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말, 허봉천 국제이사님께서 연락을 주셨다. 미국 ADA(American Dental Association)에서 collabo ration(협력) 제의를 한 것이다. 그렇게 11월부터 이민정 국제담당 부회장님, 허봉천 국제이사님, 황우진 홍보이사님, 덴탈빈 대표님이신 박성원 교수님, 그리고 필자는 ADA와 지속적으로 줌(zoom) 영상회의를 진행해 왔다. ADA에서 제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미국치과의사협회(ADA)와 대한치과의사협회(KDA) 의 공동 구강건강 정책 논의, 워크숍 및 학술대회 공동 주최, 공동 정책연구, 임상 진료지침(clinical guideline) 작성, 한국 내 치과대학이 미국 치과 인증위원회(CODA) 인증을 원하는 경우 지원을 위한 협력, 그리고 한국 치협의 보수교육 과정을 통해 미국 치과의사 보수교육 점수 일부를 상호 인정받을 수 있는 ADA의 CERP(Continuing Education Recognition Program) 인증이었다. ADA에서 제시한 내용은 구체적이다. 단순 친목을 다지는 의미의 MOU체결과는 결이 다르다. 이 내용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정책 논의와 공동 정책연구” 그리고 CODA라고 생
“치과의사는 어떻게 되었나요?” 치과의사라면 한번 씩은 들었을 만한 질문일 것이다. 물론 어렸을 때부터 계속해서 꿈이 치과의사였던 분들도 계시겠지만, 다양한 배경을 가진 치과의사분들도 꽤 많으시다. 한국 치과의사들은 타 직종보다 유난히 “취미 부자”가 많다는 생각이 든다. 주변 치과의사분들을 보면 사진, 미술 등의 작품을 출품하거나, 악기를 수준급으로 다루는 분들, 또는 운동이나 여행에 진심인 분들이 아주 많다. 다재다능한 분들이 유난히 많은 집단이라는 생각을 항상 하는데 그 이유를 나름 분석해보면, 아마도 치과의사라는 직업은 이과적인 지식뿐만이 아니라, 미적 감각과 손재주도 필수이고, 환자를 대하는 스킬도 중요한 직종이기 때문이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물론 문화 간 차이도 있을 것이다. 한국 사회에서 누군가를 알아갈 때 “취미가 무엇인가요?”라는 질문을 흔히 하는데 서양권 문화에서는 보편적으로 하는 질문이 아닌 것 같다. 영문사전에 취미라는 뜻인 “Hobby”를 검색하면, “즐거움을 위해, 또는 쉬는 시간에 하는 활동”이라고 풀이되어 있고, 프랑스어로 취미라는 뜻인 “Passe-temps”를 직역한다면 “시간을 보낸다”라는 뜻이다. 하지만 한자사전으로
한국에서 흔히 사용하는 신조어인 “유리멘탈”은 감정적으로 쉽게 상처를 받거나 스트레스를 잘 받는 사람을 일컫는다. 영어권에서도 유리를 사용하는 비유가 많다. 예를 들어, “breaking the glass ceiling”= “유리천장을 깨다”라는 표현은 장벽을 극복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고, 신데렐라에 나온 “glass slipper”=“유리구두”는 안성맞춤, 또는 특별한 기회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glass wall”=“유리벽”은 특정 역할이나 분야로의 이동을 막는 차별을 의미한다. 우리는 “번아웃”을 호소하는 사람들에게 “유리멘탈”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작년 세계치과의사연맹(FDI) 총회에서 치과의사와 번아웃 신드롬에 대한 흥미로운 강연을 들었다. 연자는 영국 치과의사 출신으로 현재 호주 치과의사협회에서 법정분쟁으로부터 치과의사들을 보호하는 자문 팀을 담당하는 변호사이다. 그녀 또한 진료실에서 겪은 스트레스와 심리적 불안에 지쳐 치과의사가 아닌 법조인으로 직업을 변경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녀가 소개한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번아웃 신드롬(burnout syndrome)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정서적 고갈(e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