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환경의 급변과 병원경영의 악화로 도산하는 병원이 속출하고 있는 요즈음 고객의 요구는 높아져만 가고, 고객들의 D.Q(dental IQ) 또한 상당히 높아진 현실입니다. 고객들은 병·의원을 비교, 선택하기 시작했고, 고객 불만요인도 상당히 높아져 새로운 의료 경영과 차별화 된 서비스 개념을 도입한 병원만이 살아 남는 경쟁시대에 돌입해 있습니다.
이러한 의료 환경에서 차별화의 대안으로 병원 코디네이터란 새로운 직종이 탄생했고, 병원의 성공을 주도하는 병원이 핵심인력으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병원 코디네이터는 크게 서비스 코디네이터/ 상담 코디네이터/ 치료 코디네이터로 구분 할 수 있으며, 이를 세분화 하면 서비스 코디네이터는 리셉센 코디네이터와 원무 코디네이터, 기획 코디네이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각 코디네이터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리셉션 코디네이터
1. 병원의 서비스 접점별 직무 표준강화를 통한 서비스의 질적 향상 2. 대기공간, 환자의 편의 공간의 데코레이션 및 편의 도모 3. 병원의 얼굴로서 병원 내 올바른 인사예법, 품위 있는 표정과 스마일, 올바른 말씨와 자세, 효과적인 전화응대 매너, 병원예절
■원무 코디네이터
1. 효과적인 예약제 관리, 환자 사후 관리, re-call 관리 2. 대형 병원에서의 효율적 환자 분배 및 chart 관리 3. 의료 통계 및 Tool 작성 및 분석
■기획 코디네이터
1. CRM 전략 및 감성 마케팅 2. 고객 창출을 위한 홍보 및 기획 전략 수집 3. CSI(고객 만족도) 및 직무 만족도 정기적 조사를 통한 경영 체질 개선
상담 코디네이터와 치료 코디네이터는 지면상의 제약으로 세분화해 기술하지는 않겠으나, 가장 중요한 부분은 고객의 대변자로서 고객의 소중한 정보를 수집해 치료 동의율을 높이고, 진료 이탈율을 최소화 시키며, 임상 전문 코디네이터로 치과의사와 역할분담을 통해 환자 대기시간의 최소화 및 진료의 질적 향상을 위한 협조자로서 역할을 훌륭히 소화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합니다.
남은선 팀장 프로필
▲92년 마산대학 치위생과 졸업 ▲93년 고운치과병원(경남창원 소재) 입사 ▲99∼2000년 고운치과 치위생과장 역임 ▲2004년 현재 코디네이터 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