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치과의사협회 자재·표준위원회에서는 국제표준화기구 치과기술위원회(ISO/TC 106)에서 심의가 끝나 최근 발행된 치과 표준을 소개하는 기획연재를 2014년 2월부터 매달 게재하고 있습니다. 환자 진료와 치과산업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치과재료 접착시험 관련 표준 ○ ISO/TS 4640:2023 Dentistry - Test methods for tensile bond strength to tooth structure 치질(상아질이나 법랑질 같은)과 수복재료 사이의 접착력을 인장결합강도로 평가하고, 기질 선택, 보관 및 취급에 관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 ISO/TS 11405:2015 Dentistry - Testing of adhesion to tooth structure [폐지] 치아와의 접착시험을 위한 치아의 보관 및 표면 처리 방법과 인장결합강도 시험, 상아질 접착에 대한 gap 측정, microleakage 시험, 임상적용시험 등이 기술되어 있었는데, 이 표준은 폐지되었고, 대신 인장결합강도 시험만 포함한 ISO/TS 4640:2023이 만들어졌다. ○ ISO 29022:2013 Dentistry -Adhesion - Notc
대한치과의사협회 자재·표준위원회에서는 국제표준화기구 치과기술위원회(ISO/TC 106)에서 심의가 끝나 최근 발행된 치과 표준을 소개하는 기획연재를 2014년 2월부터 매달 게재하고 있습니다. 환자 진료와 치과산업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ISO 7551:2023 Dentistry ― Endodontic absorbent points 개정판 (2판) ○ 적용범위 - 이 표준은 치근관 치료 과정에 사용되는 멸균된 흡수 포인트에 대한 요구사항 및 시험방법을 규정한다. 흡수 포인트는 멸균 또는 비멸균 상태로 판매되고 있는데, 이 표준의 요구사항은 제조자가 인정하는 방식으로 한번 멸균된 흡수 포인트에 적용한다. 이 표준은 흡수 포인트의 크기 호칭을 위한 번호 체계와 색상 코드 체계를 규정한다. ○ 개정판의 변경사항 - 표준 테이퍼 흡수 포인트 외에 여러 가지 흡수 포인트를 추가 - 대형 테이퍼 흡수 포인트의 치수를 표 2(ISO 7551 참고)에 추가 - 흡수 포인트의 크기를 KS P ISO 6877 (근관충전재)에 규정된 충전 포인트 및 KS P ISO 6360 (회전기구의 번호코드 시스템) 시리즈의 크기에 맞추어 조정 - 흡수 포인트 팁의 “번호
대한치과의사협회 자재·표준위원회에서는 국제표준화기구 치과기술위원회(ISO/TC 106)에서 심의가 끝나 최근 발행된 치과 표준을 소개하는 기획연재를 2014년 2월부터 매달 게재하고 있습니다. 환자 진료와 치과산업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2023년 제59차 ISO/TC 106 총회가 9월 16일부터 20일까지 호주 시드니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er(ICC)에서 개최되었다. ISO/TC 106 Dentistry는 1962년에 설립된 치과관련 재료, 기구, 장비 및 구강관리용품에 대한 국제표준을 만드는 기술위원회이다. 한국은 연세대학교의 김경남 교수님께서 2002년 비엔나에서 개최된 ISO/TC 106 총회에 참석하신 것을 계기로 매년 참석하게 되었다. 필자는 2004년 태국 치앙마이에서 열린 ISO/TC 106 총회부터 현재까지 매년 참석하고 있다. 초기에는 김경남 교수님의 주도하에 한국의 치과재료학 및 예방치과 교수님들이 자비로 참석하여 국제표준화 활동을 해오셨는데, 현재는 국내 일부 치과재료 및 기구, 장비 회사에서도 참여하고 있고, 더 다양한 분야의 교수님들과 대학원생들 및 연구원들이 참여하여 매년 참여 규모가
대한치과의사협회 자재·표준위원회에서는 국제표준화기구 치과기술위원회(ISO/TC 106)에서 심의가 끝나 최근 발행된 치과 표준을 소개하는 기획연재를 2014년 2월부터 매달 게재하고 있습니다. 환자 진료와 치과산업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ISO 3107:2022 Dentistry ― Zinc oxide-eugenol cements and non-eugenol zinc oxide cements 개정판 (5판) ○ ISO/TC106/SC1(WG1)에서 ISO/FDIS 3107 Dentistry - Zinc oxide/eugenol cements and zinc oxide/non-eugenol cements가 minor revision으로 승인되어 2022년 9월에 5판이 발행됨. ○ 개정판의 변경사항 - “zinc oxide/eugenol cement”를 “zinc oxide-eugenol cement”로 변경 - “non-eugenol cement”를 “non-eugenol zinc oxide cement”로 변경 - “방향유(aromatic oils)”를 “유지놀외의 오일(oil(s) other than eugenol)”로 변경 ○ 적용범위
제조사는 재료의 성분에 관한 상세사항을 공시해야 함 레진시멘트는 중합 깊이에 대한 요구사항이 없어짐 방사선 불투과성에 관한 시험방법이 업데이트 됨 주위 빛에 대한 민감도 시험의 필터 관련 부분이 변경됨 ■ 폴리머계 수복 재료 ○ ISO 4049:2019 (제5판) Dentistry-Polymer-based restorative materials 표준은 기존의 ISO 4049:2009 (제4판) Dentistry-Polymer-based restorative materials을 개정하여 2019년 5월에 제5판이 발행되었다. ○ 이 표준은 기계적 혼합, 수동 혼합에 적절한 형태로 공급되며, 구강 내ㆍ외의 외부에너지에 의하여 활성화되고, 일차적으로 치아의 직접 또는 간접 수복물용, 그리고 합착용으로 제작된 치과용 고분자 제재의 수복재료에 대한 요구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 이 표준에서 다루는 레진시멘트 재료는 인레이, 온레이, 비니어, 크라운 및 브리지 등의 수복물과 장치를 고정하거나 합착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이 표준은 재료의 구조 내에 접착성 성분을 가지는 자가접착형(self-adhesive) 레진시멘트는 포함하지 않는다. ○ 이 표준은 우식을 예방하기 위
제목이 고분자계 계속가공의치 재료에서 고분자계 금관 및 전장 재료로 바뀜 전치부 금관에만 한정되었던 부분이 삭제되고 일반 금관으로 명시됨 금속 하부구조에 접착하는 것에 한정되었던 부분이 삭제되고, 일반 하부구조로 명시됨 “주위 빛에 대한 민감도 시험”이 삭제됨 ■ 고분자계 금관 및 전장 재료 ○ ISO 10477:2018 (제3판) Dentistry - Polymer-based crown and veneering materials ○ 기존의 10477:2004 (제2판) Dentistry - Polymer-based crown and bridge materials이 개정되어 2018년 6월에 제3판이 발행되었다. ○ 이 표준은 치과에서 사용되는 고분자계 금관(crown) 및 전장(veneer) 재료를 분류하고 요구사항 및 시험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기공실에서 제작되는 영구 전장용 또는 금관을 위한 고분자계 금관 및 전장 재료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제조자가 구슬모양이나 와이어 같은 기계적 유지 형태 없이도 하부구조에 접착이 된다고 주장하는 고분자계 금관 및 전장 재료에도 적용 가능하다. ○ 제3판은 제2판에 비해 크게 4가지가 바뀌었는데, 일단 제목이 “고분
치아의 코어 축조 재료가 적용범위에 포함됨 방사선 불투과도와 관련된 내용이 수정됨 표기와 사용설명서에서 ‘의무사항’, ‘선택사항’, ‘해당 없음’ 항목이 많이 바뀜 ■ 치과용 수성 시멘트-제2부: 레진 강화형 시멘트 ○ ISO 9917-2:2017 Dentistry - Water-based cements - Part 2: Resin-modified cements ○ 기존의 2010년 판에서 2017년 9월에 개정판이 발행되었다. ○ 시험방법은 ISO 4049 (치과-폴리머계 수복 재료)와 ISO 9917-1 (치과-수성 시멘트-제1부: 분말/액 산-염기 시멘트)과 조화를 이루도록 작성되었다. ■ 적용범위 (Scope) ○ 기존 표준에서는 합착, 베이스, 라이너 및 수복용만 적용범위에 들어갔다. ○ 2017 개정판에서는 여기에 치아의 코어 축조 재료가 포함되었다. ■ 용어와 정의 ○ ISO와 IEC는 표준화를 위한 목적으로 다음의 웹사이트 주소에서 용어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한다. ○ ISO 온라인 브라우징 플랫폼: https://www.iso.org/obp/ui ○ IEC 전자사전: http://www.electropedia.org/ ■ 분류 ○ 제1급 : 화학
대한치과의사협회 자재·표준위원회에서는 국제표준화기구 치과기술위원회(ISO/TC 106)에서 심의가 끝나 최근 발행된 치과 표준을 소개하는 기획연재를 2014년 2월부터 매달 게재하고 있습니다. 환자 진료와 치과산업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치과 금속재료에 대한 국제표준 ·예전에는 치과용 금 합금에 대한 표준인 ISO 1562:1993, 치과용 비귀금속 합금에 대한 표준인 ISO 6871, 치과용 metal-ceramic용 합금에 대한 표준인 ISO 9693:1999이 있었는데, 이 세 가지가 ISO 22674:2006 Dentistry-Metallic materials for fixed and removable restorations and appliances(치과 - 고정식 및 가철식 수복물과 장치용 금속재료)로 통일되었다. ·ISO 22674:2006은 개정되어 2016년 1월 15일 ISO 22674:2016으로 두 번째 판이 나왔는데, 아래에서는 2006년 판에 비해 2016 판에서 개정된 점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아보고, 금속의 제조자와 판매업자, 치과의사에게 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ISO 22674:2016과 ISO
대한치과의사협회 자재·표준위원회에서는 국제표준화기구 치과기술위원회(ISO/TC 106)에서 심의가 끝나 최근 발행된 치과 표준을 소개하는 기획연재를 2014년 2월부터 매달 게재하고 있습니다. 환자 진료와 치과산업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직접수복재인지 간접수복재인지에 따라 시험방법 선택해야 함 전단 blade(날)은 직선형에서 반원형으로 변경됨 전단 blade에 따라 강도 달라짐 ■ 수복재료와 치아와의 접착시험의 종류 • ISO/TS 11405:2015 Dentistry-Testing of adhesion to tooth structure 치아와의 접착시험을 위한 치아의 보관 및 표면 처리 방법과 인장결합강도 시험, 상아질 접착에 대한 gap 측정, microleakage 시험, 임상적용시험 등이 기술되어 있다. • ISO 29022:2013 Dentistry-Adhesion-Notched-edge shear bond strength test 치질, 즉 상아질이나 법랑질과 직접 수복물과의 결합강도를 측정해야 할 때 사용한다. 기술된 방법은 원래 치과용 상아질 접착제의 평가에 사용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 방법은 보통 치아에 상아질 접착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