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튼튼한 치아로 여는 건강 장수 대한민국 : 초고령사회를 맞이하는 2025년의 도전”
2025년, 대한민국은 역사적 전환점인 초고령사회로 진입합니다. 평균 수명 83세를 자랑하는 나라가 되었지만,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는 ‘건강수명’은 65세에 불과하다는 통계(대한민국e-나라지표)는 우리에게 깊은 숙제를 던집니다. 이제 단순히 오래 사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건강하게 오래 사는 삶’입니다. 이 변화 속에서 치과계는 구강 건강이라는 영역을 넘어 국민의 삶의 질과 건강장수의 열쇠를 쥘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될 것입니다. 지난 2024년은 사회적으로 큰 도전과 어려움이 가득한 한 해였습니다. 계엄령이라는 전례 없는 상황 속에서도 치과계는 흔들리지 않고, 중요한 변화를 위한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특히 장기요양기관의 구강관리 평가지표 신설은 치과계가 초고령사회의 복잡한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 뜻깊은 성과였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멈출 수는 없습니다. 진정한 변화는 건강수명의 연장에서 시작됩니다. 대한노인회 회장님께서 노인의 연령 기준을 65세에서 75세로 높이자는 제안을 하셨습니다. 이는 초고령사회를 대비하는 중요한 논의이지만, 숫자만 바꾸어서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여전히 건강수명이 65세에
- 임지준 따뜻한치과병원 대표원장
- 2025-01-02 1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