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문으로 듣는 것보다
꼭 한번 다녀와야 할 곳이다
부모 형제의 만남이 속히 이뤄지길
<1303호에 이어>
5) 구룡연코스 : 오전 9시 30분경에 셔틀버스를 타고 신계사 빈터를 지나 구룡연코스의 초입에 도착했다. 조금 올라가니 목란관 식당이 있다. 여기는 노점에 북한산 토산품, 간이식품, 매점, 기념품도 있고 커피도 마실 수 있다. 쉬는 곳도 된다. 북한 여성들이(20대) 물건, 과자, 빵을 팔고 있었다. 언행이 부드럽고 상냥하였다.
우리는 산행을 시작했다. 날씨는 더웠다. 나는 반팔입고 올라가야 했다. 30°C전후 정도인 듯하다. 구룡연코스는 장전항, 온정리, 신계시터, 주차장, 목란관(등산초입), 옥류천계곡, 양지대, 삼록수, 금강문, 옥류동 무대바위(춘원과 육당이 걸터앉아 금강산 예찬), 연주담, 비룡폭포, 그리고 높이 74m, 깊이 13m의 구룡폭포까지 가고 하산한다. 등산로에 흙은 없고 돌을 전부 깔아놓고 시멘트를 돌 사이에 메웠다. 한마디로 돌길이다. 왕복 4시간~4시 30분 걸리는 코스에 이렇게 돌만 밟고 다니니 발이 편치 않고 무릎이 망가질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부는 완주하고 일부는 절반만 갔다가 돌아왔다. 산행중 간이화장실을 이용할 때는 남자는 1달러, 여자는 4달러의 돈을 내야하고 방뇨시에는 경위서를 쓰고 벌금이 있다고 한다.
산행의 좌우에는 미인처럼 날씬하다고 하여 미인송, 큰소나무 등이 빽빽이 들어섰다. 물은 적었지만 맑고 깨끗했다. 마실 수도 있다고 한다. 쉼터근방에는 거의 김일성, 김정일 찬양하는 비석이 세워져 있다. 근방에는 20대 젊은 북한 감시원이 1~2명씩 가는 곳 마다 있었다. 비석주위 받침대 돌에는 앉지도 못하고 발도 얹을 수 없게 하고 있었다. 계곡은 아름답고 신선한 공기에 정말 몸과 마음이 편했다. 많은 인파에 나도 놀랐다. 청계산에 주말에 몰린 인파와도 같게 보였다. 초·중고, 대학생 등 수학여행도 온다.
등산객은 엄마가 안고 있는 3~4살 꼬마에서부터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대학생, 일반인, 70~80세 노년층도 많이 올라가고 내려오곤 하였다.
노년층은 절반정도 올라가고 내려오는 분들도 만났다. 길이 다소 험하고 힘들다고 하였다.
6) 금강산 온천(Hot Spa) : 우리는 하산하여 셔틀버스를 타고 다시 온정리에 왔다.
여기는 북측에서 직영하는 식당이 있고 현대가 운영하는 식당 두곳이 있다. 북측식당에는 미리 예약해야되고 현대는 아무 때나 들어가 먹을 수 있다. 설렁탕 등은 10달러이다. 이곳은 US달러만 통한다. 나는 설렁탕을 먹었다. 종업원은 전부 조선족 20대였다. 친절하고 반가워했다. 점심식사후 그 유명한 금강산 온천을 갔다. 입장료는 12달러였다. 온천은 지하 203m에서 일일용출량이 670 ton, 수온이 40°C인 100% 천연온천수 만을 사용하는 최신시설의 온천이다. 또한 무색 무미의 중탄산나트륨이 주성분인 금강산 온천수는 피부병과 피부미용은 물론 신경통, 류마티스질환, 근육통, 그리고 만성스트레스 해소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한다.
온천에도 초만원이다. 가는 곳마다 사람들이 넘친다. 우리는 기념촬영을 하고 커피(1달러)도 마시고 기념품 가게에도 들어가 이것저것 구경하고 사기도 했다. 오후 4시 30분 경에 버스에 타고 남측으로 출발했다.
7) 통일전망대 : 휴전선을 넘어 중앙선이 있는 도로를 지나 씩씩하고 늠름한 우리 장병들을 보니깐 안도의 한숨이 절로 나왔다. 오후 6시경 남측 출입사무소에 도착하여 입국수속을 잘 마치고 밤12시30분경에 서울에 무사히 도착하여 자유해산 했다.
결론은 일단 한번은 가보는 것이 좋다는 생각이다.;
백문불여일견(百問不如一見)이라고 하듯이(Seeing is believing) 소문으로 듣는 것보다 꼭 한번 다녀와야 할 곳이다. 출입국 검사소 CIQ(Custom Immigration Quarantine)북측이 다소 까다로울 뿐이다. 과거 처음보다 모든 것이 매우 완화되어 별로 불편한 점이 없다고 본다. 가장 아쉬웠던 것은 이산가족 면회소가 설치되어 있는데 북에 가족을 두고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