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 임플란트 임상‧최신 트렌드 ‘시너지’

  • 등록 2025.03.26 19:36:12
크게보기

아날로그‧디지털 주제 강연, 포스터 발표 눈길
이식학회 춘계학술대회, 임상 통찰력 제고 중점

 

임플란트 정통 임상 기법과 최신 노하우가 모두 담긴 학술 강연이 성공적으로 끝났다.

 

대한치과이식임플란트학회(이하 이식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가 지난 23일 서울대치과병원 8층 대강당에서 열렸다.

 

‘KAID, the new trending leadership’을 대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세션1. 풀마우스 임플란트 보철의 통합적 접근 ▲세션2. 임플란트 치주-보철 ‘과거와 최근 비교-트렌드를 선도하는 치주보철 기법’ ▲세션3. 임플란트 수술시 부가적 재료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전망 BMP, PDRN and so on을 주제로 강연이 펼쳐졌다.

 

우선 세션1에서는 ‘아날로그 기반 다수 임플란트 치료의 접근’을 주제로 강연에 나선 김성언 원장(세종치과의원)이 단일치아에서 전악에 이르기까지 Surgical Stent를 대신한 아날로그(Analogue)적 방법에 관해 강의했다. 이어 백채환 원장(뉴삼성치과의원)은 ‘디지털 전악수복의 밸런스를 위한 고려사항’을 주제로 전악 가이드 임플란트 수술 후 디지털 데이터를 기반으로 조화로운 보철물을 제작하는데 고려할 수 있는 임상적 요소와 실질적인 노하우를 공유했다.

 

또 노관태 교수(경희대치과병원)가 ‘이해하면 쉬워지는 전악 임플란트 수복치료’를 주제로 무치악 환자의 고경과 치아위치가 심미성에 미치는 영향, 무치악 환자의 정보를 기공실로 쉽게 전달하는 법 등을 강의했다.

 

아울러 세션2에서는 ‘쉽고 빠름을 지향하는 임플란트 트렌드 변화! 좁은 골폭과 발치와에서 쉽고 안전한 임플란트 치료법’을 주제로 정철웅(첨단미르치과병원)이 새로운 형태의 Multi-level Implant(TLplant)를 개발, 임상에 적용한 증례를 선보였다.

 

또 강익제 원장(엔와이치과의원)이 Cementless 보철방식의 특징과 적응증에 대해 설명했으며, 이창규 원장이 ‘임플란트 30년: 아쉬움과 기쁨의 여정’을 주제로 강의했다. 이 밖에 ▲김수홍 원장(그대를위한치과의원) ‘골형성단백질의 임상응용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윤종일 원장(연치과의원) ‘PDRN의 올바른 이해와 골면역학’ ▲서미현 교수(서울대치과병원)가 ‘성공적인 임플란트 수술을 위한 Key Material : 필수인가, 선택인가?’ 등 다양한 강연이 펼쳐졌다.

 

이날 현장은 강연뿐만 아니라 포스터와 치과계 업체 전시회 등 다양한 볼거리로 참가자들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오전 세션부터 강연장에는 참가자들로 가득 찼으며, 포스터 발표 현장에도 임상에 관한 설명을 듣는 이들이 다수를 이뤘다.

 

 


■치과이식임플란트학회 춘계학술대회 임원진 기자간담회

 

 

“트렌드 다듬고, 정리하며 새 길 제시”

디지털 등 최신 주제 선정 높은 참여로

 

“최신 주제를 다듬고, 또 정리하는 우리 학회의 노력에 많은 임상가들이 화답했습니다.”

 

대한치과이식임플란트학회 춘계학술대회 기자간담회가 지난 23일 서울대치과병원 학회 사무실에서 열렸다. 이날 송영대 회장과 김용호 학술위원장, 노관태 학술대회장, 홍성진 준비위원장 등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학술대회 개최 관련 소회를 밝혔다.

 

송영대 이식학회 회장은 “학술단체는 학술 행사가 존재 이유인 만큼 성공 개최를 위해 최선을 다해 준비했다”며 “특히 이번 학술대회 물론 학술집담회, 임플란트 아카데미 등 여러 가지 학술 행사를 알차고 내실 있게 준비하려고 많이 노력했다”고 강조했다.

 

노관태 학술대회장은 “트렌드를 반영해 학술 주제로 정했는데 현장 참가자들이 많았다”며 “최근 전악 임플란트, 디지털 등에 관심이 높은 만큼 참가자들이 몰렸고, 오후에도 트렌드를 반영하는 주제들이 많으니 끝까지 참여가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김용호 학술위원장은 “너무 새롭고 산만해질 수 있는 내용들을 우리 학회가 정리하며 다듬고, 일부 내용은 경계하자는 자세로 이번 학술대회를 준비했다”고 강조했다.

정현중 기자 hjreport@dailydental.co.kr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대한치과의사협회 회관 3층 | 등록번호 : 서울, 아52234 | 등록일자 : 2019.03.25 | 발행인 박태근 | 편집인 이석초 대표전화 : 02-2024-9200 | FAX : 02-468-4653 | 편집국 02-2024-9210 | 광고관리국 02-2024-9290 | Copyright © 치의신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