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환 원장의 지강강좌 2] Computerized Occlusion-T-scan III 이용한 교합 조정
지난 호에 이어 이번에도 T-scan III을 이용한 교합조정에 관하여 살펴 보겠습니다. 먼저 T-scan III에 관해 가지고 계시는 의문들을 몇 가지를 짚고 넘어 가겠습니다.
많은 원장님들께서 T-scan III에 있어서 문제가 되지 않느냐고 생각하시는 부분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교합지나 심스탁의 경우, 8micron 에서 20micrcon 정도 밖에 되지 않는데, T-scan III센서 두께 때문에 어떻게 높낮이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며, 교합력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느냐고 물어 보십니다. 교합지의 경우, 덴쳐가 아닌 이상 ‘u’자형 말굽 교합지를 쓰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합지를 물리게 되면, 교합지 물린 부분은 다른 물리지 않은 부분 보다, 교합지의 두께만큼 높아지는 것이 되지만, T-scan III센서의 경우, ‘u’자형으로 모든 치아에 물리게 됩니다. 따라서 모든 치아들이 동일하게 센서의 두께 만큼 높아지는 것이기 때문에, 두께로 인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센서의 두께는 67micron으로, 모든 치아들이 67micron씩 높아진 상태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입니다. 따라서 많이들 질문하시는 것과 같이, 센서 두께 때문에 발생하는 오차라는 것이 없습니다. 오차라고 생각되는 부분은 하악이 hinge movement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구치부와 전치부의 차이 정도이며, 이것은 67micron의 두께로는 크게 오류를 내기는 힘든 부분입니다.
또 많은 원장님들이 문제라고 하시는 교합력을 왜 절대적인 값으로 나타내주지 않고, 상대적 값으로 표현하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T-scan III는 교합력의 크기를 절대값으로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 크기의 그래프로 나타냅니다. Sensitivity를 조절함에 따라서, 표시되는 그래프의 높이도 달라지게 됩니다. 우선 절대값으로 나타낼 때의 오류는 예를 들어 16번 치아라 생각을 할 때, 16번 치아가 내는 교합력은 매번 바뀌게 됩니다. 왜냐하면, 근육의 힘이라는 것이 물때마다 달라지게 되고, 설사 매번 같은 근육 힘을 쓴다고 하더라도, 치아의 면이 평면이 아니기 때문에, 울퉁불퉁한 면이라서, 위치가 조금만 달라져서, 닿는 면에 따라 힘의 크기는 달라 질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주변 치아와 혹은 치아 면에서 교두나 그루부의 위치에 따라서 상대적인 힘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다른 치아에 비하여 먼저 닿는 점이나, 세게 닿는 점을 찾아 낼 수 있는 것입니다.
T-scan III를 이용하여, 양쪽 어금니 수복한 증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환자분은 보철치료를 받은 후 3개월이 지나서부터 턱이 불편하고, 입이 잘 안벌어지며, 턱이 미끌어지는 느낌이 난다며 내원하셨습니다. 보철을 한 치과에서는 이상이 없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하십니다. 또한 모 대학병원 구강내과에서 턱관절에는 이상이 없다는 진단을 받고 오셨습니다.
치료계획으로 구치부 보철 치료와 T-scan III 교합분석과 교합조정을 시행하기로 하였으나, 재 내원치 않으셨습니다. 그 후, 5 개월 만에 다시 임시 치아 보철물이 뜯겨진 상태로 재 내원하셨습니다. 처음 보철한 치과 말고 다른 치과에서 나머지 보철을 한 후, 턱이 더 안 좋아 지고, 치아가 기울어지는 것 같은 느낌을 받으며, 불편해서 음식을 먹을 수 없어서 보철물을 다 제거 하고 치료비를 환불 받았다고 합니다. 또한 그 치과에서 40번대 자연치아를 조정했는데, 그것 때문에, 턱이 더 기울어지고 불편 하다시며 자연치는 삭제하지 말고 치료해달라고 재 내원하셨습니다.
치료계획은 #16,17,46,47 크라운과 #35~37 브릿지와 T-scan III 분석과 교합조정으로 결정하고 치료를 시작하였습니다. 물론 T-scan III 분석비와 교합조정비는 따로 청구하였습니다. (#36번 치아는 뿌리에 이상이 있다고 얘기를 들어서, 대학병원에 재치료 받고 오시겠다고 하여, #36 re-endo 후 치료를 시작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좌측 힘의 불균형이 심하며, 하단의 그래프를 보면, 떨림이 심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좌, 우의 힘의 배분이 25%대 75%로 우측이 편중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측에 대합하는 치아가 한 개 더 많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 치아를 제외하고 힘의 배분을 살펴보아도 마찬가지입니다.
우측 소구치를 제외 한 후에도 힘의 배분이 좌측이 25% 우측이 45%로 우측이 훨씬 많이 힘이 분포 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힘의 불균형이 심하기 때문에, 예민한 환자들은 턱이 기울어진 것 같다거나, 턱이 기울어지는 것 같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교합평면이 기울어지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 것입니다.
T-scan III는 각 치아별로, 혹은 좌,우나 전,후방으로 힘의 분할을 균형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위의 환자와 같이 힘이 편중되어 있는 것을 적절하게 분포시키는 것을 Force Mapping 이라고 합니다.
치료 전 T-scan III 상에서 볼 수 있듯이 이 환자분은 force mapping 필요한 상태입니다.
임시치아 제작을 한 후 force mapping을 합니다. 힘의 균형을 살피고, 특정치아에 너무 많은 힘이 배분되고 있는 지를 체크합니다.
좌 우의 힘의 배분이 53.8%, 46.2%로 거의 반반으로 적절하게 분포되었습니다. 개별 치아에 힘의 분포를 보자면, 우측 제이 대구치 부위가 전체 힘의 31%를 차지 하기 때문에, 좀 더 세밀하게 조정을 하자면,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좌측 제이 대구치와 우측 제이 대구치를 비교해보면, 31% 대 3%로 차이가 많이 남을 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force mapping 에는 문제가 없지만 좌,우측을 비교하여 차이가 너무 심하다거나, 한 치아에 너무 많은 힘이 몰려 있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이 환자분의 경우에는 교합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시는 분이시기 때문에 이런 부분을 놓치면 안 되는 것입니다.
임시치아를 조정하여 좌측 제이 대구치의 힘이 많이 줄어 들고, 우측 제이 대구치에 힘이 증가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전체적인 힘의 배분도 좌,우측이 46.9% 대 53.1%로 크게 무리 없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임시 치아 상태에서 편안해 하신 후, 영구 보철 제작에 들어갔습니다. 영구제작 장착 후 T-scan III 분석을 시행하고, 교합조정으로 마무리 하였습니다.
좌,우 균형은 4대 6 정도로 크게 나쁘진 않습니다. 좌우 치아별 비교에서도, 크게 두드러지는 치아 없이 비슷한 비율을 보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환자분의 주소는 거의 다 해결이 되었으며, 턱이 기울어지는 느낌과 턱관절의 불편감, 저작시 통증은 사라졌다고 하십니다. 자연치 교합조정을 거부하시는 상태라 완벽한 균형 교합을 유지시키기는 쉽지는 않습니다. 환자분은 매우 예민하고 민감해 오른쪽 어금니쪽이 뭔가 모르게 살짝 불편하다고는 하십니다.
보시는 대로, 매우 예민하신 분이라, 교합점 사진을 찍는 것 조차 협조를 안해주셔서, 교합점 사진을 제대로 보여 주지 못함을 애석하게 생각합니다.
T-scan III를 통하여, force mapping을 함으로써 교합지로 찾아 낼 수 없는 힘의 불균형을 찾아 낼 수 있고, 이를 개선함으로써 환자분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됩니다.
사진설명
<그림 1> T-scan III-USB를 이용하여 컴퓨터에 바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음.
<그림 2> T-scan III의 sensor - 두께 67micro meter. 압력에 따라서 센서 내부의 그리드에서 전력이 발생하여 그 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digital화 하여 그래프로 나타내 준다.
<그림 3> 초진시 파노라마 사진 - 보철후 불편감과 턱관절 이상으로 5개월만에 우측 보철물 철거후 내원.
<그림 4> TMJ 사진-TMJ 자체의 두드러질만한 골 변성은 보이지 않습니다.
<그림 5> 재 내원 시 파노라마 - 또 다른 치과에서 보철 후 불편감과 저작 이상, 턱관절 이상으로 재내원, 보철물 철거와 치료비를 돌려 받았다고 하심.
<그림 6> 치료전 MIP에서 T-scanIII still cut
<그림 7> T-scan III으로 좌, 우 힘의 균형 비교 그림.
<그림 8> 우측 제이 소구치를 기준으로 전, 후방 분할 후 T-scan III still cut
<그림 9> 치료전 우측방 운동시 T-scan III still cut.
<그림 10> 치료전 좌측방운동시 T-scan III sill cut.
<그림 11> 임시치아 교합조정후 T-scan III MIP 상태에서 still cut.
<그림 12> 좌측 제이 대구치에서 전체 힘의 31%를 나타냄을 볼 수 있습니다. T-scan III 상 확대 그림.
<그림 13> 임시 치아 교합 조정 후 force mapping-T-scan III still cut.
<그림 14> 보철후 MIP 에서 T-scan III still cut.
<그림 15> 보철물 최종 셋팅후 교합점 사진.
<그림 16> 정면 안모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