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6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세계속의 한국기업
비스코사를 가다(4)

자연스러움을 재현할 수 있는 최신 Composite 재료 Abstract(요약) Direct composite veneer의 등장으로 인해 이제 치과계는 “cosmetic age”(미용 치과 시대)에 들어 서고 있다. 지금까지 재료와 기술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이러한 치료들이 가능하게 되었고 치과의사들은 기능적으로나 심미적으로 자연치아에 가까운 수복물을 만들 수가 있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재료들을 임상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아름다운 치아(anterior tooth)를 만들어 내는 기술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한다. 목적 direct composite veneer의 제작에서 여러 종류의 composite를 잘 배합하여 자연치아의 느낌이 나게 하는 기술을 쉽게 배운다. class4 defect가 크면 심미적 이유로 full veneer를 해야 될 때가 있다. opaque과 translucent shade 사이의 경계를 없앨 수 있는 “cutback” 기술을 배운다. (순면에 보다 좋은 자연감을 주는데 필수적임.) 심미치과에 대한 환자들의 요구로 인해 신재료나 기술의 진보가 뒤 따르게 되었다. Dentistry는 더 이상 질환 치료에 국한되지 않는다. 환자 스스로의 심미 치료 욕구는 매년 치과 시장의 크기를 더 넓혀 주고 있다. 그 중 하나로 환자들의 외모를 즉석에서 바꾸어 줄 수 있는 direct composite veneer를 들 수 있다. 이 논문에 나와 있는 case는 direct composite veneer를 제작하는 기본 기술, 즉 여러 가지 composite재료를 선택 하고 배합하여 인접한 흰 치아와 자연스럽게 어울리도록 하는 것을 설명해 주고 있다 Histologic Build-Up for Direct Composite Veneers (자연치아의 조직과 근사하게 쌓아 올리는 방법) 전치부의 facial veneer는 dentin과 enamel의 composite 재료를 층층으로 잘 쌓아 올리므로 살아 있는 치아 같이 보이게 할 수 있다. Class 3이나 Class 4에서도 같은 원리가 적용 된다. Enamel margin에 bevel을 길게 주고 translucent composite 재료를 경계선이 보이지 않을 때 까지 얇게 덮어 줌으로(“feathering” out) 치아와 수복물 간의 margin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Universal Vita shade 대로 나오는 composite 재료만으로 수복할 경우 translucency가 결여 되어 자연치아와의 경계 부위를 완전히 없앨 수 가 없다. 치아 삭제 전에 Vita shade guide로 첫번 dentin shade를 결정하고 이 shade와 같은 hybrid composite을 사용하여 치아의 순면 전체를 덮어 준다. Class 4 case나 inicisal fracture로 인해 인접면 일부가 손상된 case에서는 특수한 opaque shade나 opaque tint를 사용하여 필요한 만큼 빛을 차단해 줄 수도 있다. 치아 삭제가 끝난 상태에서의 dentin shade도 선정하여 여기에 맞는 dentin composite을 선택하게 된다. 치아의 내부구조를 축성한 후 투명한 composite을 원래 치아 모양대로 쌓아 올려 enamel층 같이 만들어 준다. 자연치아에서와 마찬가지로 내부층의 dentin shade가 전체 치아의 shade를 결정하게 된다. Clinical Case Presentation 변색이 된 Class 4 composite을 상악 우측 중절치(No. 8)(그림1과 그림2)에 갖고 있는 환자로서 이전의 수복물은 단 한가지만의 shade로 전체를 수복해 준 case이다. 자세히 검사한 결과 restoration은 주위 인접한 치아들과 잘 섞여 지지 않는 색깔을 갖고 있다. 비스듬한 composite line이 뚜렷이 보이므로 도저히 심미적이라고 할 수가 없었다. 인접한 좌측 중절치(No. 9)는 Vita A1 shade 이었고 치아 중심에서 볼 때 dentin A1 색을 볼 수 있었다. 이 부위의 enamel의 투명층은 얇으면서 주위로 보다 뿌연(milky) 투명도를 보이는 enamel에 의해 둘러 쌓여 있었다. 표면의 촉감은 약간 들어간 곳들이 있으면서(concavity) 대체로 smoth 했다.
환자의 심미적 요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서는 No. 8에 facial veneer를 해 주는 것이 좋겠다고 결정하였다. Composite의 finishing line으로부터 더 멀리 얇게 펼쳐 줄수록(feathered out) 자연치아 구조와의 이행이 자연스러워 보이게 된다.(seamless) 치아 근심쪽의 Class 4 부위는 RENEW Opaque A1(universal hybrid composite)으로 쌓아 올렸다(그림3). (또 다른 hybrid composite으로 point 4가 있다.) enamel shade를 주기 위해 인접면 쪽에 약간의 space를 남겨 놓았다. 다음 hybrid와 자연치아구조 사이의 경계를 mask 하기 위해 AELITEFLO A1 (flowable composite)을 순면 전체에 덮어 준다(그림4). (다른 flowable composite으로 Revolution,, 3M Filtek Z250, Flow-It등이 있다.) 16번 fluted carb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