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연자가말하는 Seminar Point]최원석(MCG 치과의원 원장 / MCG 교정연구회 회장)/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에 대한 병인론 및 진행기전

우리는 임상에서 악관절의 퇴행성관절염을 가진 환자를 종종 접하게 된다. 방사선상에서는 하악과두(mandibular condyle)의 심한 변형과 전체적인 체적(volume)의 감소 및 관절와내에서의 위치변화 등이 관찰된다.


일반적으로 통증을 동반하며 하악운동이 제한되어지는(restricted mandibular movement) 임상소견을 보인다. 특별한 임상증상이 없이 퇴행성변화의 소견을 보이는 관절증(osteoarthrosis)도 임상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데 이 또한 넓은 의미에서 퇴행성 관절염(osteoarthritis: degenerative joint disease)에 포함된다.


진행성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악이 점차적으로 후하방으로의 위치변화가 일어나고 앵글씨 2급 부정교합의 특징을 가진 안모로 바뀌게 된다(progressive mandibular retrusion).


수직적인 교합도 점차적으로 개방교합(openbite)의 형태를 띠게 되고, 퇴행성 변화가 편측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occlusal canting과 unilateral cross bite를 동반한 안모의 비대칭을 야기한다.
악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에 관계하는 요소는 무수히 많으며, 이들 각각의 요소는 단독으로 또는 상호작용에 의하여 조직을 파괴한다.


하악과두의 연골은 신체의 다른 연골과는 달리 fibrous covering으로 표면이 포장된 2차 연골로서, reserve cell layer에 존재하는 수많은 미분화간엽세포와 synovial cell들의 높은 활성도로 인하여 다양한 종류의 스트레스에 대항하는 악관절의 적응력(adaptive capacity), 또는 재생력(reparative capacity)이 다른 관절에 비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퇴행성변화를 보이는 악관절의 치료를 계획함에 있어 원인이 될 만한 요소들을 파악하여 제거하고, 악관절 자체의 재생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들을 적절하게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퇴행성 관절염의 진행 단계에 맞추어서 물리치료, 약물치료, splint therapy, 그리고 교정치료나 교합조정 등의 적절한 치과치료가 추천된다.


불행히도 아직까지는 악관절에 대한 퇴행성질환의 발생과 진행기전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기에, 앞으로도 더욱더 정밀하고 꾸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특히 면역반응과 연관된 다양한 biochemical mediator(cytokines, kinins, and neuropeptides, etc.)들과 호르몬, 그리고 교감신경, 감각신경, 중추신경간의 정확한 상호관계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apoptosis(programmed cell death or cell suicide)에 관여하는 유전자에 대한 연구가 세계적으로 관심과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이미 하악과두의 연골조직에서 발견된 apoptotic/anti-apoptotic gene들도 수종이나 된다(bcl-2, bcl-x, bcl-l, mcl-1, Bax, BCXL, etc). 머지않아 악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에 대한 다양한 치료방법에 유전자치료(gene therapy)가 포함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