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치의과계 전반에서 비급여 진료에 대한 과도한 광고가 도를 넘어서고 있다. 환자를 현혹하는 허위, 과장 광고, 덤핑진료 광고는 의료의 본질을 훼손하고, 환자들에게 불신만 키우는 결과를 낳고 있다. 개원의가 원하는 민원 중 첫 번째가 되어 지난 1월 10일 치과의료정책연구원 주최, 서울대학교 사회구강연구실이 주관한 덤핑치과의 정의, 실태, 대안 마련에 관한 공청회가 열렸다. 치협도 의료법위반 신고센터를 설립해 고발 등 적극적으로 대응을 하고 있지만 의료광고에 관한 법률의 허점을 교묘히 빠져나가는 수법과 행정, 사법처분이 솜방망이 처벌이어서 의료법 위반 광고는 날로 기승을 부리고 있다. 불법 의료 폐해를 절감해 왔던 회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전국 치과의사 지부장들이 지난 13일 피켓 퍼포먼스를 통해 비급여 광고 금지 입법을 호소했다. 환자 유치를 목적으로 한 비급여 진료 광고는 초저가 비용으로 환자를 유인해 비윤리적 치료 계획을 세우고 치료함으로써 의료인이 지켜야 할 윤리적 책무를 망각하게 만들고 있다. 저수가 경쟁을 유발하며 과잉 진료를 할 뿐만 아니라 일반치과의사의 비용을 터무니없이 높은 가격이라고 비방하는 등 의료인 간의 신뢰를 무너뜨려 치과계 전
대중가요 노래 제목 중 “있을 때 잘해” 라는 노래 제목과 가사말이 있다. 없으면 있을 때의 소중함을 모른다는 뜻으로 즉 없어 봐야 있을 때 얼마나 귀한 존재였는지 알아야 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다음에서 열거한 내용들은 있을 때 잘하지 못해 힘들어하는 부분과 한번 신뢰를 잃어버리면 회복하기 어려운 부분들을 말해 주며, 후회하지 않도록 의견 제시하는 방향으로 글을 쓰게 되었다. 2000년대 초반 해외 관광이 흔하지 않을 때 주로 찾은 관광지 중 선호하는 곳이 제주 관광이었다. 당시의 식당이나 숙박업소 등에서 관광객을 상대로 터무니없는 높은 가격을 부과하는 사례가 많았고 자동차 렌트시 직접 경험한 바였는데, 렌트할때 꼼꼼하게 차량의 흠집이 있는 부분을 점검하지 않은 본인의 탓도 있었지만 관광 후 차량 인도시 사고도 없었는데 어느 한 부분을 가리키며 흠집이 났다면서 업체의 담당자가 배상하라는 엄포를 놓았다. 비행기 시간에 쫓겨 합의금으로 몇십 만원을 주면서 분을 삭이지 못하고 되돌아와야 했던 기억이 있다. 이처럼 바가지 요금에다 불친절과 덧씌우기의 행태로 제주관광의 이미지에 먹칠을 했던 부분들이 많았다. 과거에는 이러한 소문이 늦게 났지만 지금은 SNS가 발달이
라이브쇼가 치과 원장님의 효율적인 마케팅을 위한 판촉물 제품을 들고 찾아온다. 라이브쇼는 누적 판매량 800만 개를 돌파한 ‘오스템 휴대용 양치키트’ 특집 방송을 23일부터 진행한다고 밝혔다. 양치키트에는 더블와이드 칫솔을 기본으로 오스템임플란트 시그니처의 ‘오렌지’ 컬러(시린이 케어 구성, 오스템S치약)와 라이브쇼 단독 컬러인 ‘바이올렛’(충치 케어 구성, 오스템C치약) 두 가지로 구성됐다. 이번 특집은 크게 두 가지로 프로모션을 구분해 진행한다. ▲600개 구성의 경우 기존가 대비 40% 할인해 가격을 낮췄다. 단일 색상 혹은 반반 색상 선택도 가능하도록 기획했다. ▲1000개 구성도 기존가 대비 40% 할인하며 판매가 총 9만원인 미니 치약 세트(4P) 10박스도 무료로 증정한다. 컬러 선택도 동일하게 단일 또는 반반 구성이 가능하다. 전 구매 고객 대상으로 치과명 무료 각인 서비스도 가능하도록 기획해 치과 마케팅 효과를 높였다. 해당 구성은 우리은행, KB국민은행, 하나은행(누적 판매량 순) 등 기업에서도 판촉물로 활용할 정도로 수준 높은 퀄리티를 자랑한다. 치과의사들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하기 위해 오스템임플란트 임플란트 패키지와 재료 패키지를 통해서도
치과의사 디지털 커뮤니티 덴트포토에서 회원들의 임상 케이스를 모아 책으로 발간했다. 덴트포토는 최근 ‘덴트포토 가이드 vol.07’를 출간했다. 덴트포토 가이드는 지난 2019년 첫 출간을 시작으로 매해 발간되고 있다. 이번 가이드에는 덴트포토 어워드, 샤인 학술상 수상자를 비롯한 덴트포토 회원들의 임상기고를 게재했으며 문화, 치과 의료 정보학 등 덴트포토 최신 트렌드를 만날 수 있다. 2024 덴트포토 어워드 수상자 엄상호 원장, 2024 샤인 학술상 수상자 김도영 원장, 2024 덴트포토 아카데믹 프라이즈 수상자 신주섭 원장, 2010 덴트포토 어워드 및 2015 샤인학술상 수상자 이학철 원장, 한금아 치주과 전문의, 김영수 과천시 보건소 교수 등이 참여했다. 구체적으로 엄상호 원장의 ‘수직 교합 거상을 동반한 전악 수복증례’, 김도영 원장의 ‘하악 전치부 임플란트 심미를 위한 고려사항들’, 이학철 원장의 ‘FGG는 이렇게’ 등 임상 케이스부터 한금아 선생의 ‘치주염으로 병적이동 된 치아의 다학제적 접근치료과정’, 김영수 교수와 신주섭 원장의 인터뷰도 만나볼 수 있다. 치과 의료 정보학 코너에서는 무료 오픈 소스 하드웨어 ‘라즈베리파이 (Raspberry
디오임플란트(이하 디오)가 발치 후 즉시 솔루션을 집중 조명하는 글로벌 심포지엄을 연다. 디오는 오는 10월 17일부터 18일까지 양일간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DIO INTERNATIONAL MEETING 2025(이하 DIM 2025)’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DIM 2025에는 아시아, 중동, 유럽, 남미, 북미 등 전 대륙에서 약 1300여 명의 치과의사 및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주요 참가국으로는 ▲중국 ▲튀르키예 ▲러시아 ▲멕시코 ▲인도 ▲포르투갈 ▲호주 ▲이탈리아 ▲태국 ▲일본 ▲대만 ▲미국 ▲우즈베키스탄 ▲폴란드 ▲알바니아 등이다. DIM 2025의 핵심 주제는 현재 치과계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발치 후 즉시(Immediate) 솔루션이다. 학술 프로그램은 해당 솔루션을 중심으로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총 9개의 강연과 핸즈온 세션으로 구성돼 국제 학술대회의 위상을 보여줄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Paulo Malo(포르투갈) ▲Frank Maier(독일) ▲Douglas Beals(미국) ▲Neil Meredith(호주) ▲Emir Yüzbaolu(튀르키예) 등 세계적인 권위자들이 강연을 맡는다. 특히 All-on-4 콘셉트의
글로벌 치과용 의료기기 전문 기업 스트라우만(Straumann)이 혁신적 치주재생 제품 '엠도게인(Emdogain)'의 출시 30주년을 기념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엠도게인 임상 케이스 콘테스트’를 개최한다. 이번 콘테스트는 엠도게인의 임상적 가치를 조명하고, 우수한 임상 증례를 발굴해 치주 재생 치료의 학문적 발전과 환자 치료 수준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엠도게인은 치주조직 재생에 효과적인 법랑기질단백질(EMD) 기반 제품으로, 치아 발달과 치주인대 형성에 중요한 백악질 재형성을 촉진한다. 출시 이후 30년간 전 세계 90개국에서 300만 명 이상의 환자 치료에 사용돼왔으며, 2300여 건의 연구를 통해 치료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됐다. 특히 국내에서는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치주재생 치료제로, 실제 임상 현장에서 자연치 보존과 조직 재생 효과를 인정받고 있는 제품이다. 콘테스트 참가자는 공식 영문 PPT 템플릿을 활용해 치료 계획 및 과정, 엠도게인 사용 전후 비교 자료를 제출해야 하며, 접수 마감은 오는 12월 31일까지다. 우승자는 오는 2026년 3월 발표될 예정으로, 각국 1차 평가를 거친 후 본선 진출작은 아시아태평양 임상 심사위원단의
네오바이오텍(이하 네오)이 무치악 환자를 위한 ‘SmileArch ScanBody Kit’를 새롭게 출시했다. 신제품 SmileArch ScanBody Kit는 Bar 형식 구조로 설계돼 각 Scan Bar가 데이터 매칭의 기준점으로 작용한다. 이를 통해 기준점이 없어 디지털 정합에 한계가 있던 기존 일자형 모델보다 정밀도가 크게 향상됐다. 또 Bar마다 각기 다른 패턴을 적용해 구강 스캐너의 인식률을 개선했으며, 라이브러리 매칭 과정에서도 높은 정합도를 구현해 임상 활용도를 높였다. 이에 더해 다양한 사이즈로 구성된 Scan Bar는 픽스처의 식립 위치와 환자의 악궁 크기에 따라 손쉽게 활용할 수 있어 임상 적용 범위를 확대했다. 특히 기존 MUA(Multi Unit Abutment)에만 사용되던 일체형 구조의 Scan Bar와 달리 분리형 구조로 설계돼 Scan Post 교체만으로도 MUA를 포함해 IS, IT 등 다양한 타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호환성이 높아졌다. 분리형 Scan Post는 Soft Tissue 스캔 시 데이터의 기준점 역할을 해 매칭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최소화하며, 이를 통해 Single부터 Multiple, Full Ar
디오임플란트(이하 디오)가 상악동 임플란트 시술을 보다 쉽고 안전하게 구현할 수 있는 혁신적 솔루션 ‘New Sinus Kit’를 출시했다. 이번 제품은 임상가의 편의성과 환자의 안전성을 동시에 강화한 것이 특징으로 상악동 시술 시 새로운 선택지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New Sinus Kit’는 크게 세 가지 핵심 솔루션으로 구성된다. 먼저 ‘Sinus Drill Kit’는 잔존골 높이에 일대일로 대응 가능한 스토퍼 일체형 드릴 시스템으로 시술의 정밀도를 높이고 상악동 막의 천공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Half-round Tip으로 경사진 상악동에서도 안전한 시술이 가능하며, 특수 디자인 적용을 통해 본 칩을 상악동 멤브레인 쪽으로 원활하게 밀어낼 수 있도록 설계됐다. ‘Sinus Osteotome Kit’는 환자의 불편함을 줄이고 시술 편의성을 극대화한 혁신 기술이 적용됐다. 특허 출원 중인 Wave Tip 디자인으로 기존 오스테오톰 대비 적은 힘으로 파골이 가능하며 환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해 안정적인 수직 거상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에 길이별 스토퍼를 적용해 Depth Control의 어려움을 보완해 편리하면서도 안전한 시술이 가능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