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6일 활동을 마감한 인정의대책연구위원회(위원장 김종열)가 내놓은 보고서에는 그동안 위원회가 학회와 지부 대표의 의견을 종합, 연구한 내용이 총망라돼 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지난해 7월부터 진행되온 회의 내용을 인정의 찬성·반대 두 입장에서 각각 요약하고 회의에서 논의된 결론을 명칭변경 및 인정의 폐지 등 크게 두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명칭의 경우 ▲지정의 ▲기준의 ▲성취의 ▲학술의 ▲학회의 등 다양한 명칭이 거론됐으며, 이 경우 전문과목이나 진료과목이 들어가는 명칭은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정리됐다.
이에 대해 각 학회별로 보존학회, 교정학회, 악안면 방사선학회, 구강병리학회, 구강내과학회는 인정의 명칭 변경 가능 입장이며, 보철학회, 치주학회, 소아치과학회는 명칭 변경에 난색을 표했다.
또 구강보건학회는 인정의를 시행할 계획이 없으며 외과학회의 경우 전문의 제도 시행시 폐지하겠다는 입장.
한편 이번 보고서에서는 그동안 구체적인 현황이 없었던 각 학회의 인정의 수를 총 집계해 대의원들이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할 예정이다.
이에 따르면 분과학회의 인정의는 총 4천여 명에 육박, 학회원 4명당 1명꼴인 것으로 조사됐다.<본지 12월 4일자 5면 기사 참조>
아울러 보고서에는 인정의 문제에 대한 해법을 기술한 각 위원들의 의견이 제안서 형태로 함께 첨부될 예정이다.
윤선영 기자 young@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