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호에서는 진단에서 최종 인상, 모델 작업 등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시스템 선택 시 고려사항, 코핑 및 framework 제작 및 시적, 최종 보철물의 제작 그리고 접착과정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CAD/CAM 시스템의 선택
실제로 최종인상 등을 통해 모형이 만들어지면 모형이나 납형의 스캐닝을 거쳐 보철물의 하부구조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디자인하게 된다. 몇몇 시스템은 이 디자인의 정보만을 전송하여 실제 보철물을 다른 곳에서 만들어내는 방식을 택하고 있기도 하다. 이런 방식은 같은 장소에서 밀링을 하는 시스템에 비해 작업이나 정보전달 등에서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시스템에 따라 디자인을 할 때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의 능력이 다른데, 예를 들어 접착제의 공간을 부위별로 변경할 수 있다거나 부분별로 그 두께를 달리하여 나중에 도재가 축성될 두께를 줄이는 등의 변화를 줄 수 있는 발전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시스템을 선택하는 것이 좋겠다. 또한 밀링기계에서 사용하는 기구의 크기에 따라 그 적합도도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치과의사 및 기공사들은 사용하려는 각각의 CAD/CAM 시스템에 대한 차이를 알고 시스템을 선택하는 것이 좋겠다. (그림 1.)
많은 시스템들에서 single unit만 가능하며, multiple unit의 제작이 가능한 시스템에서도 스캐너에 따라 single unit만 제작 가능하다. 특히 multiple unit이 가능하더라도 보철물의 길이와 악궁의 형태에 따라 그 크기에 맞는 지르코니아 블럭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또한 시스템에 따라서 지르코니아 블럭에 색상이 다양한 경우도 있고, 소성 후 염색이 필요한 시스템도 있다. 보철물의 하부 구조물의 색상이 단 하나인 시스템도 있으므로 시스템에 따라 삭제량의 조절이 필요하고, 그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시스템을 사용하는 술자의 능력도 중요해 보인다. 모든 작업은 컴퓨터 상에서 진행되지만 모형을 평가하고 주어진 공간에서 최종 보철물의 형태와 크기를 예상할 수 있어야 하고 실제 스캐닝 과정과 디자인 과정중의 세밀함이 요구되며, 소성 후 보철물 하부구조의 접합 도를 모형상에서 검사하고 조절하여야 하므로 이런 기계를 잘 다루는 것은 물론 보철물 제작의 경험이 풍부한 기공사에 의한 표준화된 작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Milling and sintering
잘 만들어진 모형을 스캔하여 컴퓨터 상에서 디자인 된 정보는 밀링머신으로 보내지게 된다. (그림 2.)
블럭의 소성 시 수축률을 고려하여 큰 사이즈로 밀링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25%정도의 소성 수축이 있지만 보다 정확히 하기 위해 시스템에 따라 바코드 등의 정보를 읽어내면 수축률이 나오고 부분적으로 소성되어있거나 혹은 생블럭을 밀링 머신에 보철물의 길이나 형태 등을 고려하여 그 크기를 결정한 뒤 위치시킨다.
철저히 계획된 대로 밀링과정을 거치게 되며 디스크나 버 등이 이용된다. 완전 소성된 지르코니아나 타이타늄 등의 금속을 밀링 하는 경우에는 0.3mm 또는 0.5mm 정도의 작은 기구가 사용되며 기구의 교체를 자주 하여야 하지만, 밀링 후 소성이 필요한 지르코니아 블럭을 깎을 때에는 0.7mm에서 1.3mm 정도의 절삭기구가 사용되며 밀링할수 있는 개수도 증가한다. (그림 3.) Tooth preparation시 주의할 사항 중 설명하였지만 치아 삭제면의 불규칙하거나 날카로운 부분들은 스캐닝 과정에서도 오차를 생기게 할 수 있지만 밀링 중에는 기구의 크기나 절삭 방향에 따라 그 표현이 어려울 수 있다. (그림 4.)
밀링 작업 후 소성을 통해 수축이 일어나면 지르코니아 구조물을 모형 상에서 접합도 및 도재가 축성될 공간의 검사 및 조절을 하게 되며, 만약 지르코니아의 삭제가 필요하면 주수하에 전용 삭제 기구를 이용하여 열에 의한 crack 형성을 예방한다. (그림 5.)
Try-in
지르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