용.
3. 경구용 피임약의 효과를 저하시킴.
4. 유효기간이 지난 Tetracycline 복용시에는 치명적인 신장애 유발. 또한 다발성 기형을
수반하는 체질성 범골수증(Fanconi-like syndrome)을 유발하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투약은
금기.
5. 페니실린계나 세파계등 살균성 항생제와의 병용은 금기.
◎ 치과에서 사용된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물질의종류와 특성,상품명.
1) Doxycycline Hcl; 항균력 증강, 클라미디아(성병)에 탁효.대부분의 일반감염균에 효과.
위장장애가 있으므로 다량의 물과함께 복용하고 복용후 30분간 눕지않도록 한다. 위장장애
시 음식과 함께 투여. 공복시 흡수양호하나 음식과는 거의 무관.
용량;1회 100mg.첫날은 12시간마다 투여하되 유지량은 1일 100mg.
상품명; 바이브라마이신엔 정/화이자. 세로독시 정/동광. 유니독신캅셀/국제. 모노사이클린
캅셀/명인. 브로마이신킵셀/삼천당. 스테바이신캅셀/코오롱. 클로란정/한올. 독시사이클린
캅셀/동구, 신일, 영풍, 한서, 한일약품.
2) Minocycline Hcl; 안정성, 용해성, 체내동태개선. 항균력은 TC와 동일하나 내성균 증가.
음식, 우유와 함께 복용가능. 초회200mg, 이후 12시간마다 100mg.
상품명; 미노씬캅셀/사이나미드. 미노사이클린 캅셀/명인, 신풍제약.
3) Tetracycline Hcl; 250mg/q6h 또는 600mg/q12h. 식전 1시간 또는 식후 2시간에 복용.
연쇄상구균 감염에 효과.적어도 10일간 투여해야함.
상품명; 리지노마이신/중외. 테트라리살정/삼성제약.
그 외에도 Oxytetracycline등이 있으나 내성균증가로 사용이 극감.
6. Quinolone 계의 항생물질.
※작용기전은 DNA gyrase의 A 소단위와 결합하여 효소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세균의 DNA
형성을
방해하는 핵산합성 억제제. Cephem계를 능가하는 탁월한 약효. 포도상구균, 녹농균등에 탁효.
※이계열 약물의 공통부작용; 1.어깨, 손, 아킬레스건 파열. 환자가 통증,염증, 건파열을
느끼는 경우는 투여를 중지. 건파열은 이 약의 투여중이나 투여후에도 나타날수 있음. 2.
호흡곤란과 혈압저하, 부종, 홍조를 동반하는 쇼크. 3. 광과민증, 발진, 가려움. 4.S-J증후군. 5.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병용시 경련, 발작이 일어날수 있으므로 주의. 6. 신기능 장애. 7.
불면이나 근육통, 탈력감 유발가능. NSAIDs(특히 Fenbufen) 병용시 발작
※Quinolone계 항생물질의 사용시 주의점; 제산제나 철분제제는 이 약의 흡수를 방해.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