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해상도 파일은 아래PDF 첨부파일 클릭하세요 장호열 교수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구강악안면외과학회 대전충청지부 기획이사 ·중부 치의학연구회 부회장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 ·현) 건양대학병원 치과 과장
■ 2018년 1월 4일 이후 세미나 일정입니다 아래 첨부파일 다운받으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고해상도 파일은 아래PDF 첨부파일 클릭하세요 김호진 원장 디자인치과 대구점 원장
■ 2018년 1월 1일 이후 세미나 일정입니다 아래 첨부파일 다운받으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고해상도 파일은 아래PDF 첨부파일 클릭하세요 구본길 원장 ·대전대학교 한의과 대학 졸업 ·대전대 부속 한방병원 인턴 수료 ·특수전 사령부 한방 과장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대구 맥치과병원 근무 ·현) 대전 유성 본치과 의원 원장 ·현) 연세대학교 구강내과 학위 과정
■ 2017년 12월 28일 이후 세미나 일정입니다 아래 첨부파일 다운받으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고해상도 파일은 아래PDF 첨부파일 클릭하세요 김도현 원장 바른이치과(제주)
구강작열감증후군(Burning mouth syndrome, stomatodynia, oral dysesthesia, stomatopyrosis)는 병인이 아직까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은 질환이다. 임상적으로 병적 상태가 보이지 않으나 구강 점막(주로 혀)의 통증이나 화끈거림을 호소한다. 현재 다양한 방법의 치료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치료가 잘 되지 않는 편이다. 의심되는 원인요소로는 국소 신경외상, 구강 악습관, 타액선 기능저하가 주로 보고되고 있으며, 전신적 원인 요소로는 당뇨, 영양결핍, 폐경이 주로 보고되고 있다. 심리적 증상이 환자에서 빈번히 관찰되지만 아직 원인요소인지는 불분명하다. 환자는 미각장애와 구강건조감을 빈번히 호소한다. 환자는 특정한 맛이 지속 되거나 미각의 변화를 호소한다. 보통 지속되는 맛은 대부분 쓴맛이거나, 금속성의 맛 또한같이 나타난다. 동일한 환자에서 구강작열감증후군과 함께 미각장애와 구강건조증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나 두 가지 진단명이 존재하는 경우를 빈번히 볼 수 있다. 1. 임상증상 일반적으로 구강조직의 화끈거리는 증상을 호소하지만 아프고, 가려운 증상이나 감각이상을 호소하기도 한다. 이러한 불편감은 일반적으로 맵고 뜨거운
■ 고해상도 파일은 아래PDF 첨부파일 클릭하세요 이은희 원장 ·바른해치과의원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일본 Tsurumi 대학 교정과 수련 및 박사취득 ·분당제생병원 교정과 과장 ·이대목동병원 교정과 외래부교수 ·대한치과교정학회 인정의 및 학술위원 ·한국임상교정치과의사회(KSO) 정회원 및 학술위원 ·한국구강근기능연구회 회장 역서·Muscle Wins! 의 교정치과임상 (곤도 에츠코 저)2007 대한나래출판 ·치아는 움직인다 (히라시다 아야오, 야마모토 테리코 저) 2009 군자출판사 ·MFT의 실제 (다카하시 오사무, 다카하시 미야코 저) 2014 대한나래출판
■ 2017년 12월 21일 이후 세미나 일정입니다 아래 첨부파일 다운받으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김기범 원장 (연세베스트치과) ■ 고해상도 파일은 아래PDF 첨부파일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