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플랫폼이 보건 의료 영역에서도 무서운 성장세를 보이면서 불법 의료 광고, 환자 유인, 약물 오남용 등 여러 문제를 낳고 있는 가운데 치과의사 10명 중 8명꼴로 ‘과도한 홍보 비용 지출, 가격 비교’를 플랫폼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았다. 경기지부 소속 회원 362명이 참여한 설문 조사 결과, 이 같은 응답이 나왔다. 설문 조사는 지난해 8월, 2주간 진행됐다. 설문 문항은 플랫폼 관련 최근 이슈, 플랫폼의 필요성, 공공플랫폼에 들어갈 필수 콘텐츠 등에 대한 인식을 묻는 총 9문항으로 구성됐다. 우선 응답자의 77.9%는 “치과계에 공공플랫폼 개발 연구가 현실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고, “치과의사와 일반 국민이 모두 공공플랫폼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응답도 67.7%로 많았다. 나아가 74.9%는 “치과의사로서 공공플랫폼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민간 플랫폼에 대항하기 위한 사회적 책무에 동참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공공플랫폼에 필수로 들어갈 기능으로는 ‘학생 구강검진’이 56.6%로 가장 많았고, ‘치과 찾기’(37.3%), ‘응급 치료 치과 찾기’(32.9%), ‘환자 맞춤형 콘텐츠’(17.1%), ‘치과의사 맞춤 정보’(16
국가 검진 체계에 구강노쇠의 개념과 관련 진단기준이 포함되게 하고, 건보 급여항목에도 반영돼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의료계에서도 전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노쇠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인정했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이 주관하고 대한노년치의학회가 주최한 ‘한국형 구강노쇠 진단기준 개발 및 효율적 관리 방안 연구’ 공청회가 지난 11월 30일 SC컨벤션 아이리스홀에서 개최됐다. 현재 우리 사회는 초고령 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노쇠라는 개념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상황. 이와 관련 전노쇠 단계에서 노쇠 상태로 악화시키는 위험 인자로 노인의 ‘구강노쇠’를 언급하고 있다. 따라서 전신 노쇠 관리와 예방을 위해서는 노인의 구강건강 및 기능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와 관리가 중요하다는데 치과계와 의료계, 시민사회의 이견이 없다. 이번 공청회에서는 NECA와 대한노년치의학회에서 공동 수행한 ‘한국형 구강노쇠 진단기준 개발 및 효율적 관리 방안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노인 구강관리의 제도적 관리 현황 및 문제점을 다양한 전문가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했다. 주제 발표에 나선 고홍섭 교수(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내과진단학교실)는 구강노쇠의 개념과 지역사
아름다운 샌프란시스코만(San Francisco bay)에서 치과의사의 아들로 태어나서 자란 Dr. Zeidler는 University of Pacific 치대를 졸업한 후 수년간 페이닥터로 일하다가 2012년에 독자적인 개원을 계획하게 되었다. 그때 마침 산호세에서 평생을 개원의로 일하다가 36년 만에 은퇴를 하게 된 Dr. Lund는 자신의 치과를 인수할 사람을 찾고 있었다. 샌프란시스코만에서는 개원 경쟁이 매우 심하고 신규 개원자리를 찾기는 상당히 어려웠다. 따라서, 환자 차트와 보험 청구기록에 의하면 최근 5년간 연간평균 72만에서 96만 달러의 수익을 올리는 것으로 확인된 Dr. Lund 치과를 Dr. Zeidler가 인수하기로 한 것은 합리적인 선택으로 보였다. 젊고 패기에 찬 Dr. Zeidler는 약 50만 달러를 치과 인수비용으로 지불하였고, 한 달 정도 두 사람이 함께 진료한 후 은퇴식까지 베풀어 주었다. 드디어 혼자서 환자를 보기 시작한 후 한 달이 지난 즈음, Dr. Zeidler는 뭔가 잘못되어 가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 첫 달 진료수익이 Dr. Lund의 예전 수익에 턱없이 모자라는 15,000달러에 불과했고, 환자 수도 급감한 것이
2년 반전에 ‘10년 후의 나에게 쓰는 편지’라는 칼럼을 쓴 적이 있었습니다. 10년 뒤에 저와 제 주변 사람이 어떠한 삶을 살길 바라는지 쓴 내용이었습니다. 아직 그때로부터 8년이 남았는데, 더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번 칼럼은 과거의 20대의 저에게 쓰는 편지입니다. 처음에 10년전의 나에게 쓰는 편지로 하다가 이십대의 과거로 바꿔보았습니다. 40대가 되니 새로운 자극이 이전보다 적기에 시간이 빨리 가고 재미를 덜 느끼지만 불안감은 덜해지는 좋은 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미래보다 현재에 더 충실하게 사는 것 같습니다. 여러가지 업무의 데드라인도 존재하고 건강이나 수면도 신경써야 하지만 당장의 일 또는 재밌는 만남에서도 불안감을 덜 느끼는 것 같습니다. 이십대 때 저는 많이 불안했었습니다. 82년 생이니 2001년부터 대학생이었는데 무언가를 이루겠다는 꿈도 컸지만 동시에 그 꿈을 이루겠다는 강박이 저를 많이도 불안하게 한 것 같습니다. 당시 주변 사람들은 뭔가 편안해 보이는데 저는 뭔가 불안한 압박감을 자주 느끼며 생활하였었던 것 같습니다. 이러한 불안감은 치전원을 준비할 때도 그랬고 입학해서 학교를 다니고 졸업해서 수련을 받을 때도 30대 중반까지
지난 10월 20일 PFA(Pierre Fauchard Academy)국제치의학 한국회 사무차장으로서 제54회 PFA국제치의학일본부회의 학술회 및 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PFA한국회 김현철 회장님과 여러 고문님, 임원진들과 함께 일본 도야마로 출발하였다. 일찍이 지난 5월에 PFA 한국회 총회에 많은 PFA일본회 회원들이 참석하여 함께 강의를 듣고 한강에서 좋은 추억을 만들었기에 처음이지만 이번 일본 총회에 참석하기로 결정하였고 도야마라는 새롭고 낯선 도시 또한 처음 방문하는 것이라 이번 여행은 출발 전부터 기대되었다. 한국에서 일본 도야마로 가는 직항 비행 노선은 도야마의 대표적인 관광명소인 알펜루트라는 거대한 설벽을 볼 수 있는 4, 5월에만 일시적으로 운행되고 있어서 PFA한국회원들은 인천에서 오전 9시에 출발하여 도쿄 하네다 공항을 경유하여 9시간 이상이라는 장시간의 여정을 통해 도야마 공항에 오후 6시 넘어 도착하였다. 이윽고 이어진 PFA일본회 회장 및 임원들이 준비해준 환영회는 아침 일찍 나와 다소 힘들었던 한국회 임원 모두의 피곤함을 잊어버리게 만드는데 충분하였다. 일본회에서 준비해준 환영회와 함께 저녁식사를 하며 그동안의 안부를 전하고 담소를
■ 2023년 12월 13일 이후 세미나 일정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보기 가능합니다. 고해상도 파일은 아래 PDF 첨부파일을 클릭하세요.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보기 가능합니다. 고해상도 파일은 아래 PDF 첨부파일을 클릭하세요. 김성곤 교수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 치의학 석·박사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부교수 ·University of Pennsylvania 방문교수 ·현)국립 강릉원주치대 구강악안면외과 교수 ·연송학술상 대상 수상 ·BMB reports 최다인용 논문상 수상 ·바이오그린21 사업단 우수 논문상 수상 ·한국과학기술 우수논문상 수상
KDA (Korean Dental Association, 대한치과의사협회), 그 이름에 담긴 명예와 가치를 빛내고 지키기 위해 지난 57년을 힘차게 달려왔습니다. “치의신보”는 오늘도 치과의사와 치과계의 권익을 위한 최선봉에 서겠습니다. 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보기 가능합니다. 한진규 치협 공보이사
김동석 원장 ·치의학박사 ·춘천예치과 대표원장 <세상을 읽어주는 의사의 책갈피>, <이짱>, <어린이 이짱>, <치과영어 A to Z>, <치과를 읽다>, <성공병원의 비밀노트> 저자 노벨문학상, 맨부커상, 공쿠르상, 퓰리처상, 카프카상, 등 세계적인 문학상은 많습니다. 스웨덴에서 시상하는 노벨문학상이 다분히 북유럽적 성격을 지닌다는 비판을 받기는 하지만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문학상인 것은 분명합니다. “이상(理想)적인 방향으로 문학 분야에서 가장 눈에 띄는 기여를 한 분께” 수여하라는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어떤 한 작품이 아닌 작가에게 주어집니다. 초기에는 유언에 따라 문학적 이상주의에 치중해서 선별했다면 이제는 넓은 의미의 이상적인 작품으로 바뀐 것 같습니다. 현실주의가 나쁜 것은 아니지만 노벨로서는 현실보다는 조금 더 나은 이상을 꿈꾸는 것을 원했을 겁니다. 조금 더 미래지향적이라고나 할까요? 당시 이상주의적 생각은 자유주의로 그 자리를 대부분 옮아갔지만 여전히 노벨문학상의 작품은 그 어떤 보이지 않는 그 어떤 ‘이상’을 얘기하는 것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현실이 너무 지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가 국립대학치과병원장들과 만나 권역별 치과의료 발전방향을 논의했다. 전병왕 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지난 5일 오후 4시 강릉원주대학교치과병원, 경북대학교치과병원,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서울대학교치과병원 등 4개 국립대학치과병원 병원장을 만나 필수의료혁신을 위한 권역 책임의료기관으로서 국립대학치과병원의 역할·역량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지난 10월 ‘생명과 지역을 살리는 필수의료 혁신전략’ 발표 후 처음 열리는 국립대학치과병원장과 간담회로, 치과의료 현장의 의견을 보다 구체적으로 수렴하기 위한 정책 소통의 자리로 마련됐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국립대학치과병원 소관 변경 및 지역·필수의료 측면에서의 치과 의료 개선 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다. 앞으로도 복지부는 국립대학치과병원과 정기적으로 회의를 열어 세부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병왕 보건의료정책실장은 필수의료 혁신전략을 설명한 후 “치과 역시 지역‧필수의료 측면에서 임상·연구·교육의 균형적·획기적 발전이 필요하다”며 “권역 책임의료기관으로서 국립대학치과병원의 역할 및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 치과계와 함께 논의 하겠다”고 밝혔다.
경영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사자성어가 아마도 중력이산(衆力利山)일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힘을 모으면 산도 옮길 수 있다’는 뜻이다. 지금 위기에 처해 있는 우리 치과계를 위해 해 주고 싶은 사자성어다. 현재 협회는 난국(難局)의 한복판에 있다. 협회 역사상 이런 난장판은 없었다. 정부의 의료계 옥죄기식 법안인 의료인 면허취소법을 두고 싸우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고 타 단체처럼 의료인 확대 정책에 온몸을 던져 싸우는 것도 아니다. 부끄럽게도 우리들끼리 싸우는 거다. 그것도 거의 필사적으로 싸우고 있는 형국이다. 싸움을 거는 쪽은 협회 집행부가 아니다. 집행부를 반대하고 있는 치과계 세력들이다. 누구일까? 지난달 28일 임시총회를 나흘 앞두고 박태근 협회장이 기자회견을 열어 비장한 어조로 협회의 정상화를 위한 대의원들의 결단을 요구했다. 협회 내부 일을 협회 내부에서 처리하려 하지 않고 외부로 끌고 나가는 장본인과 세력에 대해 엄중한 문책이 내려지기를 바라면서 이로 인해 협회 회무가 하루속히 정상화하라는 대의원들의 준엄한 결의를 요구했다. 집행부 이사들은 협회 사상 세 번째로 지난달 22일 협회 정상화를 위한 호소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처음 임원들이 일을 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