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장기 성공 임상 포인트 짚는다

  • 등록 2025.11.05 17:07:51
크게보기

덴티스 OF ‘CLIP 2026’ 1월 10일
생체적합성 기반 다양한 접근법 공유
인터뷰 - 권긍록 학술위원장

“이번에는 임플란트와 상부 수복물의 디자인 및 소재(material) 등 장기적 성공을 담보하는 임상적 포인트를 중심으로 논의할 계획입니다.”

 

덴티스 플랫폼 OF가 오는 2026년 1월 10일 서울 롯데월드타워 SKY31에서 ‘CLIP 2026’을 개최하는 가운데 4년 연속 학술위원장을 맡은 권긍록 교수(경희치대)가 이 같은 소회를 밝혔다.

 

CLIP(Clinician’s Perspective)은 매년 1월 열리는 OF의 대표 학술 행사로, 치과 임상의 최신 트렌드를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임상가 중심의 주제 선정과 근거 기반 강연 구성으로 매년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올해 4회차를 맞은 CLIP 2026은 ‘Implant Therapy: Harmony with Surrounding Tissues Based on Bio-compatibility(임플란트 치료: 생체적합성 기반 주변 조직과의 조화)’를 대주제로 진행된다. 이번 컨퍼런스는 권긍록 교수를 중심으로, 권용대·정의원·이규복·이기준 교수 등 국내 주요 치과대학 전문가들이 각 세션을 담당한다. 문헌 기반 증례와 토의형 강연이 결합된 세션 구성으로, 단순 지식 전달을 넘어 임상가 간 실질적인 인사이트 교류의 장이 될 전망이다.

 

권긍록 교수는 이번 CLIP 2026의 전체 구성과 방향에 대해 대주제인 ‘생체적합성에 근거한 주변 조직과의 조화를 이루는 임플란트 치료’를 완성하기 위해 각 세션별로 다양한 접근법을 소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또 교정 세션에서는 최종 수복물이 주변 조직과 이상적으로 조화를 이루도록 수복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과 다양한 교정적 배열(orthodontic alignment)을 소개하며, 임상가들이 실제 진료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 인사이트를 제공할 예정이다.

 

권긍록 교수는 “주변 골 상태에 따른 임플란트 선택 전략과 더불어, 생체적합성이 단순한 재료적·물리적 요인을 넘어 시술자의 판단과 접근이라는 인적 요인(human factor)까지 포함된다. 또한, 임플란트 고정체와 상부 구조의 연결과 크라운을 포함한 수복물이 주변 연조직과 조화롭게 자리하는 것이 장기적 성공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임플란트가 치과 임상에 도입된 이후 진료 형태와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했다"며 “초기에는 골유착(osseointegration)에 관심이 집중됐으나, 현재는 심미적 보철 구조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에 관심이 모이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임플란트가 개발·시판되면서 선택의 폭은 넓어졌지만 오히려 선택 방법은 더 어려워졌다. 이에 관한 임상 포인트를 중심으로 논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권 교수는 끝으로 CLIP은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니라 임상가들이 현장에서 마주하는 고민을 함께 논의하고 해답을 찾는 자리라고 강조했다. 그는 임상에는 왕도가 없고 하나의 정답만 존재하지 않으며, 다양한 임상 술식에 대한 이해와 각 방법의 근거를 명확히 아는 것이 진정한 전문성의 시작이라고 전했다.

 

권 교수는 “주제를 선정할 때 다양한 임상 분야 오피니언 리더에게 자문을 구해 실제로 많이 회자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세부 세션별로 해당 분야 전문가를 좌장으로 모시고, 연구와 임상 양쪽에서 저명한 연자들이 각자의 시각에서 다른 접근법을 소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근거 중심의 임상 강연과 연구와 임상의 균형을 동시에 유지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정현중 기자 hjreport@dailydental.co.kr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대한치과의사협회 회관 3층 | 등록번호 : 서울, 아52234 | 등록일자 : 2019.03.25 | 발행인 직무대행 마경화 | 편집인 이석초 대표전화 : 02-2024-9200 | FAX : 02-468-4653 | 편집국 02-2024-9210 | 광고관리국 02-2024-9290 | Copyright © 치의신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