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젠임플란트(이하 메가젠)가 새로운 개념의 Cementless 어버트먼트 ‘AXA Abutment’를 출시했다. 기존 Multi-Unit Abutment(MUA)의 구조적 한계를 보완해 All-on-X 보철에서 높은 정확도와 장기적 안정성을 제공한다고 업체측은 밝혔다. All-on-X는 전악 보철 솔루션으로, 치조골 상태가 열악한 환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치료법이다. 그러나 기존 MUA는 포스트 길이가 짧고 크라운과의 결합 면적이 제한돼 장기 사용 시 스크류 파절이나 포스트 파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AXA Abutment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포스트 높이를 최소 4mm 이상으로 확장하고, 결합 면적을 대폭 넓혔다. 이를 통해 Crown과의 체결력이 강화돼 장기적인 유지력과 안정성이 확보됐다. 또한 완전한 Screw Retained 구조를 구현해 시멘트로 인한 염증 발생 위험을 최소화했다. 특히 전용 장비나 외부 기공소 의존 없이 체어사이드에서 간편하게 보철 제작이 가능하며, 0도·12도·20도·30도의 Angled Type 라인업을 통해 다양한 임상 환경에서도 SRP 보철이 가능하다. 강도 또한 크게 향상됐다. 기존 MUA가 얇은 포스트
전문의약품 생산 기업 제론셀베인이 차세대 피부 케어 솔루션인 ‘셀베인 리셋 부스터(Cellvane Reset Booster)’를 출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출시된 ‘셀베인 리셋 부스터’는 ▲피부 컨디션을 맑고 건강하게 가꾸는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PDRN) ▲피부에 생기를 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PN) ▲식물 유래 엑소좀(EVs) ▲하이브리드 신소재인 히알라겐(Hyallagen)의 4가지 핵심 성분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피부 세포와 조직을 근본적으로 케어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피부에 자극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포뮬러를 적용해 다양한 피부 타입에서도 부드럽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피부 톤과 결을 균일하게 정돈해 컨디션을 최적화하고 수분과 유효 성분의 흡수를 극대화해 피부 본연의 건강함을 되찾는 데 도움을 준다. 셀베인 리셋 부스터는 지난 서울 코엑스 마곡에서 개최된 ‘코리아더마 2025’에서 현장을 찾은 해외 의료진과 바이어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으며 높은 관심을 받았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김덕규 제론셀베인 대표는 “이번 출시한 셀베인 리셋부스터는 피부 컨디션을 건강하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차세대 통합 케어 솔루션
모아치과그룹과 미니쉬테크놀로지가 ‘2025 골든옥토버’를 처음으로 함께 보냈다. 이번 행사는 지난 8일 미니쉬치과병원에서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골든옥토버’는 모아치과의 진료 이념인 ‘환자 중심 진료’를 되새기고 전국의 소속 원장이 한자리에 모이는 연례행사다. 특히 올해는 모아치과그룹과 미니쉬테크가 합병 후 맞이하는 첫 행사다. 이와 관련, 미니쉬테크는 지난 8월 모아치과그룹을 흡수‧합병한 바 있다. 따라서 행사는 ‘모아치과그룹 & 미니쉬테크놀로지 합병 기념 초청 강연 및 만찬’의 이름으로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 양측은 새로운 도약의 출발점을 알리고, 참석한 치과의사 간 화합을 다지는 등 동반자로서 관계를 강조했다. 또 경영관리시스템(ERP), 고객관리시스템(CRM) 등 IT 솔루션 개발 등 향후 지원 사업 계획도 전했다. 강정호 미니쉬테크 대표는 “각 원장이 브랜드의 주인이자 비즈니스 파트너가 되기를 원한다”며 “앞으로 미니쉬테크가 전방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 또 궁극적으로는 치과의사가 경영상의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진료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는 목표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다이아덴트의 임시 수복제, 근관 충전재, 유니버셜 본드가 개원가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Dentphoto CHOICE에 3년 연속 해당 제품들이 선정되며 품질력과 실속을 인정받고 있다. 2025 덴트포토 초이스에 선정된 ‘e-Temp™’은 봉쇄성이 우수한 수경성 임시 수복제로 압축 강도가 우수하고, 와동 내에서의 경화가 35분으로 빠르다. 또 조작이 간단하고, 쉽게 제거가 가능하며 구강 내 자극이나 유해성을 최소화 했다. 2024년 제품으로 선정된 ‘DIA-ROOT™’은 Calcium Silicate 기반의 생체친화적, 비수축성 영구 근관 충전재이다. 우수한 근관밀폐성과 상온에서 굳는 문제를 해결한 보관용이성, 적절한 흐름성, 높은 생체적합성, 높은 방사선 불투과성 등이 장점이다. 2023년 덴트포토 초이스에 선정된 ‘DIA-X BOND™ Universal’은 10-MDP 성분을 포함하는 7세대 유니버셜 본드이다.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등 금속산화물을 포함한 모든 직, 간접 수복에 탁월한 접착성을 보여준다. 높은 민감성 완화작용 제품으로, 10-MDP 성분의 강력한 결합력을 보여준다. 다이아덴트의 모든 제품은 치과재료 전문쇼핑몰 ‘덴탈365(www.de
한국 치과 의료기기 업계가 차별화 된 기술력 및 브랜드 경쟁력을 선보였다. (사)한국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이하 치산협)는 지난 10월 23일부터 26일까지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DenTech China 2025(중국 상하이 치과의료기기전시회)’에 한국관을 구성, 참가했다. 올해로 28회를 맞이한 이번 대회는 6만㎡ 규모의 전시공간에 900여개 기업이 참가, 14만 명이 방문하는 등 아시아를 대표하는 치과전시회로 자리매김했다. 올해는 디지털 덴티스트리, 심미·재료 분야, 감염관리·위생기기 등 신흥 테마 부문이 활발히 전시되며, 중국 내 산업의 기술발전 면모가 두드러졌다는 평가다. 한국관은 국고지원 20개사, 자부담 8개사 등 총 28개 기업이 참가했으며, 수동 및 전동 치과기구부터 치과재료, 임플란트, 장비 등 다양한 품목을 선보였다. 전시기간 동안 한국 제품은 정밀도, 내구성, 디자인 완성도 측면에서 바이어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여전히 한국산 치과 의료기기가 품질과 신뢰도에서 뚜렷한 경쟁 우위를 유지하고 있음을 재확인했다. 성과 면에서는 상담 237건, 상담액 1804만7000달러, 계약추진액 1029만1000달러를 기록했다. 전년에 비해 총액은 다
오스템임플란트(이하 오스템)가 출시한 'LCR'(Low Crystalline Apatite Resorbable)이 임상가들 사이에서 차세대 골이식재로 주목받으며 높은 성장률을 가시화 하고 있다. 기존 합성골이식재의 단점은 개선하고 빠른 골화, 높은 골강도, 우수한 감염 저항성 등 제품의 특장점이 합격점을 받으며 성장을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오스템에 따르면 LCR 매출은 지난해 1~10월과 비교해 올해 같은 기간 164% 폭발적으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1~6월) 매출은 2024년 1~12월 누적 매출을 이미 추월하는 등 가파른 성장 곡선이다. 이는 동종골 수준의 빠른 골화성능을 구현한 신개념 골이식재 LCR이 실제 임상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방증한다. 지난 2023년 출시한 LCR은 동종골 수준의 골화 성능을 갖추면서도 감염 위험성은 크게 낮춰 향후 동종골을 대체해 사용할 수 있는 골이식재를 목표로 개발한 제품이다. 실제로 LCR은 열처리를 통해 만들어지는 고결정성, 비흡수성 골이식재와 달리 특허받은 ‘Nano scale 미세구조 및 입자 자체 기공’ 기술로 이식재의 Pore(미세기공) 구현과 넓은 표면적으로 혈액적심성이 우수하
덴티스 신제품 임플란트 ‘AXEL(액셀)’이 강화된 상단 디자인·높은 안정성으로 눈길을 끈다. 덴티스는 최근 AXEL의 강화된 상단부(Neck) 디자인의 성능을 입증한 테스트를 진행했다. 업체에 따르면 임플란트의 실제 파절은 최상단 넥(Neck) 부위가 아닌, 그 아래 2~3mm 구간의 나사선(thread) 사이 또는 내부 어버트먼트 커넥션이 위치한 가장 얇은 벽 부위에서 발생한다. 이 가운데 AXEL은 상단부 구조에 대한 기계공학적 설계를 강화해 응력 분산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우수한 내구성과 안정성을 확보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유한요소분석(FEA) 결과에서도 AXEL은 특정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는 안정적인 분산 패턴을 보였다. 분석 수치인 von Mises 응력값이 낮게 나타나, 동일한 하중 조건에서도 응력이 고르게 분산되며 파절 위험이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전단·압축(Compression & Shear) 테스트에서도 AXEL은 896.9N의 전단·압축 강도(N) 를 기록하며 타사 제품 대비 우수한 내구 성능을 입증했다. 이는 AXEL이 단순히 절삭력을 강화한 공격적인 디자인이 아니라, 덴티스만의 정밀한 기술·공학적 설계
디디에이치(DDH)가 최근 중국 산동제1의과대학 구강의학원과 AI 치과영상진단 솔루션 도입을 위한 구매의향서(LOI)를 체결했다. 이번 체결식은 지난 10월 23일 중국 산동성 제남국제의학센터(JMC) 관리위원회에서 진행됐다. 구매의향서에는 ▲AI 치과 파노라마 진단 시스템 ‘파노(Pano)’의 도입 및 공동 평가 ▲산동제1의과대학 구강의학원 교과 과정 채택 ▲향후 교차연구 및 공동 R&D 추진 ▲임상 데이터 공유를 통한 제품 고도화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이번 구매의향서 체결은 지난 10월 23~24일 제남에서 개최된 제3회 한·중 헬스케어산업 신기술포럼 및 비즈니스 상담회를 계기로 이뤄졌다. 양국 보건의료산업의 기술교류와 공동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이 정부 및 산학연 협력 행사는 주중 대한민국 대사관이 주최하고,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KOSME)과 중국 제남국제의학센터, 산동제1의과대학이 공동 주관했다. 바이오·의료기기 분야 50여 개 주요 기관 및 혁신기업, 투자사가 참석한 이번 행사에서 DDH는 한·중 간 대표 협력 사례로 소개되며 AI 기반 디지털 헬스 분야의 선도 기업으로 주목받았다. DDH의 주력 제품인 ‘파노’는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영상치
디오임플란트(이하 디오)는 지난 4일 부산 센텀 본사에서 유럽연합(EU) 의료기기 규정(MDR, Medical Device Regulation) 인증서 수여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수여식에서는 서정욱 대표이사(글로벌 시험 인증 기관 TUV SUD Korea)가 디오 강정문 부사장에게 직접 인증서를 전달했다. 최근 MDR은 단순한 유럽 지역 인증을 넘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핵심 인증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MDR은 기존 지침 방식(MDD)과 달리 법적 구속력을 지닌 규정으로 안전성·성능·임상·사후관리 등 전 과정에 대한 요구사항이 강화돼 있다. 이러한 까다로운 심사 절차와 높은 기술·품질 수준으로 인해 다수의 기업들이 인증 취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디오의 전 품목 MDR 인증 획득은 국제 기준을 선도하는 기술력과 품질 경쟁력을 입증받은 셈이나 다름없다. 김종원 디오 대표는 “이번 MDR 인증 취득으로 디오의 유럽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세계 어디에서도 통하는 품질 기준을 증명해낸 순간”이라며 “디오는 강화된 유럽 의료기기 기준에 상시 대응할 수 있는 글로벌 품질 시스템을 확립했다. 신제품 UNICON을 비롯해 전 임플란트 라인업을
네오바이오텍(이하 네오)의 차세대 즉시 로딩 임플란트 ‘ALX’가 출시 후 석 달 만에 국내 거래처 500곳을 확보하고, 누적 판매 4만 개를 돌파했다. 네오의 ALX-IT는 차별화된 독창적인 바디 디자인과 탁월한 성능으로 시술 편의성을 높였으며, Narrow한 코어와 Deep thread & wide pitch를 통해 BIC(Bone to implant contact)를 극대화해 즉시로딩 안정성을 최적화한 차세대 임플란트다. 특히 Peri-implantitis로 인한 골 손실(Bone Loss)까지 예방할 수 있도록 설계, 다양한 임상 환경에서도 안정적이고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ALX-IT는 Short body와 Long cuff 라인업을 통해 경사진 치조골이나 낮은 치조골에서 골 이식 없이 식립해도 S.L.A 표면 노출이나 Bone Loss 없어 치료 기간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Flapless로 최소침습 시술이 가능하다는 점도 ALX-IT의 강점이다. ALX-IT는 다양한 임상 케이스에서 안정적이며 우수한 결과를 입증,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빠른 시장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 본사의 적극적인 마케팅과 전략적 패키지,
예측 가능한 치료와 장기적 안정성 확보를 주제로 한 ‘블루 다이아몬드 2nd Edition’이 임플란트 임상의 새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메가젠임플란트(이하 메가젠)가 오는 12월 4일 메가젠 강남사옥에서 ‘블루 다이아몬드 2nd Edition 임상집’ 출간을 기념하는 집담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성공적인 임플란트 치료를 위한 임상 제안’을 주제로, 저자 7명(김용진·김진구·나기원·박정철·손영휘·이윤형·최 진 원장)과 다수의 임상가들이 함께 최신 임상 데이터를 공유하고 치료 원칙을 논의하는 자리다. 이번 개정판은 2021년 첫 번째 ‘Clinical Atlas of BLUEDIAMOND Implant System’ 이후 약 3년 만의 성과물로, 최신 연구와 임상 트렌드를 반영해 예측 가능한 치료와 장기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근거를 체계화했다. 수술·보철·유지관리의 세 축을 중심으로 실제 임상가들이 마주하는 다양한 상황을 다루며, BLUEDIAMOND 시스템의 설계 철학을 근거로 치료 표준을 제시했다. BLUEDIAMOND 임플란트는 강력한 초기 고정력과 생물학적 안정성을 바탕으로 장기 유지 안정성을 추구한다. 이번 임상집에서는 Xpeed Sur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