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칼|럼| 삶 혜원 스님<조계종 한마음선원 주지> ‘그냥 무조건이야’ 은사스님이신 대행 큰스님의 법어집이 현대불교신문과 한마음선원 출판부의 공동 기획으로 이번에 새로 나왔습니다. 이 책은 다른 법어집과 달리 어른 스님께서 제자들에게 해주신 이야기들이 대화 중심으로 실려 있다는 특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은사스님이 거두신 제자들은 그 수가 많지만 스승에 대한 마음은 한결같은 색깔을 띄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자들의 마음에서 스승을 생각하는 정성은 지극하기가 이루 말할 수가 없답니다. 이번에 나온 법어집에는 그런 제자들에게 스승이신 은사스님께서 해주신 이야기들이 실려있으니 세간에서 공부하시는 분들에게도 상당히 흥미로운 소재들일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모든 사람들에게는 현재의 자신을 있게 해준 스승이라는 존재를 마음에 품고 있기 마련입니다. 내 인생의 스승이라고 해서 반드시 엄청난 존재감을 가진 사람이라는 법은 없습니다. 과거에 경험한 어떤 작은 일이 주는 충격, 깨달음, 변화의 계기 등이 우리 인생에서는 그런 스승의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수행자들이 구도의 길을 가는 여정에서 만나게 되는 스승의 존재란 자기 공부의 전부라고 해
이병태 원장의東醫寶鑑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지정>이야기 5 이몸·잇몸은 아상(牙床) 《東醫寶鑑》에 은( ? )을 아상(牙床)이라고 하였다. 잇몸(북한은 이몸)은 순우리말이다. 이 잇몸을 牙床이라고 한 데 필자는 경탄하고 있다. 이 床이 치과영역에서는 주로 의치상(義齒床)·교정상(矯正床)·상장치(床裝齒)라던가, 임상(臨床)이나 병상(病床)처럼 쓰이고 있다. 이 床은 bed이다. 구들이 아닌 잠자리를 뜻한다. 그러나 bed나 잠자리는 아늑하고 편안(便安)해야 한다. 이(齒牙)가 편안하게 쉬는 곳이라 하여 아상(牙床)이라고 했는지, 참으로 깊이가 있고 친근감이 간다. 일본에서는 치육(齒肉)이라는 용어를 치은(齒?)보다 더 쓰고 있다. 우리들은 (齒 ? )과 gingiva를 쓰고 있다. gingiva나 gum을 우리말로 잇몸(북한은 이몸)으로 쓰고 있지만 牙床이 더 가슴에 와닿는다. 저자는 齒科醫史學 강의를 맡으면서 이 분야에 대한 공부를 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던 중, 《東醫寶鑑》에 나온 이 牙床이라는 용어를 보고 놀랄 정도로 반가웠다. 그리고 구강을 옥지(玉池)라고 한 것에 대하여 아름답고 멋까지 흠뻑 배인 용어
이 무 건 <본지 집필위원> 세파라치, 과연 옳은 제도인가? 정부는 지난 9월 22일 국무회의를 열어 의사, 치과의사, 변호사 등 고소득 전문직자영업자가 건당 30만원 이상을 현금으로 거래할 시 반드시 현금영수증을 발급토록 의무화시켰다. 만약 소비자가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지 못했을 경우 국세청에 신고하면 포상금을 받을 수 있도록 했으며, 진료비 전액을 벌금으로 징수해 신고자에게 진료비의 20%를 포상금으로 지급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법안과 관련해 정부 측에서는 앞으로 2년간 한시적으로 운영하며 주로 현금사용을 유도하는 병의원이 집중감시 대상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렇다면 과연 이런 세파라치 제도가 정부의 바람대로 고소득 전문직자영업자들의 세금탈루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대하는 만큼의 역할을 해낼 수 있을까? 부부사이에서도 감추어둔 소득을 찾아내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닐진대,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세금탈루를 하려 드는 이들 앞에서는 그리 큰 효용성을 발휘하지 못할 것이다.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진다고 오히려 성실납세를 하고 있는 대다수 의료인들에게 불편만 끼칠 공산이 크다. 선진국 전문직자영업자의 평균 소득신고율은 대체로 70~90%
종|교|칼|럼| 삶 혜원 스님<조계종 한마음선원 주지> 자기 근본에서 나오는 것 불교에서 삼보에 귀의한다는 말은 스승이신 부처님(佛)과 부처님의 가르침이신 법(法)과 그 가르침을 둘 아니게 공부하는 이들(僧)에게 귀의한다는 뜻입니다. 마음공부에서는 자성 삼보(自性三寶)에 귀의한다는 말을 씁니다. 자성 삼보라는 것은, 주 심봉은 움직이지 않으면서 바퀴를 돌아가게 하듯이 그런 부동의 힘을 배출해 줄 수 있는 자기의 근본이 불, 자기의 근본에서 마음을 내는 것이 법입니다. 그리고 승은 법에 따라 움직이는 이 모든 것을 말합니다. 이 세 가지가 바로 자기 자성한테 있는 것입니다. 그러면 자성삼보에 귀의했으면 들이고 내는 행을 자기가 어떻게 해야만이 계(戒)를 지킨다고 할 수 있을까요? 들이고 내는 이 모든 것이 자기 근본이요, 보는 것도 그놈, 듣는 것도 그놈, 가고 오는 것도 그놈, 모든 게 일거수일투족이 다 그 근본에서 하는 것입니다. 나무가 바로 제 뿌리가 있기 때문에 제 나무가 있듯이 말입니다. 그러니 우리들 각자에게 누(累)가 되게 한다면 자기 가정까지도 부모까지도 자식까지도 누가 되게 됩
이병태 원장의東醫寶鑑(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지정) 이야기 4 아치(牙齒)와 견치(犬齒) 판치의 양옆에 긴 치아를 아치(牙齒)라고 했다. 바로 견치(犬齒, canine)를 가리킨다. ‘牙’는 어금니, 어금니가 서로 맞물려 교합되어 있는 현상을 내는 漢字이다. 그리고 ‘齒’는 얼굴과 입모양을 나타내고 이(齒牙)를 드러내는 꼴을 하고 있어서 영어의 orofacial(구강안면), dentofacial(치아안면), maxillofacial(악안면)이라는 뜻과 통한다. 이 견치는 치열궁(dental arch)의 전방과 후방을 잇는 굽이길에 있다. 아마도 ‘牙’와 ‘齒’의 중간에 있다 하여 牙齒라고 명명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실제로 견치는 치열궁의 구각부위에 있고, 치근을 보면 단근치아인 전치와 복근치인 구치 사이에서 굵고 가장 긴 치근을 가지고 있다. 犬齒나 canine은 외관을 보고 형태적인 뜻을 강조하는 용어라면, ‘牙齒’는 해부학을 바탕으로 기능을 고려한 용어이다. 참고로 우리나라와 일본이 쓰고 있는 齒科를 중국, 대만, 홍콩을 포함해서는 牙科라고 하고 있다. 그리고 이(tooth)를 우리나라에서는 齒牙, 일본에서는 齒, 중국, 대만, 홍콩 포함해
월요 시론 오성진 <본지 집필위원> 일의 본질 “어떤 일을 하더라도, 그 일을 통하여 얻어지는 수익이 아무리 크더라도, 혹은 많은 손실이 눈 앞에 확연히 보일지라도, 해야 할 일은 반드시 해야 하고, 해서는 안 되는 일은 결코 하지 말아야 한다.”자라면서 이러한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본질이라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사람이 누군가로부터 대접(존대)를 받는 것은, 받을 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아무 이유 없이 존대를 받는 일이란 있을 수도 없고, 혹시 있었다고 해도 이후에 자신이 받았던 대접에 대해 몇 배의 값을 치르게 되든 것이 삶의 법칙인 것 같다.어린 시절에 읽었던 동화중의 하나인 왕자와 거지 이야기에서, 거지 소년은 왕자로부터 닮았다는 이유 한가지로 인해서 왕자의 초청을 받는다. 그리고 생각지도 않은 대접을 받게 된다. 거지 소년은 왕자를 닮았다는 이유로 대접을 받았다. 그러나 그에게 왕자 행세를 할 권한이 주어진 것은 아니었는데, 거지 소년은 자신의 대접 받는 이유를 잠시 망각한 탓으로, 왕자의 행세를 하게 되었고, 나중에는 차라리 왕자를 만나지 않았을 것이 더 좋았을, 비참한 입장에 처하게 되고
종|교|칼|럼| 삶 혜원 스님<조계종 한마음선원 주지> 자기 전에 무엇을 입력시킬까 학교에서 공부를 할 때, 열심히 외워두었던 것들을 잠을 자고 나면 다 잊어버릴까봐 노심초사한 경험들이 다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실험을 통해서 증명된 바로는 잠을 잘 때는 외부 자극이 없기 때문에 자기 전에 기억한 것을 오롯이 기억하고 있더라는 결과가 나왔다고 합니다. 잠자기 전에 입력시켰던 것을 그대로 기억하고 있는 여러분의 뇌에 여러분은 어떤 것을 입력시키고 잠이 드는지 궁금합니다. 어떤 이는 이렇게 말하기도 합니다. “아무 생각 없이 그냥 잠자지 말고 잠들기 전에 마음에 그리던 것을 잠시 적어 놓으십시오. 메모장에 적기가 어려우면 머리 속에 새겨도 좋습니다. 아침에 눈을 뜨면 놀랍게도 응답을 얻는 경험을 더러 하게 될 것입니다." 이것은 여러 사람들의 검증을 거친 사실을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잠자기 전 어떤 것을 입력시켜서 내 인생에 플러스가 되게 해야 할까요? 시아족 인디언들이 갓 태어난 아기들을 잠 재우면서 하는 기도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그 기도는 다음과 같습니다“여기 아이를 잠자리에 눕히네.
이병태 원장의東醫寶鑑(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지정) 이야기
이병태 원장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지정 東醫寶鑑 이야기2 《東醫寶鑑》목차와 내용내용은 머리말, 목록 2권, 내과학인 내경편<內景篇> 4권. 외과학인 외형편<外形篇> 4권, 전염병, 곽란, 부인병, 소아병 관련 잡병편<雜病篇> 11권, 약재캐는 법, 만드는 법, 용법 관련한 탕액편<湯液篇> 3권, 침뜸법과 혈<穴> 위치 관련한 침구편<針灸篇> 1권으로 이루어졌다. 중국, 수<隋> 당<唐> 그리고 명<明> 나라 초에 이르는 의서를 거의 다 싣고 있으며 특히 탕액편에는 수 백 가지 한자어 약물명을 한글로 번역해서 실어 어학 연구에도 크고 좋은 자료이다. 《東醫寶鑑》속의 齒痛 7종허준은 《東醫寶鑑》에서 치통을 7가지로 분류하였다. 먼저 치통 원인을 위胃 속에 습열<濕熱>이라고 했고 바람을 마실 때 위<胃>에 풍사<風邪>가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1. 풍열통《風熱痛》 체질적으로 몸이 뜨거워서 아상<牙床>이 붓고 농이 나오며 악취가 나는 통증이다. 치은농양(gingival absces
월요 시론 배광식 <본지 집필위원> 한국박물관 개관 100주년을 맞아 한국에 처음 개설된 박물관인 창경궁 제실 박물관은 대한제국 시절인 1908년에 문을 열었으나, 순종과 일부 특별한 사람들만 관람이 가능했다. 근대적 의미의 박물관은 인류의 문화유산을 수집 보존하고, 조사 연구하며, 일반대중에게 전시 공개하고 교육하여 문화발전에 기여하는 기관을 말하는 것이니, 순종이 여민해락(與民偕樂; 백성들과 함께 즐거움을 나누다)을 주장하며 반대하는 대신들을 설득하여 백성들이 제실박물관을 관람할 수 있게 한 1909년 11월 1일이 명실공히 한국 박물관의 시작인 셈이고 금년이 그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용산의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2009. 9. 29일(화)부터 11. 8일(일)까지 기획전시실에서 ‘한국 박물관 개관 100주년 기념 특별전 여민해락(與民偕樂)’을 개최한다. 이는 전국적으로 600여개가 넘는 박물관 및 미술관을 아우르고, 우리 박물관의 어제, 오늘, 내일을 국민과 함께 이야기하는 소통의 장으로 마련된 것이고, 우리 정체성 확립과 한국문화의 집적 및 교류를 통한 창의적 문화 창달의 계기를 삼고자 함이다. 모두 200 여점이
이병태 원장의東醫寶鑑 이야기 1 세계서 솟아오른 東醫寶鑑 동의보감이 2009년 7월 31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Memory of the world으로 됐다. 우리나라(韓國)에서는 일곱 번째이지만 의학 관련 문헌으로는 세계에서 처음이다. 그동안 1997년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 2001년 승정원일기, 직지심경, 2007년 조선왕조의궤, 해인사고려대장경판팔만대장경경판을 유네스코는 세계 기록유산으로 지정했다. 한국은 지정 숫자로는 세계에서 여섯째이고 아시아에서는 제일 많은 나라가 되었다. 필자는 지난날 20년이 넘도록 한 두 치과대학에서 치과의사학history of dentistry강의를 하였다. 한 학기 13시간 중 10~15분 정도를 《東醫寶鑑》에 관한 강의를 하였다. 강의라기보다는 수박 겉핥기식의 소개를 하면서 아쉬움과 그 아쉬움이 부풀어 한탄(恨歎)에 빠지곤 하였다. 그럴 때 마다 핏줄을 내려준 선학들의 위업을 이렇게 모르고 지내서야 되겠는가 하는 통념(痛念)에서 허우적거리기도 하였다. 세계기록유산은 중요하다. 우리에게는 《東醫寶鑑》이 있어서 대단한 자랑이었다. 그 《東醫寶鑑》에 관하여 저자 허준은 누구이며 그 출간 배경과 여러 가지를 알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