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르포 / 미국 치과전문인력의 현황 및 운영체계 1 (13면)

  • 등록 2010.07.12 00:00:00
크게보기

(12면에 이어 계속)

 

- 교육체계


미국에는 CODA가 인증하는 치과위생사 교육과정이 약 270개 정도 존재한다. 이러한 교육과정들은 전문대학과 대학교에서 이루어지는데, 모든 과정은 2년 이상이며, 주로 전문대학에서 이루어지는 2년 교육과정을 수료하면 준학사 자격을 수여받게 되고 치과위생사 면허시험에 응시할 자격을 갖추게 된다.
대학교에서 이루어지는 4년제 이상의 교육과정은 교육자로서의 교육과 연구, 그리고 학교와 공공기관에서의 진료를 위해 요구될 수 있는 과정으로 면허시험 응시자격 외에 학사 또는 석사의 자격을 수여한다.


치과위생사 교육커리큘럼에는 영어·연설·심리학과 같은 기본 교양수업과 전공과목으로 해부학·생리학·약리학·면역학·화학·미생물학·병리학의 기초과학 및 치과위생학·방사선·치과재료학과 같은 임상교육을 포함하고 있다.
면허 응시 자격을 취득하면 치과의사면허의 필기시험 격으로 시행되는 NBDE와 같이 Joint Commission on National Dental Examinations의 주관으로 시행되는 NBDHE(National Board Dental Hygiene Examination)을 합격하고 각 주별로 시행하는 면허시험을 통과하여 각 주별로 인정하는 면허를 취득할 수 있다. 면허를 취득한 후에는 치과위생사로서 자신의 이름 뒤에 R.D.H.(Registered Dental Hygienist)를 자격명을 사용하여 주에서 인정받은 면허 취득자임을 표시할 수 있다.

 

- 인력수급적 측면


2007년 기준 미국 내 진료중인 전체 치과의사 수는 약 18만1000명, 이 중 개원의는 약 16만7000명이다. 단순히 전체 인원수로만 생각해도 약 13만명이 진료를 수행하고 있는 치과위생사보다 5만명 가량이 많다.
Dental Team이 최소한 1명씩의 팀원을 확보해야 완벽하고 원활한 진료가 가능한 기준이라고 할 때, 치과기공사와 같이 현장에 같이 있지 않아도 되는 팀원이 아닌 치과위생사의 수가 적다는 것은 아직까지 인력수급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미국은 일찌감치 치과조무사라는 직종을 양성하고 이를 최대한 활용하였기 때문에, 또한 치과위생사가 파트타임제로 두 곳 이상의 치과의원 근무가 가능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진료를 진행해 갈 수는 있었으나 치과위생사와 치과조무사 사이의 업무범위 차이로 인해 결국 적절한 인력수급 방법이 꾸준히 추구되고 논의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단순히 미국 전체 직종별 인력 수 만으로도 알 수 있지만, 지역적 편차를 고려하면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의 수는 더욱 부족하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당연히 이러한 상황에서 치과의사 수를 줄일 수는 없고, 치과위생사 수를 늘리는 것 또한 근본적인 방법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 인식되어 현재 ADA에서는 치과조무사와 치과위생사 사이의 업무범위를 가진 두 개의 직종에 대한 인증절차를 준비해 가고 있다. ADA에서 조사한 치과인력 고용현황 통계자료를 보면, 2007년 기준으로 전체 개인치과의원에서 고용하고 있는 인력 1위는 치과조무사로 94.2%이고, 그 다음이 리셉셔니스트로 91.0%, 3위가 68.0%로 치과위생사이다. 또한 최근 10년 내에 개원한 개인치과의원에 대해서는 치과조무사가 1위로 99%, 리셉셔니스트가 92.8%로 2위, 치과위생사는 역시 3위로 71.1%가 고용하고 있음으로 조사되었다.


 최소한 치과의원 3곳 중의 한 곳에서는 치과위생사를 고용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이 자료를 볼 때, 동 통계치가 파트타임 고용 수치도 포함하였다는 것을 고려하면, 치과위생사의 고용은 단순한 인력수급 문제 뿐만 아니라 치과위생사의 사회적 역할 증대 및 치과조무사의 성장과 함께 필수진료인력이 아닌 더 좋은 진료를 위한 선택인력의 개념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다음호에 계속>

 


바로잡습니다
지난 4월 22일 치의신보 1831호 8면에 게재된 김태훈 대리의 현지르포 ‘미국치과의사협회를 가다’ 기사내용 중 치과대학 졸업학위로 표기됐던 D.M.S.를 ‘D.M.D.(Doctor of Dental Medicine)’로 정정합니다.

 

관리자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

관련기사 PDF보기





주소 :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대한치과의사협회 회관 3층 | 등록번호 : 서울, 아52234 | 등록일자 : 2019.03.25 | 발행인 박태근 | 편집인 이석초 대표전화 : 02-2024-9200 | FAX : 02-468-4653 | 편집국 02-2024-9210 | 광고관리국 02-2024-9290 | Copyright © 치의신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