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27일부터 10월 3일까지 국제표준화기구/치과전문위원회 (ISO/TC 106) 국제 회의가 태국 방콕에서 개최되었다. ISO/TC 106 국제회의는 매년 9월에서 10월경 사이에 개최되는데 2013년에는 대한민국 송도에서 개최되었고, 이듬해인 2014년에는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 것에 이어 이번이 51번째 국제회의이다.
ISO/TC 106 국제 회의는 170개의 치과 관련 국제표준문서를 제정, 개정, 폐기하는 회의로 전세계 27개국이 P-member로 투표권을 가지고 참여하고 있고, 17개국이 O-member로 참관 자격으로 참여하고 있는 대규모 국제 회의이다. 대한민국은 투표권을 가지고 있는 국가 중의 하나로 이번 2015년 방콕 국제회의에는 ISO/TC 106 한국대표인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김경남 교수님을 비롯하여 치과관련 학계 및 산업계 전문가 총 19명이 참석하여 국제 회의에서 대한민국의 의견을 적극 개진하였다. 많은 인원이 참가한 만큼 이번 2015 방콕 총회에서는 대한민국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무엇보다도 큰 쾌거는 대한민국에서 제안한 표준(안)이 최초로 정식 국제표준으로 승인되어 발행된 것이다. 새로 승인 및 발행된 국제표준은 상악동 거상술에 사용되는 “오스테오톰”에 관한 것으로(17937:2015 Dentistry – Osteotome) ㈜오성엠앤디 최인준 대표를 비롯하여 한국 대표단의 4년여간의 노력으로 일궈낸 성과이다. 이 밖에도 현재 대한민국이 제안하여 심의 중인 국제표준은 6건으로 앞으로 개최되는 ISO/TC 106 총회에서 매년 대한민국이 제안한 표준(안)이 새로운 국제표준으로 승인 및 발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은 이에 그치지 않고 2016년 국제회의에서 4개의 국제표준을 신규로 제안할 것을 이번 회의에서 발표하였다.
국제표준 개발 이외에도 대한민국의 국제표준 활동은 신설된 SC 4/WG 14 (Materials for dental instruments)에 대한민국의 권재성 연구원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생체재료공학교실)이 좌장 (Convenor, 작업반 전체 회의 주관)으로 임명됨으로써 그 활약을 보였다. 국제 표준 WG의 좌장은 2012년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치과생체재료학교실의 오승한 교수님 (SC 9/WG 4)께서 대한민국 최초로 임명된 데에 이어 이번이 2번째이다. 권재성 연구원은 근관길이 측정기, 열가소성 근관충전기 등 소형 치과용 의료기기에 대한 신규 표준 제정을 위한 특별작업반 (Ad-hoc group)의 프로젝트 리더도 함께 맡게 되어 국제 표준을 이끌어 나갈 새로운 인물로 급부상하였다. 더불어 새로운 국제표준을 제ㆍ개정하기 위하여 동일한 시험을 여러 나라에서 수행한 후 그 결과를 비교하여, 실험 방법과 결과값의 요구치가 정당한지를 검토하는 Inter laboratory test (ILT)를 진행하는데, 우리 대한민국도 구강관리용품의 불소농도 측정 시험에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학교실 김백일 교수님, 교정용 브라켓 부식시험에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의료기기 시험평가센터 이상배 부소장님이 참가하기로 하여 대한민국의 수준 높은 시험평가 능력을 인정받았다.
ISO/TC 106 국제 회의는 장장 6일에 걸쳐 각 SC/WG 별로 동시다발적 회의가 진행된다. 마지막 날에는 전체 SC/WG에서 논의된 내용을 총망라하여 각국의 투표로 회의 결정사항을 승인하는데, 그 어느 때보다도 ‘대한민국’이 가장 많이 언급된 회의가 아닐까 싶다.
ISO/TC 106 회의는 표준을 제ㆍ개정하는 국제회의인 만큼 치과산업 표준에 대한 최근 동향을 가장 먼저 접할 수 있는 자리이다. 이번 방콕 총회에서도 수종의 국제표준이 각국의 투표 결과에 의해 제ㆍ개정 되었음이 보고되었다. 제개정 국제표준 문서는 <표>와 같이 탄성고무인상재, 수성콜로이드 인상재, 치과 장비에 대한 그림 심볼, 치과용 유닛의 공기, 물, 흡입 및 수관 시스템, 치과용 유닛의 수관 바이오필름처리 시험방법, 구강관리용품-구강세정제, CAD/CAM 시스템용 디지털 장비의 정밀도 시험방법 등이다.
표. 2015년에 제ㆍ개정된 국제표준
표준번호 | 표 준 명 |
ISO 4823:2015 | Dentistry - Elastomeric impression materials |
ISO 21563:2015 | Dentistry - Hydrocolloid impression materials |
ISO 17937:2015 | Dentistry - Osteotome |
ISO 9687:2015 | Dentistry - Graphical symbols for dental equipment |
ISO 7494-2:2015 | Dentistry - Dental units - Part 2: Air, water, suction and wastewater systems |
ISO 16954:2015 | Test methods for dental unit waterline biofilm treatment |
ISO 16408:2015 | Dentistry - Oral hygiene products - Oral rinses |
ISO 12836:2015 | Dentistry - Digitizing devices for CAD/CAM systems for indirect dental restorations - Test methods for assessing accuracy |
또한, 최종 국제표준 발행 이외에도 치과 산업계 및 학계에서 눈 여겨 보아야 할 사항들이 아래와 같이 논의되었다.
1.ISO 6877 Dentistry-Root-canal obturating points에 “열가소성 커타퍼차의 흐름성 시험방법”을 추가하기로 함.
2. 아말감 재료에서 수은의 사용이 제한되면서 기존의 아말감 규격(ISO 24234)은 아말감 분말과 수은 주머니(sachet)에 대한 규격으로 변경되고 대신 ISO 20749 Dentistry - Pre-capsuled dental amalgam이 신규제안 표준으로 통과됨.
3. 레진 재료에 대한 자연광 민감도 실험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제논 램프 대신에 광중합기를 사용할 것을 제안함.
4. 고분자계 계속가공의치재료 관련하여 자연광에 대한 민감도 시험은 삭제함.
5. 광활성화 시멘트에서 코어 축조용 재료와 실란트 재료를 범위에 포함시킴.
6. 매몰재 및 내화성 다이 재료는 사용 시 주의사항을 포함한 information paper를 포장에 동봉하거나 QR 코드 등의 형태로 포장 표면에 표기함.
7. 핸드피스 표준에 라이트가 장착된 핸드피스를 포함시키기로 함.
8. 한국이 제안한 열가소성 근관충전기 팁(바늘)에 대한 신규제안은 “기타근관충전기구”에서 다르기로 함.
9. 전동칫솔에서 칫솔부의 유지력은 50MPa 이상으로 결정함.
10.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기술문서 중 ‘adhesive strength’에 대하여 color marking을 위한 TiN 등의 코팅은 코팅에 포함시키지 않음.
11.SLA 등의 표면처리는 코팅이 아님.
개인적으로 처음 참석하는 ISO/TC 106이었는데, 치과의료 기술을 선도하는 미국, 독일, 일본 등에 결코 뒤쳐지지 않고 어깨를 나란히 하는 대한민국 대표단을 보면서 가슴 뭉클할 정도의 뿌듯함을 느꼈다. 또한, 정식 회의가 시작되는 날 저녁에 대한치과의사협회에서 주관하는 “한국의 밤”이 개최되어 한국대표단 모두가 한자리에 모여 각 SC별 표준 논의 사항에 대하여 의견을 교환하고, 국제 표준화 개정 방향에 대한 대한민국 산업계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들에 대하여 토론을 나누었다. 뿐만 아니라 미국대표단을 초청하여 미국의 표준활동에 대한 정보를 취합할 수 있어 뜻 깊은 자리가 아닐 수 없었다. 좋은 자리 마련과 더불어 맛있는 음식까지 신경 써주신 대한치과의사협회 김종훈 부회장님과 강충규 자재ㆍ표준 이사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이번 ISO/TC 106 방콕총회에서 아쉬웠던 점은 다른 나라에 비해 산업체 담당자의 참여율이 저조하여 대한민국은 학술적인 측면은 막강하나 기술적인 측면이 다소 부진했다는 것이다. 제조업체 개발자가 국가 대표로 참석한 일부 국가에서는 자국 업체에만 유리한 결과를 유도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대한민국도 이러한 흐름에 자칫 피해를 받지 않도록 제조업체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다방면에 막강함을 보일 수 있기를 바란다.
마지막으로, 국제표준을 위한 지속적인 대한민국의 활발한 활동을 위하여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아낌없는 지지와 지원을 희망하며, 내년에 개최되는 노르웨이에서의 ISO/TC 106 국제회의에 산업계와 학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이 있기를 고대한다.
이은정
연세대 응용생명과학과 치의학 전공 박사
(사)대한치과의사협회 사업국 표준담당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