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CO-CR discrepancy를 동반한 안면비대칭환자의 비수술적 교정 치험례

치과교정학회 우수증례

오병철 원장


·디자인치과의원 대구점 원장
·경북대 치의학전문대학원 졸업
·경북대 치과대학 치과교정학 박사 수료
·경북대 치과병원 치과교정과 인턴, 레지던트

 

 

 

 

 

 

 

 

 

만 27세 1개월의 남성 환자가 교합불량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본원 내원 전 턱관절 동통으로 구강내과에서 치료를 받았으나 우측 측두근 동통이 지속되었고 교합간섭에 의한 이차적 근육 긴장으로 의심되어 교정적 치료를 권유 받았다고 하였다. 이외의 다른 치과나 의과적 병력은 없었다. 본 증례는 CO-CR discrepancy를 동반한 치성 III급 안면비대칭환자를 Microimplant 고정원을 사용하여 치료한 증례이다.

 

구내 소견
좌측은 I급 견치와 구치관계, 우측은 III급 견치와 구치관계가 관찰되었다. 좌측 측절치부터 제1소구치까지는 반대교합 양상을 보이며 하악 정중선이 상악 정중선에 대해 좌측으로 4.5mm 변위 되어 있었다. 상하악 모두 경미한 총생 보이며 상악의 intermolar width가 하악보다 작게 측정되었고 Bolton ratio는 하악전치가 1.0mm 크게 측정되었다. 하악의 악궁 형태는 square shape이었고, 상악의 악궁은 좌측이 우측에 비해 constriction되어 있었다. 하악 폐구 운동시 좌측 견치 부위에서 조기 접촉이 관찰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개구시 2mm정도였던 정중선 변위가 CO 상태에서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구외 소견
정면 사진과 submentovertex 사진에서 하악의 좌측으로의 편위와 lip canting이 관찰되었고, 측면 사진에서 E-line에 대하여 하순 돌출이 관찰되었다.

 


그림 1. 치료 전 구외 및 구내사진

 

두부규격사진 분석 및 방사선학적 검사
측면 두부규격방사선 사진에서 수평적으로 SNA 84.7도, SNB 82.2도, ANB 2.5도로 I급 골격성 관계를 보이며, 수직적으로는 FMA 35.9도, gonial angle 130도, LFH 92.3mm, ODI -2.1로 장안모의 과발산 골격 형태가 관찰되었다. 정면에서는 midsagittal plane에 대하여 Menton이 좌측으로 6.5mm 편위되어 있었다.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37번이 근관 치료 후 gold crown으로 수복되어 있었고, 제3대구치는 모두 발치되어 있었으며, 좌측 상악동의 함기화가 관찰되었습니다. TMJ view에서는 양측 하악 과두 모두에서 특이한 소견 관찰되지 않았다.

 


그림 2-1. 치료전 측방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

 

그림 2-2. 치료전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치료계획
하악골의 편위가 CO상태에서 심하였기 때문에, 우선 좌측 견치부의 조기접촉을 제거하여 중심선과 하악골의 위치 변화를 확인한 후 통상적인 교정치료 혹은 악교정 수술을 동반한 교정치료 결정을 하기로 설명하였으나 환자분은 수술을 거부하여 통상적인 교정치료로 치료계획을 결정하였다. 하악골의 비대칭과 중심선의 변위, 반대교합 및 총생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치료 계획을 세웠다.

 

1. 상악 제1대구치에 precision lingual arch를 장착하여 상악 악궁의 확장을 통한 측방 치열 반대교합과 총생의 해소
2. 좌측 견치 criss-cross elastic을 이용하여 조기 접촉 제거
3. 하악 우측 구치부 Microimplant를 사용하여 우측 치열의 후방이동을 통한 III급 구치관계의 개선과 총생 해소 및 상하악 치열의 중심선 일치
4. Fixed retainer 및 wrap around retainer로 배열 및 교합관계 유지
5. 측두근 근긴장 양상의 변화를 관찰하여 필요시 구강내과 의뢰

 

치료경과
022 Slot의 MBT prescription 브라켓을 사용하였다. 치료 시작과 동시에 상악 제1대구치에 precision lingual arch를 장착하여 구치부 폭경의 증가를 유도하고 constriction된 악궁을 확장시켰다.

 


그림 3-1. Precision lingual arch를 통한 상악 확장

 

치료 4개월 016 X 022 NiTi 호선 상태에서 조기접촉을 해소하기 위하여 좌측 상하악 견치에 criss-cross elastic을 이용하였다. 조기 접촉을 제거한 뒤 정중선 변이는 2mm로 감소하였고, 좌측 상악 견치에 resin guide를 형성하여 비대칭 개선을 시도하였다.

 


그림 3-2. 좌측 견치부위 criss-cross elastic을 통한 조기 접촉의 제거

 

치료 9개월, 우측 구치부의 후방 이동량이 많이 필요하여 하악 우측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 사이의 buccal shelf 부위에 치근에 최대한 평행하도록 직경 1.4mm 길이 8mm의 Microimplant를 식립하였다. 처음에는 thread를 사용하였으나 지속적인 후방력이 필요하여 치료 14개월 부터는 NiTi closed coil spring을 사용하여 후방력을 적용하였다.


그림 3-3. 우측 하악 구치 Microimplant를 통한 우측 치열의 후방이동

 

치료 후반부에 Bolton ratio 개선을 위하여 하악 전치부에 stripping을 하였다. 총 치료 기간은 29개월이 소요되었다.

 

치료결과
견치부위 조기접촉의 해소로 인한 하악의 편위가 감소하여 비대칭이 약간 개선되었다. 상악의 확장을 통하여 상하악 구치부위에 적절한 수평피개를 달성할수 있었으며 상악의 총생은 이를 통해 해소하였다. 하악은 우측의 골고정원을 이용하여 III급 관계의 견치와 구치 관계를 I급으로 개선하며 총생을 해소하였고, 상하악의 정중선도 일치시켰다. 전치부는 Bolton ratio 개선을 위해 하악 전치의 stripping을 통하여 적절한 수평피개와 수직피개를 달성하였다. 이전에 턱관절장애를 호소하였던 환자였기 때문에 중심위와 최대교두감합위를 최대한 일치시켰고 견치와 전치 유도를 형성하였다. 치료 후 전치부 fixed retainer와 wrap around retainer를 사용하여 교합 관계를 유지하였다. 개선된 교합관계로 인하여 환자가 이전에 호소하던 측두근 긴장으로 인한 턱관절 장애도 해소되었다.


치료전후 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중첩하여 비교하였을때, 상악은 전치와 구치 모두 이동이 거의 없었으며, 하악은 구치부의 후방이동이 관찰되는데 이는 순수한 우측 구치의 후방이동으로 나타났으며 조기접촉의 해소로 약간의 FMA감소가 관찰되었다. 또한 하순 돌출이 약간의 개선되었다.

 

그림 4. 치료후 구외 및 구내사진

 

그림 5-1. 치료후 측방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

 

그림 5-2. 치료후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그림 6. 치료전후 측방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 중첩

 


표 1. 치료전후 측방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 계측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