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BK21 플러스 지원’ 대상 - 서울·연세·경북 치전원 확정

‘BK21 플러스 지원’ 대상


서울·연세·경북 치전원 확정


서울대, 연세대, 경북대 치전원이 석박사급 인재를 지원하는 대형 정부사업인 ‘BK21 플러스’의 지원대상에 확정됐다.


BK21 플러스는 2013년부터 2019년까지 7년간 매년 약 2500억원을 투입해 과학기술분야 1만5700명, 인문사회분야 2800명 등 석박사급 1만8500명을 지원하는 대학원 지원 사업이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BK21 플러스 사업 중 ‘미래기반창의인재양성형’ 최종선정결과를 지난 15일 발표했다.


BK21 플러스는 올해의 경우 2526억원을 지원하며, 2277억원을 투입하는 미래기반창의인재형의 비중이 절대적이다.


나머지 글로벌인재양성형과 특화전문인재양성형은 9월말 선정해 각각 160억원, 50억원을 지원한다.


미래기반창의인재양성형 대상은 64개 대학의 195개 사업단·280개 사업팀이 최종 선정됐다.


이 가운데 과학기술분야에서는 144개 사업단이 연간 1490억원을 지원받아 대학원 석박사과정생 약 1만2300명이 혜택을 받게 됐다.


인문사회분야에선 51개(지역대학 18개 포함)사업단이 선정돼 매년 약 1800명이 250억원을 지원받는다.


소규모 팀단위 지원사업인 사업팀 분야에서는 280개 사업팀의 4300여명이 550억원을 지원받게 됐다.


이번 BK21 플러스 사업에서는 지난해까지 진행된 2단계 BK21 사업(WCU·세계수준연구중심대학 육성사업·포함)에 비해 지역 우수대학원에 대한 지원 비중이 확대됐다. 사업비 기준으로 지역대학 비중이 24%에서 35%로 늘었다.


선정된 사업단·사업팀의 대학원생은 석사는 월 60만원, 박사는 월 100만원, 신진연구자는 월 250만원을 받는다.


대학별 지원규모는 서울대(385억3400만원), 고려대(223억원), 연세대(211억1100만원), 부산대(169억9000만원), 성균관대(152억7100만원), 경북대(136억9000만원), 포항공대(83억7800만원) 순이다. 서울대, 연세대, 경북대의 경우 각각 과학기술분야 응용과학 파트에 기초 치의학 분야가 포함됐다.


강은정 기자 human@kda.or.kr

관련기사 PDF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