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테리아만 잡아먹는 바이러스인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가 차세대 항생제로 주목받고 있다.
아나 토리비오 영국 웰컴트러스트 생거 연구소 박사가 에든버러대학에서 열린 제161차 일반미생물학회 회의에서 쥐에 결장염을 일으키는 박테리아인 시트로박터 로덴티움에 감염된 쥐를 박테리오파지로 완치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밝힌 것으로 지난 4일 메디컬 뉴스 투데이가 보도했다.
토리비오 박사는 “박테리오파지는 특정 세균에 기생하고 증식하는 세균바이러스로 일부 박테리오파지는 특정 박테리아만을 공격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정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그 질병을 일으키는 박테리아만을 공격하는 특정 박테리오파지를 쓰는 것보다 여러 종류를 뒤섞은 ‘칵테일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면서 “특정 박테리오파지에 내성이 생기는 것을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같은 연구소의 데렉 피커드 박사는 “박테리오파지가 차세대 항생제로 각광받는 이유는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을 비롯해 많은 박테리아들이 대부분의 항생제에는 내성을 가지고 있지만 박테리오파지는 이들 박테리아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피커드 박사는 “전통적인 광범위 항생제는 질병을 일으키는 박테리아는 물론 섭취한 음식물을 소화시키고 중요한 영양소를 공급하는 이로운 박테리아마저 죽여 우리 몸의 박테리아 균형을 무너뜨리지만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하면 그럴 염려가 없다”고 강조했다.‘키’결정 유전자 찾았다
미·영 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