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김진환 원장의 지상강좌 3]Computerized Occlusion- T-scan III 이용한 교합 조정

김   진  환  원장의 지상강좌 3

Computerized Occlusion- T-scan III 이용한 교합 조정

 

이번 호에 T-scan III 를 사용할 때, 매우 중요한 개념인 Occlusal Time(이하는 OT)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환자 증례를 중심으로 교합 조정 순서와 OT에 관해서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OT를 살펴보기에 앞서, Center of Force(이하는 COF) 에 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COF 전체 교합점들의 힘의 중심점에 해당합니다. 접촉이 일어나서, 교합력이 발생하여 연결된 모형이 있다고 했을 때, 그 모형에 놓여진 힘의 무게 중심에 해당하는 부위이다. 쉽게 말해서, 교합력이 발생한 교합 평면의 무게 중심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OT라는 것은 처음 치아가 닿기 시작하는 점으로부터 COF가 움직이지 않고 유지될 때까지의 시간을 말합니다. 얼마나 빨리 동시에 치아들이 접촉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OT가 짧을수록, prematurity가 적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Dr. Kerstein은 OT를 0.3초 이내로 유지하도록 제안 하고 있습니다.


OT는 보라색 원안에 보이는 A point로 부터, B point 까지 걸리는 시간이다. 이 환자분에 있어서 OT는 길지 않습니다. 오른쪽 보라색 라인 내부에 보면, OT는 0.126초 밖에 되지 않습니다. B point 에서 force의 비율을 보면,  Maximum Movie Force의 78%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A point 시 상단 그래프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22번과 12번에서 처음 접촉이 시작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은 B point 에서의 교합점 위치입니다.
B point 일때의 교합 접촉점이며, 처음에 치아 접촉이 일어난 시점으로부터 이 시점까지 시간을 OT라고 하며 이 환자에서 0.126초입니다. COF는 이 point로부터 Maximum Movie Force까지 도달 할 때까지 큰 변화 없이 유지 되는 것이다.


이 환자의 경우는 OT는 문제가 없으며 좌·우 힘의 균형에 조화가 깨져 있는 상태입니다.
위 환자분은 임플란트 식립과 보철치료를 완결하신 분이십니다. 제 1 대구치까지 상악은 전악 수복, 하악은 구치부 수복이 이루어졌습니다. 수복 후 recall check 시 왼쪽에 비해 오른쪽이 불편하다는 것이었습니다.


위의 두 사진을 비교해보시면, 교합지가 얼마나 많은 오류를 보여주는지 알 수 있습니다.
상악 교합지 사진상에서는 좌측 20번대가 훨씬 더 많이 찍히고, 힘을 더 받을 것 같이 보이지만, 실제로는 우측 10번대가 더 많은 힘을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T-scan III 상에서 보면, #16번 치아가 다른 치아들에 비하여 힘을 많이 받기 때문에, #16번 치아의 mesial 부위 조정이 필요합니다.(전체 힘의 27%를 차지)
#16 치아 mesial point 를 조정한 후 힘의 균형이 좋아 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치아들간의 좌·우 힘의 균형이 무리가 있어 보이진 않습니다. 이 상태에서 치료를 종결 할 수 있으며, 좀 더 미세 조정을 하고 자 할 때는 sensitivity를 높여 주어 좀 더 민감하게 센서가 반응하도록 만들어서, 미세하게 먼저 닿거나 좀 더 상대적으로 큰 힘이 걸리는 부분을 찾습니다.
구강내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고, T-scan III 프로그램 상에서 sensitivity만을 변화 시킨 후 T-scanIII 의 still cut 입니다. 좌·우 힘의 균형은 잘 배분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Sensitivity 변화 시키 전과 비교하면,  #16번에 좀 더 민감한 부분이 나타나고, #13, 14번 부위에 좀 더 힘이 걸리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Sensitivity를 한 단계 더 올린 상태에서 변화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T-scan III 상에서 sensitivity를 한 단계 더 높임 후, MIP로 물게 했을 때,  T-scan III still cut 입니다. 힘의 분배 양상이 바뀐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교합조정 후 바로 T-scan III 를 했을 때, 잘 나타나지 않았던, #13번 부위가 크게 힘이 걸리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구강내 조정 없이 T-scan III 상에서 sensitivity를 추가로 1단계를 높여 보면, 더욱 더 확연히 #13번 부위에 힘이 집중됨을 볼 수 있습니다. 1차 교합 조정 후, 추가적인 교합 조정없이 3번에 걸쳐 sensitivity를 변화시켜서, 물게 했을 때, #13번 부위의 추가적인 교합조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습니다.
#13 번 부위에 흐릿 하지만 미세한 교합점이 찍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점을 조정 할 필요가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13 치아 교합 조정을 시행한 후 사진입니다. 10대 치아들의 교합점이 더 잘 찍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3 교합 조정 후에 완벽한 힘의 배분을 보여 줌을 알 수 있습니다.
치아들마다 비교적 균일한 힘의 배분을 보여 주며, 좌우 양측이 정확하게 50 대 50의 힘의 배분을 보여 주며, 하단 그래프에서 보시면, 검정색 이 떨림이 없이 일정하게 유지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OT 도 매우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며, OT time의 B point 에 이른 후에 COF 는 움직임 없이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완벽한 교합상태이지만, 이 상태에서 T-scan III sensitivity를 한 단계 더 높여서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Sensitivity를 한 단계 더 높인 상태에서도 그래프의 큰 변화 없이, 막대 그래프의 높이만 전체적으로 더 높아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좀 더 예민하게 관찰 하더라더, 큰 변화가 없으므로, 더 이상의 교합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환자분의 경우에 있어서, T-scan III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와 치아를 찾아서 교합조정을 함으로써, 이상적인 교합을 형성해준 경우 입니다. 실제적으로 교합조정에 사용된 시간도, 사진 찍는 것으로 인해 지연된 것을 빼고 생각하자면, 아주 짧은 시간 안에 이루어졌던 증례입니다.

 

 

사진설명

 


<그림 1> COF는 중앙에 보이는 흰색과 빨간색으로 이루어진 마름모 꼴, 연결된 파란선은 COF의 변화를 보여준다.

 


 

<그림 2>

 


 

<그림 3>

 


 

<그림 4>

 


<그림 5> 치료 전후, 파노라마 비교

 


<그림 6> 최종 보철후 T-scan III 분석 전 MIP 상태에서 교합점.

 


<그림 7> 위의 교합점 사진 상태(MIP)에서 의 T-scanIII 의 still cut.

 


<그림 8> T-scan III 에서 힘이 높게 나타난 #16치아의 mesial 부위 교합 조정.

 


<그림 9> 1차 교합 조정후 MIP에서 교합점 사진.

 


<그림 10> 1차 교합 조정후 T-scan III still cut.

 


 
<그림 11> T-scan III 프로그램 상에서 sensitivity를 1단계 높임 image.

 


<그림 12> T-scan III 프로그램 상에서 sensitivity를 1 단계 높임 image.

 


 
<그림 13> T-scan III 프로그램 상에서 sensitivity를 1 단계 추가로 높임 image.

 

 


<그림 15> 1차 교합조정 직후 MIP에서 T-scan III still cut.

 


<그림 16> 1차 교합 조정후, T-scanIII 상에서  sensitivity를 3단계 높인 후 MIP상 비교.

 


<그림 16> 1차 교합 조정 후 구강내 교합점.


<그림 17> #13번 교합 조정 후 MIP 상 태에서 교합점.


 
<그림 18> #13번 교합 조정 후 MIP 에서 T-scan III still cut.


 
<그림 19> #13 번 교합 조정 후, T-scan III sensitivity를 한 단계 더 높인 상태에서 MIP.

 

<그림 20 > 처음 T-scan 채득 시간 9시47분부터, 최종 10:27분 까지

 


 
 
<그림 21> 40분의 시간이 걸렸지만, 중간,중간 사진 찍고, MIP 와 측방 교합 채득 시간(총 13번의영상채득)까지 포함하고 있으므로  실제적인 시술 시간은 20분이 채 안되었습니다. 20분 도 채 안 되는 시간에 완벽에 가까운 교합을 설정한 증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