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의학의 미래>
센트럴 교정메카닉 연구회

  • 등록 2002.05.25 00:00:00
크게보기

S.W.A. 메카닉 연구 신개념 미니스크류 개발 중 센트럴 교정메카닉 연구회는 여러 가지 S.W.A.의 메카닉을 연구하고 이 장치들이 개발된 배경이 되었던 기존의 다양한 에지와이즈 테크닉에 대한 연속적인 연수를 통해 회원들이 보다 더 효율적으로 교정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장기적으로는 한국인에 맞는 장치와 테크닉을 개발하는데 있다. 그동안 8회의 연수회를 통해 Broussard 테크닉과 Bioprogressive 테크닉 및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슬라이딩 메카닉의 주된 테크닉인 Bennet McLaughlin 테크닉과 대표적인 루프 메카닉인 Roth 메카닉에 대한 강의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1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한가지의 테크닉에 편중하거나 여러 가지를 혼합한 ‘국적불명’의 테크닉을 강의하는 것 모두 연수회를 통해 교정을 공부하신 선생님들에게 결국 교정치료를 포기하게 하기 쉽다는 것을 목격하였다. 그러므로 기초과정에서 여러 가지 에지와이즈 테크닉의 역사와 계통에 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게 하며,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S.W.A.의 대표적인 것들에 대해 강의하여 조기에 임상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고급과정에서는 골격성 문제와 최근 각광 받고 있는 스크류를 이용한 증례에 대해 공부하며 자기 증례 발표를 통한 서로간의 원활한 정보의 공유, 특히, 연수기간 동안 여러 가지 에지와이즈 테크닉에 대한 소연수회를 통해 임상에서 보다 다양한 치료법을 활용하여 치료영역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치과 영역에서의 디지털화로 디지털 카메라에 대한 수요도 증가 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공동 구매를 통해 회원들에게 보다 많은 정보의 제공과 창구 역할을 하려고 하고 있다. 물론 연수회가 끝나신 선생님들은 센트럴 교정 메카닉 연구회의 정회원이 되며 회에서 주최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연구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1년에 1-2회 정도의 전체 모임을 진행하고 있으며 회원들이 궁금해 하는 사항들에 대해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연수회의 강사들은 그동안 강의에 참여해주었던 6명의 교정을 전공한 선생님들로 구성되어 있고 그동안 8회 동안의 연수회를 이수한 85명의 정회원인 선생님들이 있다. 현재 본 연구회에서는 Dr. Marcott의 Biomechanics 책을 번역하고 있고, 외국 저널에 논문을 게제 하고 있고 새로운 개념의 교정용 미니스크류를 개발 중이며 또한 Natural head position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모든 사업들의 목적은 종국적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에 가장 적합한 장치와 메카닉을 개발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권순용 선생 / 김영석 선생
관리자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대한치과의사협회 회관 3층 | 등록번호 : 서울, 아52234 | 등록일자 : 2019.03.25 | 발행인 박태근 | 편집인 이석초 대표전화 : 02-2024-9200 | FAX : 02-468-4653 | 편집국 02-2024-9210 | 광고관리국 02-2024-9290 | Copyright © 치의신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