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환자 발치 줄고, 스케일링 늘었다

  • 등록 2025.07.23 21:17:33
크게보기

발치 10만 명 감소, 스케일링 342만 명 껑충
충치 치료 소폭 증가, 치아 홈메우기 큰 걸음
심평원, 2020~2024년 통계

최근 5년간 치과 발치 환자는 줄고 스케일링 환자는 크게 늘었다. 또 충치 치료가 소폭 늘어나는 동안, 치아 홈메우기는 큰 걸음을 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은 최근 2020~2024년 별도산정수가 포함 항목에 관한 통계를 발표했다. 별도산정수가 포함 항목이란, 기본 행위 산정 후 조건에 따라 추가로 별도 산정하도록 만들어진 수가다. 예를 들어, 장애인 가산 수가 항목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에 따르면, 지난 2020~2024년 발치 환자는 10만여 명 줄었다. 추이를 살펴보면 ▲2020년 584만 명에서 ▲2021년 597만 명으로 소폭 올랐으나, 그 뒤 내림세로 접어들어 ▲2022년 586만 명 ▲2023년 581만 명 ▲2024년 574만 명까지 내려섰다.


이처럼 발치가 뒷걸음질하는 동안 스케일링(치석제거)는 껑충 뛰어올랐다.


같은 기간 스케일링 환자는 ▲2020년 1340만 명 ▲2021년 1443만 명 ▲2022년 1505만 명 ▲2023년 1599만 명 ▲2024년 1682만 명으로 지난 5년 동안 단 한 차례의 감소도 없이 342만 명가량 수직 상승했다.
충치 치료(떼우기)와 치아 홈메우기도 일부 변동이 있었다.


이 기간 충치 치료는 ▲2020년 572만 명 ▲2021년 573만 명 ▲2022년 556만 명 ▲2023년 567만 명 ▲2024년 580만 명으로 등락을 거듭한 끝에 8만 명가량 늘었다.


또 이와 더불어 치아 홈메우기도 전진했다. ▲2020년 61만 명에서 ▲2021년 75만 명으로 대폭 증가한 치아 홈메우기는 이듬해인 ▲2022년 71만 명으로 꺾였으나, ▲2023년 72만 명 ▲2024년 74만 명까지 빠른 회복세를 보이며, 결과적으로 최근 5년 동안 13만여 명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 발치·스케일링 60대 가장 많아
연령대별 지표도 눈여겨볼 만하다.
먼저 발치 환자는 60대 이상에서 35만여 명 크게 늘었다. 이 가운데 남성은 19만 명, 여성은 16만 명으로 남성 발치 환자 증가량이 여성보다 컸다. 반면, 60대 미만 환자 발치는 모두 줄었으며, 특히 0~9세 환자 감소량이 19만 명으로 가장 컸다.


스케일링은 20대가 약 8만 명 증가하며, 전 연령대에서 증가세가 제일 더뎠다. 반면 가장 스케일링을 많이 받은 환자 연령대는 60대로 이 기간 101만 명가량 늘며, 전체 증가량의 약 30%를 차지했다.


충치 치료는 60대 이상과 10대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이 기간 50대 미만 환자 증감 수는 연령대별로 적게는 5만 명, 많게는 28만 명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지만, 10대는 약 5만 명 늘었다. 이와 더불어 50대는 2만여 명, 60대 이상은 50만 명가량 증가했다.


환자 수와 관계없이 진료금액은 모든 행위에서 증가했다. 2020~2024년 항목별 증가액은 ▲발치술 264억 원 ▲스케일링 2421억 원 ▲충치 치료 553억 원 ▲치아 홈메우기 177억 원 등이었다.

천민제 기자 mjreport@dailydental.co.kr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대한치과의사협회 회관 3층 | 등록번호 : 서울, 아52234 | 등록일자 : 2019.03.25 | 발행인 박태근 | 편집인 이석초 대표전화 : 02-2024-9200 | FAX : 02-468-4653 | 편집국 02-2024-9210 | 광고관리국 02-2024-9290 | Copyright © 치의신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