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에 걸린 여부와 상관없이 혈당이 올라갈수록 기억력 등 인지기능은 떨어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혈당관리에 주의를 요한다.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 보건대학원 연구팀은 장기적인 혈당을 나타내는 당화혈색소(HbA1c) 수치가 올라갈수록 인지기능은 저하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최근 보도했다. 당화혈색소란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의 혈색소(헤모글로빈) 분자가 혈액 속의 포도당과 결합한 것이다. 연구팀은 영국 노화종단연구에 참가하고 있는 평균연령 66세 남녀 5200여 명을 대상으로 평균 8년 동안 조사를 진행하고, 2년 마다 인지기능 테스트를 시행해 당화혈색소 수치와 인지기능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당화혈색소가 1밀리몰(mmol/mol) 올라갈 때마다 기억력, 실행능력(executive function) 등 모든 인지기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혈압, 혈중 콜레스테롤, 체중, 흡연, 음주, 심장병, 우울증, 교육수준, C-반응성 단백질(염증표지) 등 다른 관련 요인들을 고려했지만, 당화혈색소와 인지기능 사이의 이러한 역관계에는 변함이 없었다”고 밝혔다.
27일 오후 10시 국가대표선수촌 측, 스포츠치의학회에 “北선수 응급 상황” 알리고 요청28일 오전 7시 30분 스포츠치의학회 측, 김철수 협회장에 상황 알리고 지원 요청28일 오전 9시 김철수 협회장, 국가대표선수촌에 이동진료버스 급파 지시28일 오후 3시 이동진료버스 국가대표선수촌 도착 및 의료진 도착28일 오후 4시 30분 북한 아이스하키 진 옥 선수 진료 시작28일 오후 5시 30분 진료 완료 마치 긴박한 군사작전을 방불케 했다. 상황 접수에서부터 완료까지 20시간이 채 걸리지 않았다. 치과계 내부의 정보공유는 신속했고, 대응은 적절했다. 치협이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대비, 남북정부가 합작으로 탄생시킨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의 치과의료 지원에 나서, 북한 응급환자를 무사히 치료하고 돌아왔다. 북한 코칭스태프와 선수촌 측은 “신속히 치료해 주셔서 대단히 고맙다”고 의료진에 감사의 뜻을 전했고, 대한체육회를 비롯해 남북 단일팀에 공을 들이고 있는 청와대 측까지 이번 사안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였다는 전언이다. # 26번 치아에 급성 치수염 ‘큰 고통’ 치협은 지난 1월 28일 대한스포츠치의학회(회장 권긍록 ‧ 이하 스포츠치의학회)와 함께 진천 국
㈜브레인스펙병원교육개발원(대표 김민정 ‧ 이하 브레인스펙)이 새해를 맞아 기존 치과위생사들에게 힐링을 선사하고, 새내기 치과위생사들에게는 비전을 줄 수 있는 두 가지 색다른 자리를 마련했다. 우선 오는 2월 24일 서울대치과병원 지하 1층 제2강의실에서 진행될 ‘퀀텀 러닝 프로그램’은 치과위생사를 위한 힐링캠프의 컨셉으로, 각종 격무와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치과의 스탭들에게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힐링의 시간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프로그램은 이하나(미래HRD연구원) 본부장이 연자로 나서 ▲성장을 위한 동기부여 ▲뇌 과학을 활용한 자기 혁신 ▲창의적 문제해결 등 새로운 형식의 교육으로 생각전환의 계기를 소개할 계획이다. 브레인스펙 측은 “이미 선진국에서 기업교육모델로 사용 중인 퀀텀석세스를 통해 치과위생사한 직업에 대한 강력한 동기부여로 교육 이상의 변화를 이끌어 내겠다는 것”이라고 프로그램의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다음날 서울대치과병원 지하 1층 제1강의실에서 진행되는 ‘그뤠잇~!!! 취준생을 위한 임상특강 세미나’는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신입 치과위생사를 위한 임상의 팁이 전해진다. 세미나는 ▲슬기로운 치과생활을 위한 꿀팁 공개(김민정 대
‘Together, Share your knowledge’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회장 여환호 · 이하 카오미)가 세 번째 국제학술대회(iAO2018)와 학회 창립 25주년 기념식을 동시에 열고, 아시아 허브 임플란트 학회를 넘어 세계적 임플란트 학회로 비상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오는 3월 10~11일 양일간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진행되는 제25회 카오미 춘계학술대회 iAO2018은 특히 세계적인 명성을 자랑하는 Osteology Foundation(이하 OF)과 함께 joint meeting을 진행, 국내외 저명 연자들의 강연을 ‘안방’에서 들을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다. iAO2018를 위해 OF의 회장인 Mario Sanz 교수, Ronald Jung 교수, Saso Ivanovski 교수, Tatsuaki Matsunaga 교수, Jerry Lin rynt 등의 연자들이 국내를 찾아 농익은 그들만의 노하우를 공개한다. 학술대회는 3월 10일 ▲상악동 거상술 후 합병증과 관련한 논의(이동운 교수, 김영진 원장) ▲Implant+Denture : What’s the best?(이정열 교수, 김기성 원장)을 시작으로, 오후 OSTEOLOGY REGE
대한치과기공사협회(회장 김양근 ‧ 이하 치기공협)가 신년하례식을 갖고, 새해 치과기공계 전체의 발전을 기원했다. 지난 5일 치과기공사회관에서 진행된 2018년 치과기공계 신년하례식에는 김양근 회장을 비롯, 명예회장, 협회고문, 대의원총회 의장, 감사, 시도회장, 협회임원 등 60여명이 참석해 새해 인사를 나누고, 모두의 발전을 염원했다. 이날 김양근 회장은 “지난해 의료기사법 개정으로 의료기사단체가 의료인 단체와 대등한 법적 지위를 갖게 되었으며, 윤리위원회를 설치하게 됐다. 앞으로 그에 맞게 협회에서도 준비를 철저히 하겠다”면서 “협회의 정관을 현실에 맞게 반영하고, 일부 의료기기업체의 업무침해로부터 치과기공계를 지키기 위해 단호하게 대처하겠다”고 인사말을 대신해 밝혔다. 더불어 김양근 회장은 “혼자 가면 단순한 길이지만 함께 가면 역사가 된다고 했듯이 더 많은 관심과 격려를 부탁하고, 치과기공계가 희망찬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임원들과 함께 노력해 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2018년 신년 하례식에는 치과기공계의 발전을 기원하는 축하 떡 케이크 커팅식과 박용의 협회 고문의 건배 제의와 함께 새해 소망 기원 및 덕담이 이어졌다.
유아 ‧ 청소년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해 333치아송을 제작했던 황병기 원장이 치협을 찾아 김철수 협회장을 내방하고, 국민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치아송의 보급에 치협이 협조해 줄 것을 요청했다. 황병기 원장은 가수이기도 하면서 지난 2006년 333 치아송을 만든 이래 랩 버전, 영어버전으로 변용해 꾸준히 보급해 오면서 국민구강건강에 힘쓰고 있는 작곡가다. 이날 황병기 원장은 “2006년 치아송을 만들어 보급한 이래 많은 아이들의 양치질에 노래로 동기유발을 하고자 노력해 왔다”면서 “전국에 확산될 수 있게 협회 차원의 캠페인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숙고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철수 협회장은 “금년 치협은 대국민 치과의사 이미지 제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진행하는데, 황 원장님의 이런 활동들이 이미지 제고에 도움이 될 것 같다”면서 “아이들의 구강건강 향상에 동기유발을 할 수 있도록 활용하는 방안을 찾겠다”고 화답했다.
“초진의 경우 보통 해당 상병의 치료가 끝나고 30일 이후에 내원하게 되면 다시 초진으로 산정되지만, 만성 치주환자를 치료하는 경우 치료가 끝나고 90일 이내에 동일부위를 치료하면 재진으로 인정받습니다. 하지만 해당 상병으로 동일한 치과에서 계속해서 진료를 받는 경우 상병 치료가 종결되지 않았다면 내원 간격에 상관없이 재진이 됩니다.” 보험청구를 비롯해 각종 건강보험 업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회원이라면 대한치과의사협회 홈페이지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치협 보험위원회는 지속적인 민원 사항으로 제기돼 온 대회원 보험교육을 위해 회원들의 눈높이에 맞춘 동영상을 제작, 최근 치협 홈페이지에 무료로 업로드했다. 동영상 자료와 pdf 강의자료로 구성된 치협 ‘치과 건강보험 교육자료’는 치과의사 회원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내려받기가 가능하며, 건강보험의 개론에서부터 진찰료, 방사선을 비롯 각 진료항목과 관련한 세부적인 사항을 망라하고 있어 보험에 대한 개원가의 목마름을 해소해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일단 동영상 강의는 크게 8개의 챕터로 구성돼 있다. 2017년 11월 시점의 보건복지부 고시를 기준으로 했으며, 콘텐츠는 다음과 같다.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이해(박경희
대한구강보건협회(회장 정문환 ‧ 이하 구보협)가 보건복지부와 함께 대국민 구강보건 어플리케이션을 제작, 출시하고 무술년에도 국민들의 구강건강 향상을 위해 진력할 것을 다짐했다. 구보협은 지난 12일 서울대치과병원 협회 사무실에서 신년기자간담회를 갖고, 보건복지부와 함께 개발한 대국민 구강보건 앱인 ‘맘스투스(Mom’s Tooth)’를 소개하는 동시에 올해 진행될 구보협의 주요 사업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맘스투스는 이른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앱으로 영유아, 임산부 등 2개의 큰 카테고리로 나눠 대상자에게 맞춤식 구강보건 교육을 제공한다. 콘텐츠 개발은 구보협을 중심으로 대한소아치과학회, 대한치주과학회, 대한예방치과 ‧ 구강보건학회, 대한심미치과학회, 한국치위생학회, 대한치과기공사협회, 서울시 간호조무사회가 공동으로 참여했다. 보건복지부에서는 앱 개발을 위해 구강건강증진기금을 지원했다. 앱 스토어에서 무료로 설치가 가능한 맘스투스는 접속하면 영유아 코너와 임산부 코너가 나온다. 우산 영유아 코너를 실행하면 ‘새이(say)’와 ‘까미’라는 캐릭터가 등장해 아이들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이어 ‘치카치카 잡기놀이’에 들어가면
연세치대 교정과학교실과 두개안면기형연구소, 세정회가 매년 공동으로 개최하는 증례발표회가 30회를 맞아 다양하고 수준 높은 교정치험례를 준비했다. 오는 2월 3일 연세치대병원 7층 강당에서 진행되는 제30회 연세치대 교정치료 증례발표회에는 주목 받는 신진 교정의사들이 연단에 서서 그간 병원에서 갈고 닦은 실력을 맘껏 뽐내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발표회는 이승희 전공의의 ▲전체치열의 원심이동을 통한 골격성 Ⅰ급 부정교합 설측교정 치험례를 시작으로 박진이 전공의가 ▲안면비대칭을 동반한 골격성 Ⅰ급 부정교합의 상악의 골격성 확장과 맞춤형 브라켓을 이용한 절충치료 치험례 ▲수직적 부조화를 동반한 골격성 Ⅱ급 부정교합의 수술 치험례(김규남 전공의) ▲개방교합을 동반한 골격성 Ⅱ급 부정교합의 수술 치험례(박효진 전공의) ▲상하악 제1소구치 발치를 동반한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의 절충치료 치험례(권선미 전공의) 등이 이어 진다. 주최 측은 “연세치대 교정과학교실에서는 여러 선생님들을 모시고 4년간의 수련과정을 마치는 전공의들의 증례 발표회를 갖는다. 많이 참석해 후배들의 길에 격려와 축하의 인사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임플란트 술식의 혁신과 신기술의 향연’ 대한치과이식임플란트학회(회장 김영균 ‧ 이하 이식학회)가 오는 3월 4일 고려대 의과대학 유광사홀 세미나실에서 2018년 춘계학술대회(대회장 류재준)를 개최한다. ‘New technique and innovation in implant Dentistry’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춘계학술대회는 임플란트 술식과 관련된 혁신 기술에 대해 다양한 에비던스와 토론이 오가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강연은 세션1-Atrophic Mandible을 극복하는 세 가지 전략에서 박동원 원장이 ▲Open membrane technique으로 극복하기 ▲Ridge split으로 극복하기(이동운 과장) ▲Short implant로 극복하기(조용석 원장)를 강연하고 이어 세션2-Sinus 극복하는 두 가지 전략에서 ▲완전무치악 환자에서 All-on-4concept을 이용한 새로운 전략(김근홍 원장) ▲상악동 피할 수 없다면 정면도전(엄인웅 원장)을 강연한다. 세션 3-Sinus ENT 특강에서는 김영진 원장이 ▲상악동 거상술 환자에서 볼 수 있는 술전, 술후 상악동의 문제들이라는 주제로 강연하며, 세션4-Oral Scanner의 모든 것 개발
대한치과이식임플란트학회(회장 김영균 ‧ 이하 이식학회)가 학술집담회를 열고, 상악동 골이식술에 대한 논쟁거리를 토론하는 시간을 갖는다. 오는 2월 5일 서울대 치과병원 제1강의실에서 진행되는 이번 제4차 학술집담회는 ‘상악동 골이식술’을 테마로 권용대 교수(경희치대)와 박창주 교수(한양대병원)가 나서 최신지견에 대한 축적된 에비던스와 골이식술과 관련된 논쟁을 놓고 토론한다. 오후 7시 30분부터 시작되는 집담회는 우선 권용대 교수가 ▲Hot issue in SFE, play them cool 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고, 박창주 교수가 ▲상악동 골이식술의 뜨거운 논쟁거리들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잇는다. 이식학회 측은 “임플란트 술식 상에서 자주 적용되는 골이식술과 관련해 이 분야에서 다양한 임상 에비던스를 확보하고 있는 권용대, 박창주 교수님이 강연을 진행하고, 골이식술과 관련한 논쟁거리들에 대해 토론하는 시간도 갖는다. 많은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식학회는 오는 3월 4일 고려대 유광사홀에서 2018년 춘계학술대회(대회장 류재준)를 개최하고, 임플란트 술식의 혁신을 주제로 다양한 지견을 공유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New technique
민 교정아카데미가 주최하고, Cozann과 휴비트가 후원하는 교정 세미나가 열린다. 오는 21일 압구정 민치과에서 열리는 이번 세미나는 ‘교정 Navigator System으로 교정치료 안전하게 끝내기’라는 주제로, 민병진 원장이 연단에 서서 Navigator System에 대해 설명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정치료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이번 세미나는 Navigator System을 주제로 ▲교정 진단의 어려운가요? ▲발치 or 비발치가 고민되나요? ▲지금하고 있는 교정치료가 잘 진행되고 있는지 궁금한가요? ▲오랫동안 끝나지 않는 교정환자 때문에 부담이 되나요? ▲교정 마무리는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되나요? ▲유지기간 중 재교정을 해야 할 경우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해결하나요? 등의 궁금증을 해결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Navigator System은 Coach System, Education System, Indirect Bracket Bonding System 등 세 축으로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안전한 교정치료를 돕는다는 목표의 시스템이다. 민병진 원장은 “진료를 단순화, 체계화하면 환자의 대기시간과 진료시간이 감소돼 환자의 진료만족도가