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병주 원장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일본 큐슈대학 치과대학교 교정과 박사 Supersmile 교정연구회 (1994년부터 현재) 2452호에 이어 계속 구개면에 식립하는 플레이트는 위치적인 특성상 상악 구치를 압하하는 방향의 힘을 가할 때에 구개측으로 경사가 일어나며 치열궁 폭경이 좁아지기 쉽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Trans-palatal bar 는 그와 같은 원하지 않는 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좋은 장치일 것이다. 다른 연구에 의하면 Heavy wire(1.2mm)로 제작한 trans-palatal bar 를 장착하여도 힘이 구개측 치근에 집중된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이는 고정식 장치 보다는 그림 4 에서 볼 수 있듯이 가철식 장치(Trans-palatal Bar, Unitek)를 사용하여 협착이 일어나는 경우 장치를 확장하여 설치함으로 counter-balancing force 를 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별한 기공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치료과정을 단순화하고 체어사이드에서 조절하여 장착할 수 있다는 점은 술자와 환자 모두에게 좋은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BAP
■ 2016년 10월 10일 이후 세미나 일정입니다 아래 첨부파일 다운받으시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고해상도 파일은 아래PDF 첨부파일 클릭하세요 조종만 원장 ·베스필치과의원 원장 ·경희대학교 대학원 치의학 박사 ·미국 UCLA 치대 임플란트 및 치주과 연수 ·대한 치과보철학회 인정의 ·대한 심미치과학회 부회장 역임 ·저서 ‘YES! 자연치아살리기’
■ 2016년 10월 3일 이후 세미나 일정입니다 아래 첨부파일 다운받으시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한병주 원장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일본 큐슈대학 치과대학교 교정과 박사 Supersmile 교정연구회 (1994년부터 현재) 이번호부터 3회에 걸쳐 한병주 원장이 Bi-tripod Anchor Plate(BAP)의 개념 및 증례를 중심으로 ‘상악구치의 상방/후상방 이동을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소개한다. 교정분야에 있어서 Skeletal anchorage를 제공하는 교정용 미니스크류 혹은 플레이트의 사용은 보편적이며 필수적인 치료법으로서 환자 의존도를 줄이고 보다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확실하게 자리매김 하였으며, 최근의 교정치료를 위한 진단계획 및 치료법들 또한 이러한 skeletal anchorage 기반으로 하는 경우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라고 할 수 있다. 한편으로 교정용 스크류는 연구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10퍼센트 전후의 상당히 높은 탈락율 나타내고 있다. 그와 같은 탈락의 주된 원인으로서 스크류와 치근의 근접성을 원인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스크류가 탈락되면 전반적인 치료계획 및 치료법 변경이 불가피하게 되는 경우를 임상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이에 반해서 구개면에 식립하는 플레이트 경우는 치근과 무관한 위치에서 다양한 역
■ 고해상도 파일은 아래PDF 첨부파일 클릭하세요 박휘웅 원장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보철과 수련 ·서울대학교 보철학 석사, 박사 수료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원 외래교수 ·FI 임플란트연구회 회장 ·현) 서울에이스치과의원 원장 연재순서 1. 디지털 장비를 이용한 단일 임플란트 보철 수복 증례 2. 디지털 장비를 이용한 다수 치아 임플란트 보철 수복 증례 3. An optimal design for CAD/CAM custom abutments and crowns 4. Digital dentistry의 다양한 임상 응용
■ 고해상도 파일은 아래PDF 첨부파일 클릭하세요 조종만 원장 ·베스필치과의원 원장 ·경희대학교 대학원 치의학 박사 ·미국 UCLA 치대 임플란트 및 치주과 연수 ·대한 치과보철학회 인정의 ·대한 심미치과학회 부회장 역임 ·저서 ‘YES! 자연치아살리기’
■ 2016년 9월 29일 이후 세미나 일정입니다 아래 첨부파일 다운받으시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고해상도 파일은 아래PDF 첨부파일 클릭하세요 김재승 교수 ·서울대학교 치과대학과 대학원 졸업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구강악안면외과 전공 ·현재 건국대학병원 양악수술센터장 ·저서 심미적 턱교정수술, 양악수술의 두 얼굴
■ 2016년 9월 22일 이후 세미나 일정입니다 아래 첨부파일 다운받으시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고해상도 파일은 아래PDF 첨부파일 클릭하세요 김재승 교수 ·서울대학교 치과대학과 대학원 졸업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구강악안면외과 전공 ·현재 건국대학병원 양악수술센터장 ·저서 심미적 턱교정수술, 양악수술의 두 얼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